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이야기
[신문은 선생님]
[식물 이야기] 지름 1.5㎝ 납작하고 둥근 열매가 만두와 닮았대요
2023.01.16 (월)
설날에 먹는 대표적인 음식 중 하나로 만둣국이 있죠. 만둣국은 만두의 통통한 모습처럼 복을 기원하는 의미로 먹는 거라고 해요. 이런 만두를 닮아 이름에 만두가 들어간 식물이 있습니다. 열매 모양이 만두와 많이 닮은 ..
김민하 국립생물자원관 환경연구관
[신문은 선생님]
[식물 이야기] 땅에 줄기 붙이고 누워 자라기도… 잎 뒷면에는 밝은 흰색 선 있어요
2023.01.09 (월)
자라는 습성에 따라 이름 붙은 나무들이 있습니다. 가지가 줄기에 층층으로 돌려나면 층층나무, 줄기가 땅바닥에 뻗어 자라면 눈향나무('누운 향나무')라고 하는 식이죠. 눈측백도 마찬가지예요. 측백나무와 비슷하게 생겼는..
김용식 전 천리포수목원장·영남대 명예교수
[신문은 선생님]
[식물 이야기] 열매는 감이랑 비슷한데 크기가 훨씬 작고 씨는 많대요
2023.01.02 (월)
가을에 수확한 감이 겨울철 곶감으로 말라갈 무렵, 숲속 가지 끝에 남아있던 고욤나무 열매도 검붉은색으로 마르기 시작합니다. 고욤나무는 감나무와 같은 속(屬)으로, 우리나라와 유라시아 대륙의 따뜻한 온대 지방에 자생하..
김한규 위스콘신대 박사후연구원
[신문은 선생님]
[식물 이야기] 흰 눈 속에서도 빨간 열매 맺어… 남쪽 해안에서 자란대요
2022.12.26 (월)
겨울은 다양한 딸기를 맛볼 수 있는 제철이에요. 농업 기술의 발달로 비닐하우스 재배가 보편화하고 겨울부터 수확할 수 있는 '설향' 같은 품종이 개발된 2005년 이후부터 '겨울 제철 딸기'라는 인식이 생겨났다고 해요..
김민하 국립생물자원관 환경연구관
[신문은 선생님]
[식물 이야기] 세로로 깊게 파여 갈라진 껍질이 특징… 망개떡과는 관계없대요
2022.12.19 (월)
겨울철 잎을 다 떨궜지만 독특한 나무껍질로 시선을 사로잡는 식물이 있습니다. 바로 망개나무인데요. 망개나무의 껍질은 세로 방향으로 길게 파여 불규칙적으로 갈라진 독특한 모양을 하고 있어요. 나무가 크게 자라면 자랄수..
김용식 전 천리포수목원장·영남대 명예교수
[식물 이야기]
잎과 줄기에서 향기 나… 나무껍질로는 계피 만들어요
2022.12.12 (월)
제주도를 포함한 우리나라 남부 해안 지방은 따뜻한 기후 덕분에 다양한 늘푸른넓은잎나무(사철 내내 잎이 푸른 활엽수)가 자라고 있습니다. 이 중에는 우리가 겨울철 따뜻한 차로 자주 접하는 향신료인 계피와 밀접한 관련이..
김한규 위스콘신대 박사후연구원
[신문은 선생님]
[식물 이야기] 봄나물인 머위와 닮았지만 독성 있어… 겨울에도 윤기 나는 푸른 잎 뽐내요
2022.12.05 (월)
식물은 흔히 가을이 되면 꽃이 지고 열매를 맺기 시작하지요. 그런데 가을 돼서야 꽃을 피우기 시작해 겨울까지 꽃을 볼 수 있는 식물이 있어요. 우리나라 남쪽 지방 바닷가나 울릉도·제주도 등에서 자라는 털머위예요. 커..
김민하 국립생물자원관 환경연구관
[신문은 선생님]
[식물 이야기] 사철 푸르고 두꺼운 잎… 불 잘 붙지 않아 방화림으로도 쓰여요
2022.11.28 (월)
동백나무는 일찍이 목련류와 함께 관상 가치를 인정받아 17세기부터 유럽을 포함한 전 세계에서 큰 사랑을 받아온 식물이에요. 지금까지 재배 품종으로 키워낸 종류만 2000가지가 넘지요.동백나무는 우리나라와 중국·대만·..
김용식 전 천리포수목원장·영남대 명예교수
[신문은 선생님]
[식물 이야기] 무릎 높이 아래로 덩굴 뻗으며 자라… 열매가 크랜베리래요
2022.11.21 (월)
크랜베리(cranberry)를 먹어본 적이 있나요? 이 열매는 건과일로 말려 빵이나 쿠키 등을 만들 때 함께 넣기도 하는데요. 크랜베리는 유럽과 아시아의 북부 지역에서 주로 자라는 '넌출월귤'과 북미 북부 지역에서 ..
김한규 위스콘신대 박사후연구원
[신문은 선생님]
[식물 이야기] 박하향 나는 토종 허브… 비린내 없애줘 매운탕에 넣기도 해요
2022.11.14 (월)
우리는 흔히 '허브'라고 하면 라벤더·로즈메리·페퍼민트같이 외국에서 들여온 식물을 먼저 생각하게 되지요. 하지만 우리나라에도 외국에서 '코리안 민트(Korean Mint)'로 부르는 토종 허브가 있어요. 바로 방아잎..
김민하 국립생물자원관 환경연구관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