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은선생님

식물이야기

[신문은 선생님]
[식물 이야기] '싸리' 대신 빗자루로 쓰여… 가을에는 분홍빛 단풍 들어요 2021.10.11 (월)
아침저녁으로 쌀쌀한 바람이 느껴지는 가을이 찾아왔습니다. 식물들은 단풍으로 아름다운 가을 풍경을 만들어내고 있지요. 요즘 공원에선 선홍색 단풍이 곱게 든 둥글둥글 귀여운 '댑싸리<사진>'를 자주 만날 수 .. 최새미 식물칼럼니스트
[신문은 선생님]
[식물 이야기] 불붙으면 하얀 거품이 보글보글 나와 잘 타지 않는대요 2021.10.04 (월)
아침저녁으로 선선한 바람이 불어 가을이 왔다는 걸 느낄 수 있어요. 가을은 건조한 날씨 때문에 산불이 나기 쉬운 계절이지요. 작은 불씨로도 나무에 쉽게 불이 붙고, 바람을 타고 주변 나무들로 옮겨가 오랜 시간 조성된.. 최수진 국립백두대간수목원 전시문화사업팀장
[신문은 선생님]
[식물이야기] 백악기 공룡도 먹었다는 호주 '울레미 소나무'… 잎 두껍고 넓적해요 2021.09.27 (월)
코로나 사태가 길어지면서 외국 여행 길이 막혀 사람들은 인터넷이나 책을 보면서 이국적인 풍경을 상상한다고 해요. 그렇게 떠올리는 외국 풍경에 '식물'이 포함돼 있지요. 식물은 지구에 처음 생겨난 이래로 나라마다, 지.. 최새미 식물칼럼니스트
[신문은 선생님]
[식물 이야기] 달콤한 향기나는 '캐러멜 나무'… 암꽃·수꽃 각각 다른 나무에서 핀대요 2021.09.13 (월)
둥근 보름달을 보며 소원을 비는 추석이 다음 주로 다가왔어요. '푸른 하늘 은하수 하얀 쪽배에 계수나무 한 나무 토끼 한 마리~'. 윤극영 선생이 작사·작곡한 동요 '반달'이 떠오르는 때입니다.달에 토끼와 계수나무가.. 최수진·국립백두대간수목원 전시문화사업팀장
[신문은 선생님]
[식물 이야기] '견과류' 아닌 자두·복숭아 같은 '핵과류'… 美 캘리포니아서 80% 생산하죠 2021.09.06 (월)
우유와 비슷하게 고소한 맛을 내지만, 식물에서 나온 '제3의 우유'가 있습니다. 바로 '아몬드유'입니다. 아몬드유는 동물을 키울 때 발생하는 온실가스 등 환경 파괴 우려가 적고, 유당 불내증(유당을 소화하지 못하는 .. 최새미 식물칼럼니스트
[신문은 선생님]
[식물 이야기] 강인한 생명력 지닌 '겨우살이풀'… 영조 임금이 즐겨 먹은 한약재래요 2021.08.30 (월)
무더위가 가시고 가을의 문턱에 선 요즘, 아파트 화단이나 공원 등에서 '맥문동'을 자주 만날 수 있어요. 여름부터 초가을까지 20㎝ 정도 긴 줄기에 보랏빛 꽃이 오밀조밀하게 달려 있죠. 맥문동은 이름 때문에 중국에서.. 글·사진=최수진 국립백두대간수목원 전시문화사업팀장
[신문은 선생님]
[식물 이야기] 그릇에 바르면 윤기나는 '천연 페인트'… 피부 닿으면 알레르기 일어나요 2021.08.23 (월)
폭염과 열대야가 기승을 부렸던 올여름도 이제 한 풀 꺾인 것 같아요. 올해는 말복(8월 10일)까지도 굉장히 더웠어요. 우리는 옛부터 복날에 삼계탕 같은 보양식을 먹으면서 더위를 이기는 전통을 갖고 있는데, 올해는 .. 최새미 식물칼럼니스트
[신문은 선생님]
[식물 이야기] 오후 3시에 꽃 피우고 10시엔 오므리는 '생물시계' 갖고 있어요 2021.08.16 (월)
가을에 접어든다는 입추(立秋)가 지나서인지 아침저녁으로 제법 선선한 바람이 불어옵니다. 식물은 그 무엇보다 계절의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해요. 땅에 뿌리를 내려 이동할 수 없기 때문에 자기 자리에서 변화에 제대로 대응.. 글·사진=최수진 국립백두대간수목원 전시문화사업팀장
[신문은 선생님]
[식물 이야기] 더 빨리 번지는 호주 산불… 기름 성분 있는 '유칼립투스 숲' 때문이죠 2021.08.09 (월)
미국 서부 캘리포니아주에서 산불이 계속 번지고 있습니다. 불탄 면적이 서울 면적의 약 3배인 1700㎢로 기록됐어요. 그리스·터키 등 남유럽에서도 산불이 꺼지지 않고 있는데요. 전 세계 사람들의 우려가 이어지는 가운.. 최새미·식물 칼럼니스트
[신문은 선생님]
[식물 이야기] 1년 중 한여름 딱 이틀만 피는 꽃… 2m 넘는 잎은 100㎏ 무게도 견뎌요 2021.08.02 (월)
한여름 밤 아무도 몰래 피었다 지는 꽃이 있어요. 그것도 1년에 딱 이틀만 피기 때문에 이 꽃을 보려고 여름밤을 뜬눈으로 지새우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바로 '아마존빅토리아수련'(이하 빅토리아수련)이에요.빅토리아수련은.. 최수진 국립백두대간수목원 전시문화사업팀장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