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물이야기
[신문은 선생님]
[동물이야기] 수분 아끼려 땀도 덜 흘려… 기온 따라 체온 조절할 수 있어요
2019.05.17 (금)
국제 동물보호단체 페타(PETA)가 지난달 이집트 피라미드에서 사람을 태우는 낙타들이 학대를 받고 있다고 주장했어요. 요즘은 관광지 관광 상품이 됐지만, 역사적으로 낙타는 말과 자동차로는 갈 수 없는 험준한 길이나 ..
김창회 박사·전 국립생태원 생태조사연구실
[신문은 선생님]
[동물이야기] 날개·귀 오렌지색이라 별명 '황금박쥐'… 숲 줄어 멸종 위기
2019.05.03 (금)
전남 함평군이 함평나비대축제 기간(4월 26일~5월 6일)에 맞춰 함평 엑스포공원에서 90억원대 황금박쥐상을 전시하고 있어요. 2017년 함평에서 황금박쥐가 발견된 걸 기념하기 위해 함평군이 만든 조형물이죠. 평소엔..
김창회 박사·전 국립생태원 생태조사연구실
[신문은 선생님]
[동물이야기] 짝 못 찾은 수컷들, 남의 둥지에 '육아 도우미'로 취직해요
2019.04.19 (금)
맞벌이 가정은 자녀를 돌봐줄 아이 돌보미가 필요합니다. 그런데 사람처럼 돌보미를 두는 동물이 있어요. 바로 물까치입니다.물까치는 한반도 전역에 사는 텃새입니다. 청초한 푸른빛 날개와 꼬리가 특징입니다. 덩치는 까치보..
김창회 박사·전 국립생태원 생태조사연구실
[신문은 선생님]
[동물이야기] 4m까지 자라는 '거대 물고기' 수면에 누워 일광욕 즐겨요
2019.04.05 (금)
최근 호주 해안가에서 2.5m 크기의 큼직한 물고기가 죽은 채로 발견돼 화제였어요. 바로 '개복치'였죠. 물고기 머리와 몸통 앞부분만 있는 것 같은 독특한 모양을 하고 있어요. 개복치는 크게는 길이 4m, 무게 2t..
김창회 박사·전 국립생태원 생태조사연구실
[신문은 선생님]
[동물이야기] 눈이 머리 양 옆에 있어… 입체감·거리감 떨어진 탓이죠
2019.03.22 (금)
매년 유리창이나 투명한 방음벽 등에 부딪혀 죽는 새가 800만 마리나 된다고 최근 환경부가 발표했어요. 보통 새는 인간보다 시력이 월등히 뛰어나다고 하지요. 그런데 왜 이들이 유리창은 못 알아보고 부딪히게 되는 걸까..
김창회 박사·전 국립생태원 생태조사연구실
[신문은 선생님]
[동물이야기] 황소개구리를 암컷으로 착각해 끌어안다 압사시킨대요
2019.03.08 (금)
지난 6일은 만물이 겨울잠에서 깨어난다는 경칩(驚蟄)이었어요. 이 무렵 봄을 알리는 천둥이 치고, 그 소리에 놀라(경·驚) 벌레(칩·蟄)들이 뛰어나온다고 옛날 사람들이 경칩이란 이름을 붙였어요.겨울잠을 자던 두꺼비〈..
김창회 박사·전 국립생태원 생태조사연구실
[신문은 선생님]
[동물이야기] 눈에 잘 띄는 흑표범, 숨을 곳 없는 사바나에선 살기 어려워요
2019.02.22 (금)
오는 25일 열리는 '제91회 아카데미 시상식' 작품상 후보로 영화 '블랙 팬서'가 이름을 올렸어요. 우리말로는 '흑표범'이죠. 마침 최근 케냐에서 1909년 이후 110년 만에 흑표범이 카메라에 포착됐다고 해요. ..
김창회 박사·전 국립생태원 생태조사연구실
[신문은 선생님]
[동물이야기] 해수면 3m 위까지 솟구쳐 바닷새 잡아먹는 사냥꾼
2019.02.08 (금)
'뚜루루뚜뚜'라는 경쾌한 후렴구로 인기가 있는 우리나라 동요 '상어가족'의 영문판 '베이비샤크(Baby Shark)'가 지난달 미국 빌보드 핫100 차트에 32위로 진입해서 5주째 30위권에 머무르고 있어요. 우리나..
김창회 박사·전 국립생태원 책임연구원
[신문은 선생님]
[동물이야기] 겨울에도 부지런히 돌아다니는 두더지는 땅속 '해충잡이'예요
2019.01.25 (금)
동물들이 겨울잠에 빠져 있는 한겨울에 땅속을 열심히 돌아다니며 먹이를 찾아 먹는 생물이 있습니다. 바로 두더지입니다.두더지는 흔히 겨울잠을 자는 동물로 잘못 알려져 있어요. 실제로는 겨울잠을 자지 않는 답니다. 먹이..
김창회 박사·전 국립생태원 생태조사연구실
[신문은 선생님]
[동물이야기] 1980년대 年 10만t 잡혔던 명태… 다시 돌아올까?
2019.01.11 (금)
"내장은 창란젓 알은 명란젓 아가미로 만든 아가미젓/ 눈알은 구워서 술안주 하고 괴기는 국을 끓여 먹고/ 어느 하나 버릴 것 없는 명태/ 그 기름으로는 또 약용으로 쓰인데제이요."가수 강산에가 부른 노래 '명태'의 ..
김창회 박사·전 국립생태원 생태조사연구실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