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이야기
[신문은 선생님]
[식물 이야기] 2가지 種 모두 멸종 위기… 인디언들은 뿌리·잎·줄기를 약으로 썼대요
2023.04.03 (월)
깽깽이풀속(屬)은 현재 2가지 종(種)이 알려져 있어요. 하나는 캐나다 동부에서 미국 남부·북동부 지역에 분포하는 종입니다. 다른 하나는 우리나라와 중국·러시아에서 살아가는 종이지요.우리나라의 깽깽이풀은 제주도를 제..
김용식 전 천리포수목원장·영남대 명예교수
[신문은 선생님]
[식물 이야기] 별 모양 노란 꽃이 특징… 땅속 비늘줄기는 자양강장제로 사용했대요
2023.03.27 (월)
이른 봄 대지에 남은 눈[雪] 위로 모습을 드러내는 봄꽃이 있어요. 얼음 위에 핀 꽃, '정빙화(頂氷花)'라고 불리는 이 꽃의 이름은 '중의무릇'. 별 모양 꽃을 가진 멋진 식물이죠. 이 식물의 꽃잎 여섯 개가 활짝..
김민하 국립생물자원관 환경연구관
[신문은 선생님]
[식물 이야기] 온달이 벗겨 먹었던 껍질, 질겨서 밧줄·옷도 만들었대요
2023.03.20 (월)
느릅나무는 중국과 일본을 비롯한 동북아시아 지역에 널리 분포하는 나무입니다. 주로 해발 100~1200m 지대에 살고 있지요. 그늘이나 햇살이 잘 비치는 곳 모두 잘 자라는데, 보통은 강변이나 물이 많은 토양에서 자..
김용식 전 천리포수목원장·영남대 명예교수
[신문은 선생님]
[식물 이야기] 17세기 인기 끈 품종의 구근은 집 한 채 값이었대요
2023.03.13 (월)
언 땅이 녹고 봄기운이 찾아오면 정원 구석에 심겨진 튤립 구근(球根·식물이 꽃을 피우는 데 필요한 양분을 저장하기 위해 잎·줄기·뿌리 등 특정 부위가 비대화돼 뿌리부의 조직처럼 발달한 기관)에서 푸른 잎이 돋아납니다..
김한규 위스콘신대 박사후 연구원
[신문은 선생님]
[식물 이야기] 3개로 갈라진 잎자루에서 작은 잎이 다시 3개로 갈라진대요
2023.03.06 (월)
만물이 겨울잠에서 깨어난다는 절기인 경칩(驚蟄)이 되면 개구리가 깨어나 알을 낳는다고 하죠. 경칩이 되면 떠오르는 대표적 동물인 '개구리'가 이름에 들어가고, 이맘때쯤 꽃도 피우는 식물이 있어요. 바로 '개구리발톱'..
김민하 국립생물자원관 환경연구관
[신문은 선생님]
[식물 이야기] 치밀하고 단단해 가구·바둑판 만들어… 씨앗은 구충제로 쓰였대요
2023.02.27 (월)
우리나라에서 오래 사는 나무는 어떤 게 있을까요? 흔히 울릉도 도동의 절벽에 자라는 향나무, 또는 '살아서 1000년 죽어서 1000년'이라는 태백산이나 소백산의 주목(朱木·적백송·수송 등으로도 불림)을 떠올리는데요..
김용식 전 천리포수목원장·영남대 명예교수
[신문은 선생님]
[식물 이야기] 열매 아사이베리는 아마존 원주민 식재료의 40% 이상 차지한대요
2023.02.20 (월)
건강식품으로 인기를 끌었던 아사이베리를 기억하시나요? 아사이베리는 손가락 반 마디만 한 검푸른색 구형 열매로, 우리가 흔히 접하는 블루베리·딸기·산딸기 등 쌍떡잎식물과는 아예 다릅니다. 오히려 벼, 백합, 대나무처럼..
김한규 위스콘신대 박사후 연구원
[신문은 선생님]
[식물 이야기] 타원형의 두꺼운 녹색 잎… 제주도에서는 더 가늘고 끝이 뾰족해요
2023.02.13 (월)
이른 봄 다른 식물들보다 먼저 꽃을 피워 진한 꽃향기로 봄소식을 알리는 식물이 있어요. 흰 꽃에 상큼하고 우아한 향기로 잘 알려진 '백서향'이 그 주인공이죠. 꽃향기가 천 리(千里)까지 퍼진다고 하여 천리향이라는 별..
김민하 국립생물자원관 환경연구관
[신문은 선생님]
[식물 이야기] 가지는 수평, 잎은 선형으로 자라… 울릉도에서만 자생한대요
2023.02.06 (월)
동해에 우뚝 솟은 울릉도는 성인봉을 중심으로 지형은 가파르고 눈비가 많이 내려 식물에게는 천국이지요. 섬노루귀 등 초본식물(草本植物·줄기가 나무질이 아닌 식물)과 섬단풍나무·왕매발톱나무·우산고로쇠 같은 목본식물(木本..
김용식 전 천리포수목원장·영남대 명예교수
[신문은 선생님]
[식물 이야기] 영어 이름 '클로버'… 단백질 많아 가축 사료로 쓰여요
2023.01.30 (월)
잔디밭이나 밭두렁에 둥글고 엄지손톱만 한 하얀 꽃이 듬성듬성 피어 있는 모습을 본 적 있나요? 토끼 꼬리처럼 생긴 꽃이 피는 이 식물은 하트 모양의 작은 잎이 세 장씩 모여 나는 '토끼풀'입니다. '작은 잎(小葉·소..
김한규 위스콘신대 박사후 연구원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