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이야기
[신문은 선생님]
[식물 이야기] 작은 대나무처럼 생겨… 3억년 전에도 살았대요
2022.04.25 (월)
산지를 걷다 무릎 정도 높이로 빽빽하게 자라난 짙은 녹색 식물을 본 적이 있나요? 바로 '속새'인데요. 높이 30~60㎝ 정도로, 줄기에 여러 개의 마디가 나 있어 작은 대나무로도 착각하기 쉽답니다.속새<사진&..
김한규 위스콘신대 박사후 연구원
[신문은 선생님]
[식물 이야기] 꽃에서 퍼지는 은은한 초콜릿 향기… 열매는 바나나 닮았어요
2022.04.18 (월)
늦은 봄 산에서는 등나무처럼 다른 나무를 감고 올라간 식물을 찾아볼 수 있는데요. 이 식물의 이름은 으름덩굴이랍니다.으름덩굴은 우리나라 황해도 이남의 산지에서 흔히 자라는 낙엽성 덩굴나무예요. 낙엽성이란 겨울이나 건..
김민하 국립생물자원관 환경연구관
[신문은 선생님]
[식물 이야기] 소금기 많은 갯벌에만 살아요… 여러 번 잎 색깔 변하는 '칠면초'
2022.04.11 (월)
회색빛 갯벌에도 봄이 찾아오기 시작했습니다. 짠 바닷물이 오가는 데다 강한 바람이나 햇빛을 적당히 막아주는 큰 나무도 없는 갯벌. 이런 혹독한 환경에서도 뿌리를 내리고 살아가는 염생(鹽生)식물이 있습니다. 봄이 오면..
최새미 식물칼럼니스트
[신문은 선생님]
[식물 이야기] 우리나라에만 사는 특산식물… 개나리처럼 잎보다 꽃 먼저 피우는 봄의 전령사
2022.04.04 (월)
봄이 오면 많은 나무들이 제각기 아름다움을 뽐내기 위해 꽤 바빠 보입니다. 그중에서도 다른 나무들보다 먼저 꽃을 피워 봄이 오고 있음을 알려주는 나무가 있어요. 바로 '히어리'인데요. 히어리<사진>는 미선..
김용식 천리포수목원 원장
[신문은 선생님]
[식물 이야기] 주머니 모양 열매에서 씨앗 터져… 개미가 물어다 여기저기 퍼트린대요
2022.03.28 (월)
봄이 되면 숲속에 쌓인 눈이 녹고, 빽빽한 녹음이 우거지기 전까지 숲 바닥에는 충분한 빛이 도달합니다. 이 기회를 아주 잘 활용하는 식물이 있는데요. 봄철 짧은 기간에만 볼 수 있는 백합과 식물 '얼레지'입니다.이 ..
김한규 위스콘신대 박사후 연구원
[신문은 선생님]
[식물 이야기] 한국 야생에서 자라는 유일한 튤립… 장아찌·한약재로 쓰여요
2022.03.21 (월)
17세기 초 네덜란드에서 식물 투기가 사회적인 문제가 된 적이 있습니다. 터키에서 수입해 정원 식물로 키우던 튤립이 인기를 끌자 사람들이 튤립 구근(球根·알처럼 생긴 뿌리)을 미리 사 놓으려 너도나도 달려들면서 가격..
김민하 국립생물자원관 환경연구관
[신문은 선생님]
[식물 이야기] 몸에서 열 내 일정한 온도 유지… 추워도 꽃 피우는 비결이에요
2022.03.14 (월)
눈이 녹지 않은 이른 봄철, 산속 숲 바닥에서 특이한 형태의 꽃을 피우는 식물이 있습니다. '앉은부채'인데요. 이 식물은 자주색 혹은 노란색 보자기 같은 조직 안에 작은 꽃들이 통통한 꽃대에 붙어있는 달걀 모양의 꽃..
김한규 위스콘신대 산림·야생 생태학 박사 후 연구원
[신문은 선생님]
[식물 이야기] 줄기 끝에서 90도로 꺾여 피는 꽃… '입학식 꽃다발'로 유명하대요
2022.03.07 (월)
새 학기 입학 기념 선물로 인기 있는 꽃다발이 있습니다. '새로운 시작을 응원한다'는 꽃말을 가진 '프리지어'인데요. 3월이 되면 프리지어는 둥글게 뭉쳐진 손가락 반 마디만 한 꽃봉오리 사이로 수술을 드러내며 꽃잎을..
최새미 식물칼럼니스트
[신문은 선생님]
[식물 이야기] 두 개 나란히 맺혀 붙은 이름… '봄까치꽃'으로도 불려요
2022.02.28 (월)
봄기운이 비치는 늦겨울 양지바른 길가에서 작고 푸른 꽃을 일찌감치 피우는 식물이 있습니다. '큰개불알풀'인데요. 꽃이 진 뒤 열매가 두 개로 나란히 붙어 맺히는 특징 때문에 이런 이름이 붙었다고 해요.큰개불알풀의 꽃..
김한규 위스콘신대 산림·야생 생태학 박사 후 연구원
[신문은 선생님]
[식물 이야기] 구릿한 냄새 나지만 살균 효과 있고 마음 진정시켜준대요
2022.02.21 (월)
꽃피는 봄철이 되면 종종 관광지에서 화장실 냄새 비슷한 악취가 심하다는 민원이 발생하는데요. 이 중 많은 경우가 식물에서 나는 냄새가 원인이라고 해요. 냄새의 주범은 '사스레피나무'예요. 이 식물의 꽃에서는 악취처럼..
김민하 국립생물자원관 환경연구관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