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물이야기
-
-
-
- [신문은 선생님]
-
[동물이야기] 주황색 벌레 전국 곳곳서 출몰… 닿기만 해도 화상 입은듯한 고통
2019.10.18 (금)
-
지난달 전북 완주에 있는 한 대학교 인터넷 커뮤니티에 '기숙사에 화상벌레가 나타났다'는 게시물이 올라왔어요. 사실 이 곤충의 본명은 '청딱지개미반날개'랍니다. 그런데 이 벌레가 사람 피부에 닿으면 화상을 입은 것처럼..
김창회 박사·전 국립생태원 생태조사연구실
-
-
-
- [신문은 선생님]
-
[동물이야기] 산란둥지 온도 30도보다 높으면 암컷, 낮으면 수컷으로 태어나
2019.10.04 (금)
-
최근 한 한국인 스쿠버다이버가 필리핀 보라카이섬 앞바다에서 거북이 한 마리가 구정물이 쏟아지는 하수관에 머리를 박고 있는 사진을 찍어 공개했어요. 이 거북은 어떤 종이고 왜 이런 행동을 했던 걸까요?지구 바다에서 사..
김창회 박사·전 국립생태원 생태조사연구실
-
-
-
- [신문은 선생님]
-
[동물이야기] 나무 위에 사는 큰 뱀, 스컹크처럼 방귀 뀌어 적 물리치죠
2019.09.20 (금)
-
아마존 화재로 이 지역에 사는 여러 동물의 생존이 위협받고 있습니다. 아마존은 세계에서 가장 다양한 생물이 사는 열대우림이랍니다. 전 세계 생물종의 3분의 1이 살고 있어요. 최근 미국 스미스소니언 자연사박물관 연구..
김창회 박사·전 국립생태원 생태조사연구실
-
-
-
- [신문은 선생님]
-
[동물이야기] '천연 수경' 쓰고 10m 아래까지 잠수해 물고기 낚아채죠
2019.08.30 (금)
-
최근 한·일 관계가 악화되면서 1989년 일본 경제평론가 고무라 나오키(小室直樹)가 주장한 '가마우지 경제'가 화제였습니다. 한국이 핵심 부품을 일본에서 수입하기 때문에 수출이 늘어나면 늘어날수록 일본이 이득을 본다..
김창회 박사·전 국립생태원 생태조사연구실
-
-
-
- [신문은 선생님]
-
[동물이야기] 고양이보다 크고, 귀 둥글어… 6·25 이후 쥐약 살포로 멸종위기
2019.08.16 (금)
-
지난달 충남 태안해안국립공원이 멸종 위기종 삵이 먹이를 사냥하는 영상을 촬영해 공개했습니다. 태안해안국립공원에서는 10여 년 전부터 삵의 흔적만 발견됐는데, 공원은 지난 4월부터 무인 카메라 10대를 설치해 실제로 ..
김창회 박사·전 국립생태원 생태조사연구실
-
-
-
- [신문은 선생님]
-
[동물이야기] 하루에 해초 30㎏ 먹는 '바다 소'… 옛 뱃사람은 인어로 착각하기도
2019.08.02 (금)
-
얼마 전 태국에서 어미를 잃은 채 발견된 '아기 듀공'이 방송을 타면서 세계적으로 화제가 됐어요. 마리암이라는 이름이 붙은 생후 6개월 된 아기 듀공인데요, 지난 4월 발견돼 사람이 안아 우유를 먹여가며 키우고 있어..
김창회 박사·전 국립생태원 생태조사연구실
-
-
-
- [신문은 선생님]
-
[동물이야기] 짧은 귀와 동글동글한 몸, 북극에서 살아남는 비결이죠
2019.07.19 (금)
-
지난달 노르웨이 극지연구소는 GPS 추적 장치가 장착된 북극여우 암컷이 노르웨이에서 출발해 얼어붙은 북극해와 그린란드를 건너 캐나다 북부 엘즈미어섬에 도착했다고 발표했어요. 76일 동안 약 3500㎞를 이동한 거지요..
김창회 박사·전 국립생태원 생태조사연구실
-
-
-
- [신문은 선생님]
-
[동물이야기] '바닷속 카멜레온'… 색소 세포로 무지개색·금색도 흉내
2019.07.05 (금)
-
최근 해양수산부가 국내 기술로 인공 부화한 갑오징어를 어미로 키운 뒤 다시 알을 받아 부화시키는 양식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어요. 갑오징어는 1980년대 중반까지만 해도 연간 약 6만t이 잡혔지만 최근에는 연 500..
김창회 박사·전 국립생태원 생태조사연구실
-
-
-
- [신문은 선생님]
-
[동물이야기] 40년 전 국내서 멸종… 인공번식시켜 지난달 우포늪에 방사
2019.06.21 (금)
-
지난달 한반도에서 40년 전 멸종됐던 따오기(Nipponia nippon) 10마리가 경남 창녕 우포늪에 방사됐어요. 따오기는 19세기 전반까지 한국, 일본, 중국, 러시아 등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는 몸길이 75㎝..
김창회 박사·전 국립생태원 생태조사연구실
-
-
-
- [신문은 선생님]
-
[동물이야기] 흑비둘기는 GPS, 개개비는 유전정보로 '월동 장소' 연구하죠
2019.05.31 (금)
-
울릉도에서 살던 흑비둘기〈왼쪽 사진〉가 겨울이면 어디론가 사라지곤 했는데, 지난달 국립생태원이 "흑비둘기가 일본에서 월동했던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어요.흑비둘기는 한국과 일본의 여러 섬에서 번식하는 몸길이 40㎝ ..
김창회 박사·전 국립생태원 생태조사연구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