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은선생님

아하! 시리즈

[신문은 선생님]
[아하! 이 식물] 열대지방 사는 '생태계 파수꾼'… 바닷가 생물에 안식처 제공해요 2018.01.30 (화)
거친 파도와 쓰나미(지진 해일), 소금기를 머금은 짜디짠 물. 바닷가는 식물이 살기 어려운 환경이에요. 그런데 열대·아열대 지역에는 강이나 바닷가에만 서식하는 특별한 나무가 있어요. 뿌리를 물속에 1m 정도 담그고 .. 최새미 식물 칼럼니스트
[신문은 선생님]
[아하! 이 음식] 한국인이 가장 많이 먹는 과일… 한라봉·레드향 등과 사촌 2018.01.23 (화)
겨울철이 되면 대형마트나 시장에는 누런 황금빛의 잘 익은 감귤(柑橘)이 가득해요. 감귤은 우리나라 사람들이 가장 많이 먹는 과일이랍니다. 지난해 1인당 감귤 소비량은 12.4 ㎏로 사과를 제치고 과수(과일나무 열매).. 박현진 고려대 식품공학과 교수
[신문은 선생님]
[아하! 이 장소] 7개 토후국이 세운 UAE의 수도… 아부다비 왕이 대통령이죠 2018.01.16 (화)
최근 아랍에미리트연합(UAE·United Arab Emirates)의 칼둔 칼리파 알 무바라크 아부다비 행정청장이 우리나라를 방문하면서 중동 국가인 UAE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어요. UAE는 페르시아만 남부의 .. 박의현·창덕여중 지리 교사
[신문은 선생님]
[아하! 이 식물] 겨울에 돋보이는 새빨간 열매, 시·설화 소재로 자주 등장 2018.01.09 (화)
하얗게 입김이 나오는 아침 산책길이면 마른 나뭇가지 사이에서 작고 새빨간 열매를 만날 수 있어요. 바로 '산수유〈사진〉'지요. 타원형으로 1㎝ 남짓한 아주 작은 이 열매는 영하를 밑도는 한겨울 날씨에도 햇빛을 받아 .. 최새미·식물 칼럼니스트
[신문은 선생님]
[아하! 이 음식] 둥근 가래떡, 한 해를 의미… 원래 꿩고기로 국물 만들어 2018.01.02 (화)
매년 새해에 우리나라에서는 명절 음식인 떡국〈사진〉을 먹어요. 흰색(白) 떡국에 붉은(赤)색 고기, 파란(靑)색 파, 노란(黃)색 달걀노른자 지단, 검은(黑)색 김을 고명으로 얹어서 색깔을 음양오행설에 맞춰 왔어요... 박현진 고려대 식품공학과 교수
[신문은 선생님]
[아하! 이 장소] 새해를 가장 먼저 맞는 나라… 지구온난화로 땅 잠기고 있죠 2017.12.26 (화)
며칠 뒤면 새해가 시작돼요. 우리나라 시간으로 2018년 1월 1일 0시(자정)부터이지요. 세계에서 가장 먼저 새해를 맞이하는 국가는 어디일까요? 바로 키리바시(Kiribati)공화국이랍니다. 총면적(약 811㎢)이.. 박의현·창덕여중 지리 교사
[신문은 선생님]
[아하! 이 식물] 크리스마스 대표 식물… 꽃잎처럼 보이는 건 사실 '빨간 잎' 2017.12.19 (화)
이제 곧 크리스마스예요. 이 시기에는 전나무나 구상나무를 한껏 꾸민 크리스마스 트리와 얇은 나뭇가지 여러 개를 둥글게 구부려 엮은 화환(리스·Wreath) 장식이 아름답지요. 뾰족한 초록색 침엽, 메마른 나뭇가지, .. 최새미 식물 칼럼니스트
[신문은 선생님]
[아하! 이 음식] 추운 바다 좋아하는 어류… 고소하고 부드러운 최고의 횟감 2017.12.12 (화)
추운 겨울은 방어(魴魚)가 제철이에요. 살이 통통하게 오른 방어는 참 맛있지요. 이 중 무게가 6㎏ 이상인 방어를 대방어라고 하는데, 일반 방어보다 가격이 2배 정도 비싸요.방어는 제주도 마라도 인근 해상에서 잘 잡.. 박현진 고려대 식품공학과 교수
[신문은 선생님]
[아하! 이 장소] 연평균 적설량 630㎝… 전 세계 200만명 찾는 '눈 축제' 유명 2017.12.05 (화)
이번 주 목요일(7일)은 대설(大雪)이에요. 우리나라 전통 달력인 24절기 중 21번째 절기로, 눈이 많이 내린다는 뜻이지요. 우리나라는 지난달 강원도와 충청 내륙 지방에 대설주의보가 내려질 정도로 많은 눈이 왔어요.. 박의현 창덕여중 지리 교사
[신문은 선생님]
[아하! 이 식물] 겨울 새들 위해 '까치밥' 남겨… 줄기로 고급가구 만들죠 2017.11.28 (화)
예로부터 우리 조상은 늦가을이 되면 동물들에게 빨갛게 익은 감을 나눠 주었어요. 감나무〈사진〉 꼭대기에 남겨진 '까치밥' 문화에서 그러한 따스한 마음을 엿볼 수 있지요. 서울 같은 대도시에선 까치 먹으라고 남긴 감을.. 최새미 식물 칼럼니스트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