신문은선생님

식물이야기

[신문은 선생님]
[식물이야기] 신비로운 '원령공주' 숲… 강원 점봉산, 제주 곶자왈, 울릉도 성인봉에 있죠 2021.06.07 (월)
날씨가 화창해지면서 산으로 향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그중에서도 원시림을 찾는 사람들도 많아요. 원시림은 인간의 손이 닿지 않았고 자연재해도 입지 않은 원시 상태 그대로의 숲이에요. 우리 주변의 숲은 대부분 사람이 .. 최새미 식물칼럼니스트
[신문은 선생님]
[식물이야기] ㄱ자로 꺾어진 600년 된 '현고수'… 곽재우 장군이 북 매달아 의병 모았대요 2021.05.31 (월)
최근 충북 보은에 있는 정이품송(正二品松)<사진1>의 곁가지가 강풍에 부러져 주위를 안타깝게 했어요. 나이가 600살이 넘다 보니 태풍이 불면 가지가 뚝뚝 부러져요. 병충해를 입기도 하고요. 정이품송은 1.. 최새미·식물칼럼니스트
[신문은 선생님]
[식물이야기] 뿌리가 주위 열 흡수해 수증기로 내뿜어… 한여름 지표면 온도 10도 이상 낮춰요 2021.05.24 (월)
날씨가 따뜻해지면서 땅들이 초록빛으로 물들고 있습니다. 지금 공원 잔디밭에 나가보면 새 잔디들이 파릇파릇 자란 것을 관찰할 수 있어요. 잔디는 어른 손바닥 길이 정도로 길이가 일정하고 사람이 여러 번 밟아도 살아남는.. 최새미 식물칼럼니스트
[신문은 선생님]
[식물이야기] 수선화는 봄철에 물 많이 줘야하고 관음죽은 블라인드로 햇빛 가려줘요 2021.05.17 (월)
코로나 사태로 일상생활에 제약이 많이 생겨 우울감을 느끼는 사람이 많아졌어요. 이런 '코로나 블루'를 해소하기 위해 반려 식물을 키우는 '그린 하비(Green Hobby·녹색 취미)'를 즐기는 사람이 늘어나고 있다고.. 최새미 식물칼럼니스트
[신문은 선생님]
[식물이야기] 돌아가신 부모님께 흰색, 살아계시면 빨간색 드려요 2021.05.10 (월)
어버이날이었던 8일 대형 마트부터 길거리 꽃 가게까지 카네이션으로 넘쳐났습니다. 요즘엔 부모님께 카네이션 대신 현금 등 다양한 선물을 주는 추세지만, 그래도 여전히 카네이션을 빼놓고 어버이날을 떠올리긴 쉽지 않습니다.. 최새미 식물칼럼니스트
[신문은 선생님]
[식물이야기] 곤충 움직임이 두 번 감지되면 잎 닫아 잡아먹어요 2021.05.03 (월)
날이 따뜻해지면서 벌레와 곤충의 활동이 활발해지기 시작했습니다. 전등 아래에서 파리가 '윙~윙~' 소리를 내고, 음식물 쓰레기에는 초파리가 날아들어요. 모기에 물려 피부가 부어오른 사람도 있지요.벌레가 귀를 간지럽게.. 최새미 식물 칼럼니스트
[신문은 선생님]
[식물이야기] 백 살 넘은 나무가 다른 나무보다 탄소를 10배 이상 흡수한대요 2021.04.27 (화)
지난 22일은 '지구의 날'이었어요. 이날 전 세계 40여명의 정상이 2050년까지 '탄소중립'을 달성한다는 목표를 확인했습니다. 탄소중립은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는 만큼 흡수량도 늘려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가 늘어나.. 최새미 식물칼럼니스트
[신문은 선생님]
[식물이야기] 유전자 쉽게 섞여 종류만 수십여 종… '겹벚나무'는 늦은 봄까지 꽃 피워요 2021.04.20 (화)
벚꽃은 봄에 피는 대표적인 꽃이에요. 벚꽃은 대개 3월 말 제주도부터 피기 시작해 4월 초에는 경기 북부 지역까지 피는데, 올해는 평소보다 사나흘, 빠른 곳은 열흘 정도 일찍 피었습니다. 기후변화로 날씨가 따뜻해져 .. 최새미 식물 칼럼니스트
[신문은 선생님]
[식물이야기] 식물이 번식하는 데 필요한 가루 입자… 봄철 알레르기성 질환의 주범이에요 2021.04.13 (화)
봄을 맞아 곳곳에 꽃이 활짝 피고 있습니다. 봄꽃이 절정에 달하고 나면 '불청객' 꽃가루가 찾아오는데요. 꽃가루는 식물이 번식하는 데 꼭 필요한 가루 입자입니다. 꽃가루 안에는 식물의 생식세포가 들어있어요. 꽃가루는.. 최새미 식물 칼럼니스트
[신문은 선생님]
[식물이야기] 전 국민이 '민둥산'에 나무 심어… 지금은 국토 60%가 숲이 됐어요 2021.04.05 (월)
4월 5일은 식목일입니다. 식목일은 1949년 제정됐어요. 당시엔 무엇보다 '민둥산'에 숲과 산림을 회복하는 게 목표였죠. 민둥산은 나무가 없는 산이란 뜻이에요. 당시 우리나라 산 대부분이 민둥산이었습니다. 조선시대.. 최새미 식물 칼럼니스트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