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이야기
[신문은 선생님]
[식물 이야기] 달콤한 향기나는 '캐러멜 나무'… 암꽃·수꽃 각각 다른 나무에서 핀대요
2021.09.13 (월)
둥근 보름달을 보며 소원을 비는 추석이 다음 주로 다가왔어요. '푸른 하늘 은하수 하얀 쪽배에 계수나무 한 나무 토끼 한 마리~'. 윤극영 선생이 작사·작곡한 동요 '반달'이 떠오르는 때입니다.달에 토끼와 계수나무가..
최수진·국립백두대간수목원 전시문화사업팀장
[신문은 선생님]
[식물 이야기] '견과류' 아닌 자두·복숭아 같은 '핵과류'… 美 캘리포니아서 80% 생산하죠
2021.09.06 (월)
우유와 비슷하게 고소한 맛을 내지만, 식물에서 나온 '제3의 우유'가 있습니다. 바로 '아몬드유'입니다. 아몬드유는 동물을 키울 때 발생하는 온실가스 등 환경 파괴 우려가 적고, 유당 불내증(유당을 소화하지 못하는 ..
최새미 식물칼럼니스트
[신문은 선생님]
[식물 이야기] 강인한 생명력 지닌 '겨우살이풀'… 영조 임금이 즐겨 먹은 한약재래요
2021.08.30 (월)
무더위가 가시고 가을의 문턱에 선 요즘, 아파트 화단이나 공원 등에서 '맥문동'을 자주 만날 수 있어요. 여름부터 초가을까지 20㎝ 정도 긴 줄기에 보랏빛 꽃이 오밀조밀하게 달려 있죠. 맥문동은 이름 때문에 중국에서..
글·사진=최수진 국립백두대간수목원 전시문화사업팀장
[신문은 선생님]
[식물 이야기] 그릇에 바르면 윤기나는 '천연 페인트'… 피부 닿으면 알레르기 일어나요
2021.08.23 (월)
폭염과 열대야가 기승을 부렸던 올여름도 이제 한 풀 꺾인 것 같아요. 올해는 말복(8월 10일)까지도 굉장히 더웠어요. 우리는 옛부터 복날에 삼계탕 같은 보양식을 먹으면서 더위를 이기는 전통을 갖고 있는데, 올해는 ..
최새미 식물칼럼니스트
[신문은 선생님]
[식물 이야기] 오후 3시에 꽃 피우고 10시엔 오므리는 '생물시계' 갖고 있어요
2021.08.16 (월)
가을에 접어든다는 입추(立秋)가 지나서인지 아침저녁으로 제법 선선한 바람이 불어옵니다. 식물은 그 무엇보다 계절의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해요. 땅에 뿌리를 내려 이동할 수 없기 때문에 자기 자리에서 변화에 제대로 대응..
글·사진=최수진 국립백두대간수목원 전시문화사업팀장
[신문은 선생님]
[식물 이야기] 더 빨리 번지는 호주 산불… 기름 성분 있는 '유칼립투스 숲' 때문이죠
2021.08.09 (월)
미국 서부 캘리포니아주에서 산불이 계속 번지고 있습니다. 불탄 면적이 서울 면적의 약 3배인 1700㎢로 기록됐어요. 그리스·터키 등 남유럽에서도 산불이 꺼지지 않고 있는데요. 전 세계 사람들의 우려가 이어지는 가운..
최새미·식물 칼럼니스트
[신문은 선생님]
[식물 이야기] 1년 중 한여름 딱 이틀만 피는 꽃… 2m 넘는 잎은 100㎏ 무게도 견뎌요
2021.08.02 (월)
한여름 밤 아무도 몰래 피었다 지는 꽃이 있어요. 그것도 1년에 딱 이틀만 피기 때문에 이 꽃을 보려고 여름밤을 뜬눈으로 지새우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바로 '아마존빅토리아수련'(이하 빅토리아수련)이에요.빅토리아수련은..
최수진 국립백두대간수목원 전시문화사업팀장
[신문은 선생님]
[식물 이야기] 오수유→수유→쉬… 씨앗 속 기름으로 등불 밝히고 머리에 발랐어요
2021.07.26 (월)
한여름 불볕더위 속, 해를 피하기 위해 공원 벤치에 앉아 있으면 '붕~' 하는 꿀벌 소리가 들려요. 벌들이 주로 모이는 나무가 있는데요, 잎이나 꽃을 꺾어 문질러 보면 옅은 귤 향이 난다고 해서 '향기로운'이라는 뜻..
최새미 식물칼럼니스트
[신문은 선생님]
[식물 이야기] 뿌리에서 풍기는 비릿한 냄새… 산토끼·멧돼지 못 파먹게 하려는 생존전략
2021.07.19 (월)
본격적인 무더위가 시작됐어요. 아스팔트 도로와 빌딩이 즐비한 도시에 있다가 나무가 우거진 숲속에 들어가면 훨씬 시원함을 느낄 수 있어요. 요즘 숲속에는 기다란 분홍색 솜사탕 같은 '노루오줌'<사진> 꽃이 ..
글·사진=최수진 국립백두대간수목원 전시문화사업팀장
[신문은 선생님]
[식물 이야기] 습지에서도 잘 자라는 건 물 위로 올라온 뿌리로 숨 쉬기 때문이에요
2021.07.12 (월)
장마로 전국 곳곳에 비가 쏟아지고 있어요. 해마다 장마철이 되면 농경지가 침수해 큰 피해가 발생하기도 하지요. 육상 식물들은 동물과 마찬가지로 물에 잠기면 산소 부족으로 죽게 됩니다. 그런데 침수에도 끄떡없는 식물이..
최새미 식물칼럼니스트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