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은선생님

동물이야기

[신문은 선생님]
[동물이야기] 덩치는 고양이만 해도 호랑이와 싸울 정도로 대범해요 2020.12.24 (목)
과거 한반도에는 호랑이, 늑대, 표범이 살았어요. 현재는 모두 사라졌는데, 이들의 빈자리를 채운 생태계 최상위 포식자가 있습니다. 바로 족제빗과에 속하는 담비입니다.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담비의 정식 이름은 노란목도리.. 윤광배 박사·국립생태원 서식지보전연구팀
[신문은 선생님]
[동물 이야기] 탐진강·보성강에 사는 포식자… 상대 위협하는 눈 모양 반점과 독가시 있어요 2020.12.10 (목)
농어목 꺽짓과에 속한 꺽저기<사진>는 탐진강, 보성강 등 남해로 흘러가는 일부 하천에서만 관찰되는 담수 물고기입니다. 꺽저기는 하천 상류나 중류의 물 흐름이 느리고 수생식물이 풍부한 지역을 선호합니다. 서.. 최종윤 박사·국립생태원 생태공간연구팀
[신문은 선생님]
[동물이야기] 위도 따라 먹이 경쟁 달라… 고위도는 외벌이, 저위도는 맞벌이래요 2020.11.26 (목)
새들은 위도에 따라 살아가는 모습이 달라집니다. 위도는 지구에서 적도를 기준으로 북쪽 또는 남쪽으로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 나타냅니다. 위도에 따라 계절별 태양에너지와 낮과 밤의 길이가 달라져요. 새에게는 번식 기간,.. 윤종민·국립생태원 멸종위기종복원센터
[신문은 선생님]
[동물이야기] 귀엽게 생겼지만 '하천 최상위 포식자'… 하루에 자기 몸무게 10% 먹어치운대요 2020.11.13 (금)
최근 무등산 국립공원에서 멸종위기종 1급 수달을 비롯한 다양한 동물들이 포착돼 주목을 받았어요. 수달<사진>은 귀여운 외모로 사람들에게 인기가 많은 대표적인 야생동물이랍니다. 우리나라 하천, 해안 등과 같.. 윤광배 박사·국립생태원 서식지보전연구팀
[신문은 선생님]
[동물이야기] 논두렁 잡초 먹어치우는 '남미산 일꾼'… 너무 많아져 골칫거리 됐대요 2020.10.30 (금)
얼마 전 전남 화순군이 친환경 농법을 위해 농가에 보급했던 왕우렁이<사진>를 수거한다고 밝혔어요. 제초제를 사용하지 않는 친환경 농사에 왕우렁이는 필수인데, 왕우렁이 수가 너무 급격히 늘면서 문제가 됐기 .. 최종윤 박사·국립생태원 생태공간연구팀
[신문은 선생님]
[동물이야기] 50년 전까지 한반도에도 살았던 표범… 만주·러시아에 120마리만 남았죠 2020.10.16 (금)
최근 국립생태원이 한국·러시아 수교 30주년을 기념해 러시아 '표범의 땅 국립공원'과 표범 복원 사업을 공동 추진하기로 했다는 소식이 전해졌어요. 1970년 이후 사실상 한반도에서 자취를 감춘 표범을 다시 만날 수 .. 김창회 박사·전 국립생태원 생태조사연구실
[신문은 선생님]
[동물 이야기] 그리스어 '변화'라는 단어에서 따온 이름… 치명적인 '살인 아메바'도 있어요 2020.09.24 (목)
얼마 전 영국 글래스고대의 로버트 인살 교수 연구진이 국제 학술지 '사이언스'에 "아메바가 사람의 혈관처럼 아주 작은 미로를 빠져나가는 비결을 알아냈다"고 밝혀 화제가 됐어요. 단 한 개의 세포로 이루어진 생물체를 .. 김창회 박사·전 국립생태원 생태조사연구실
[신문은 선생님]
[동물이야기] 최대 길이 3m·몸무게 900㎏ '바다의 장군'… 딱딱한 등딱지 대신 '가죽 갑옷' 입었대요 2020.09.11 (금)
코로나 확산으로 관광객이 사라진 태국 해변에서 20년 만에 가장 많은 장수거북(leatherback sea turtle)〈사진〉의 산란처가 발견됐다고 해요. 과거에는 인간이 거북의 산란을 방해해서 많은 알을 낳지 못.. 김창회 박사·전 국립생태원 생태조사연구실
[신문은 선생님]
[동물이야기] 새끼손톱보다 작은 '갯벌의 꼬마 청소부'… 보호생물로 함부로 잡으면 안돼요 2020.08.28 (금)
코로나 사태로 여행도 자제해야 하는 시절이지만, 얼마 전까지만 해도 갯벌로 여행을 떠나는 사람이 많았죠. 우리나라 서해안 청정 갯벌에는 '눈콩게'가 산답니다. 한눈에 알아보기가 쉽지 않은 아주 조그만 생물이에요.어른.. 김창회 박사·전 국립생태원 생태조사연실
[신문은 선생님]
[동물이야기] 하루 14시간 대나무 18㎏ 먹는 '대식가'… 전 세계 1800여 마리 남았대요 2020.08.14 (금)
최근 세계적인 멸종 위기종인 자이언트판다가 국내에서 처음 태어났다는 뉴스가 전해졌어요. 지난달 한 동물원에서 국내 유일 자이언트판다 부부 사이에 새끼 판다 1마리가 태어난 건데요. 이들 부모 판다는 지난 2016년 .. 김창회 박사·전 국립생태원 생태조사연구실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