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은 선생님
[식물 이야기] 세로로 깊게 파여 갈라진 껍질이 특징… 망개떡과는 관계없대요
입력 : 2022.12.19 03:30
망개나무
- ▲ 망개나무의 껍질(위 사진)은 세로 방향으로 길게 파여 불규칙적으로 갈라진 독특한 모양을 하고 있어요. 아래 사진은 망개나무의 잎. /필자 제공
망개나무속(屬) 식물은 우리나라와 중국·일본을 비롯한 아시아 동남부의 온대와 열대 지역에 총 32종이 자랍니다. 그중 망개나무는 경사가 완만한 양지바른 능선에서 잘 자라지만, 흙이 거의 없는 계곡의 바위틈에서도 거뜬히 뿌리를 내리고 살 수 있어요.
우리나라의 망개나무는 1935년 충북 보은군에 있는 법주사의 계곡에서 처음 발견됐어요. 최근에는 속리산·월악산·내연산 등 충북과 경북 지역의 산과 계곡 등지에서 큰 자생지가 발견됐고요. 특히 이 중에서도 충북 괴산 사담리(천연기념물 제266호)와 충북 제천 송계리(천연기념물 제337호) 등에 있는 망개나무는 국가에서 귀중한 식물 자원으로 지정해 보호하지요.
꽃이 많이 달리는 망개나무는 중요한 밀원식물(꿀벌이 살아가는 데 필요한 꽃꿀과 꽃가루를 제공하는 식물) 중 하나입니다. 꽃은 5월 중순에 피는데, 연한 녹색이지요. 열매는 8월 중순이 되면 검은빛을 띤 빨간색으로 익는답니다. 특히 새들이 즐겨 먹지요. 망개나무는 흔히 맷대싸리라고도 부르는데요. 나무 재질의 결이 매우 곧고 단단하기 때문에 농기구를 만드는 재료로도 이용했답니다. 과거에는 농기구 중에서도 써레(갈아 놓은 논의 바닥을 고르는 데 쓰는 농기구)의 살을 만드는 유일한 재료로 사용됐다고 해요.
예부터 우리는 우량한 망개나무를 땔감 등의 용도로 많이 베어 썼어요. 그래서 최근엔 형질이 나쁜 나무만 남아 있어 우려가 나오기도 하지요. 망개나무는 햇볕이 잘 드는 곳을 좋아하기 때문에 양지바른 도로변의 비탈면 등에 심으면 좋아요. 16세기 중국 명나라 약학서인 '본초강목'에는 망개나무가 해독 작용 등에 효과가 있으며 특히 잎이 만성 염증을 진정시키는 데 효과가 있다고 적혀 있답니다.
경상도 지역에서는 덩굴식물인 청미래덩굴을 망개나무라고 부르는데요. 둘은 다른 식물이랍니다. 청미래덩굴의 잎은 망개떡을 만드는 데 사용되는데, 이 때문에 망개떡이라는 이름이 붙은 거예요. 넓고 잎맥이 선명한 잎을 따서 소금에 절여 놓았다가 떡을 잎으로 감싸서 쪄내면 서로 달라붙지도, 잘 쉬지도 않는다고 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