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은선생님

식물이야기

[신문은 선생님]
[식물 이야기] 열매 아사이베리는 아마존 원주민 식재료의 40% 이상 차지한대요 2023.02.20 (월)
건강식품으로 인기를 끌었던 아사이베리를 기억하시나요? 아사이베리는 손가락 반 마디만 한 검푸른색 구형 열매로, 우리가 흔히 접하는 블루베리·딸기·산딸기 등 쌍떡잎식물과는 아예 다릅니다. 오히려 벼, 백합, 대나무처럼.. 김한규 위스콘신대 박사후 연구원
[신문은 선생님]
[식물 이야기] 타원형의 두꺼운 녹색 잎… 제주도에서는 더 가늘고 끝이 뾰족해요 2023.02.13 (월)
이른 봄 다른 식물들보다 먼저 꽃을 피워 진한 꽃향기로 봄소식을 알리는 식물이 있어요. 흰 꽃에 상큼하고 우아한 향기로 잘 알려진 '백서향'이 그 주인공이죠. 꽃향기가 천 리(千里)까지 퍼진다고 하여 천리향이라는 별.. 김민하 국립생물자원관 환경연구관
[신문은 선생님]
[식물 이야기] 가지는 수평, 잎은 선형으로 자라… 울릉도에서만 자생한대요 2023.02.06 (월)
동해에 우뚝 솟은 울릉도는 성인봉을 중심으로 지형은 가파르고 눈비가 많이 내려 식물에게는 천국이지요. 섬노루귀 등 초본식물(草本植物·줄기가 나무질이 아닌 식물)과 섬단풍나무·왕매발톱나무·우산고로쇠 같은 목본식물(木本.. 김용식 전 천리포수목원장·영남대 명예교수
[신문은 선생님]
[식물 이야기] 영어 이름 '클로버'… 단백질 많아 가축 사료로 쓰여요 2023.01.30 (월)
잔디밭이나 밭두렁에 둥글고 엄지손톱만 한 하얀 꽃이 듬성듬성 피어 있는 모습을 본 적 있나요? 토끼 꼬리처럼 생긴 꽃이 피는 이 식물은 하트 모양의 작은 잎이 세 장씩 모여 나는 '토끼풀'입니다. '작은 잎(小葉·소.. 김한규 위스콘신대 박사후 연구원
[신문은 선생님]
[식물 이야기] 지름 1.5㎝ 납작하고 둥근 열매가 만두와 닮았대요 2023.01.16 (월)
설날에 먹는 대표적인 음식 중 하나로 만둣국이 있죠. 만둣국은 만두의 통통한 모습처럼 복을 기원하는 의미로 먹는 거라고 해요. 이런 만두를 닮아 이름에 만두가 들어간 식물이 있습니다. 열매 모양이 만두와 많이 닮은 .. 김민하 국립생물자원관 환경연구관
[신문은 선생님]
[식물 이야기] 땅에 줄기 붙이고 누워 자라기도… 잎 뒷면에는 밝은 흰색 선 있어요 2023.01.09 (월)
자라는 습성에 따라 이름 붙은 나무들이 있습니다. 가지가 줄기에 층층으로 돌려나면 층층나무, 줄기가 땅바닥에 뻗어 자라면 눈향나무('누운 향나무')라고 하는 식이죠. 눈측백도 마찬가지예요. 측백나무와 비슷하게 생겼는.. 김용식 전 천리포수목원장·영남대 명예교수
[신문은 선생님]
[식물 이야기] 열매는 감이랑 비슷한데 크기가 훨씬 작고 씨는 많대요 2023.01.02 (월)
가을에 수확한 감이 겨울철 곶감으로 말라갈 무렵, 숲속 가지 끝에 남아있던 고욤나무 열매도 검붉은색으로 마르기 시작합니다. 고욤나무는 감나무와 같은 속(屬)으로, 우리나라와 유라시아 대륙의 따뜻한 온대 지방에 자생하.. 김한규 위스콘신대 박사후연구원
[신문은 선생님]
[식물 이야기] 흰 눈 속에서도 빨간 열매 맺어… 남쪽 해안에서 자란대요 2022.12.26 (월)
겨울은 다양한 딸기를 맛볼 수 있는 제철이에요. 농업 기술의 발달로 비닐하우스 재배가 보편화하고 겨울부터 수확할 수 있는 '설향' 같은 품종이 개발된 2005년 이후부터 '겨울 제철 딸기'라는 인식이 생겨났다고 해요.. 김민하 국립생물자원관 환경연구관
[신문은 선생님]
[식물 이야기] 세로로 깊게 파여 갈라진 껍질이 특징… 망개떡과는 관계없대요 2022.12.19 (월)
겨울철 잎을 다 떨궜지만 독특한 나무껍질로 시선을 사로잡는 식물이 있습니다. 바로 망개나무인데요. 망개나무의 껍질은 세로 방향으로 길게 파여 불규칙적으로 갈라진 독특한 모양을 하고 있어요. 나무가 크게 자라면 자랄수.. 김용식 전 천리포수목원장·영남대 명예교수
[식물 이야기]
잎과 줄기에서 향기 나… 나무껍질로는 계피 만들어요 2022.12.12 (월)
제주도를 포함한 우리나라 남부 해안 지방은 따뜻한 기후 덕분에 다양한 늘푸른넓은잎나무(사철 내내 잎이 푸른 활엽수)가 자라고 있습니다. 이 중에는 우리가 겨울철 따뜻한 차로 자주 접하는 향신료인 계피와 밀접한 관련이.. 김한규 위스콘신대 박사후연구원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