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은선생님

동물이야기

[신문은 선생님]
[동물이야기] 멧돼지가 굼뜨다고? 100m를 10초에 뛰는 '달리기 선수' 2018.12.28 (금)
겨울철이면 멧돼지가 한밤중에 도시에 출몰하는 일이 왕왕 있어요. 난폭해진 멧돼지가 사람에게 피해를 주기도 해, 대부분 포획에 나서죠. 그런데 사실 멧돼지는 야행성 동물이 아니에요.멧돼지는 주로 낮에 활동하다가 해가 .. 김창회 박사·국립생태원 생태조사연구실
[신문은 선생님]
[동물 이야기] 자손 남기기 위해 흰색 알도 낳고 푸른색 알도 낳고… 2018.12.14 (금)
'붉은머리오목눈이'는 전국 덤불이나 갈대에서 흔하게 볼 수 있는 텃새예요. 몸길이가 13㎝밖에 되지 않는 작은 새로, 한국에서 아주 흔히 볼 수 있는 조류 중 하나죠. 이름이 좀 생소한가요? 흔히 뱁새라고 부르는 새.. 김창회 박사·국립생태원 생태조사연구실
[신문은 선생님]
[동물이야기] 자손 많이 남기기 위해 암컷도 됐다가 수컷도 됐다가 2018.11.30 (금)
어류 중에는 암컷과 수컷이 고정된 종도 있고, 생애 중간에 성별이 바뀌는 종도 있어요. 암컷이 수컷으로 변하는 종, 수컷이 암컷으로 변하는 종, 암컷이 수컷이 됐다가 다시 암컷이 되는 종 등 종류도 다양하지요.성이 .. 김창회 박사·국립생태원 생태조사연구실
[신문은 선생님]
[동물이야기] 움직이는 물체는 먹이로 판단… 배고플 땐 서로 잡아먹어요 2018.11.16 (금)
사마귀〈사진〉는 가을철인 9월 말에서 11월 초까지 교미를 하고 알을 낳아요. 지금쯤 암컷들은 배가 살찐 것처럼 두툼해지고 거의 날기 어려운 상태로 산란 장소를 찾아다녀요. 이듬해 새끼들이 태어날 때 거미·개미·새 .. 김창회 박사·국립생태원 생태조사연구실
[신문은 선생님]
[동물이야기] 겨울에 먹을 도토리 땅속에 저장… 참나무 번식 도와요 2018.11.02 (금)
요즘 가을 숲에서는 다람쥐 같은 동물이 추운 겨울을 나기 위해 도토리를 열심히 모아요. 잘 여문 도토리는 가을에 적갈색으로 변해 참나무 아래로 떨어져 이듬해 새싹을 틔운답니다. 해마다 이맘때면 국립공원에는 "도토리는.. 김창회·국립생태원 생태조사연구실 박사
[신문은 선생님]
[동물 이야기] 겨울 나려 한국에 와… 쇠기러기가 가장 많이 보여 2018.10.19 (금)
황금 들녘이 조금씩 칙칙해지는 10월 초부터는 기러기 떼가 끼룩끼룩 소리를 내며 하늘을 높이 가로질러요. 두루미나 제비 같은 다른 철새와 달리 기러기는 길게 줄지어 소리 내며 날지요. 기러기가 한창 날아들면 단풍이 .. 김종민 박사·국립생태원 생태조사본부장
[신문은 선생님]
[동물 이야기] 키 3m에 몸무게 860㎏… 1000년 전 멸종한 가장 큰 새 2018.10.05 (금)
세상에서 가장 큰 새는 무엇일까요? 과학자들은 지금까지 자기가 찾은 화석을 가지고 '가장 큰 새를 찾았다'며 논쟁했어요. 최근 런던동물학회가 코끼리새 화석 수천 개를 분석한 연구 결과를 내놓으면서 100년 넘게 이어.. 김종민 박사·전 국립생태원 생태조사본부장
[신문은 선생님]
[동물 이야기] 시속 80㎞ 달려 사냥… 생후 3개월부터 몸 얼룩 사라지죠 2018.09.21 (금)
지난 18일 대전 한 동물원에서 퓨마 '뽀롱이'가 사육장을 탈출했어요. 4시간여 만에 발견된 뽀롱이는 결국 사살됐지요. 퓨마는 날카로운 이빨과 발톱을 갖고 있어요. 또 육식을 하기 때문에 사람을 공격할 가능성이 있죠.. 김종민 박사·전 국립생태원 생태조사본부장
[신문은 선생님]
[동물 이야기] 북한산 일대 깜짝 출몰… 세계 가장 널리 퍼진 원숭이죠 2018.09.07 (금)
올해 6월부터 북한산 일대에 출몰하던 히말라야원숭이〈사진〉가 최근 잡혔어요. 두 달이나 등산객과 인근 주민을 놀라게 한 주인공이죠. 히말라야원숭이는 국제 거래가 제한된 멸종위기종이에요. 환경 당국은 누군가가 이 원숭.. 김종민 박사·전 국립생태원 생태조사본부장
[신문은 선생님]
[동물 이야기] 쥐박멸 사업으로 남쪽선 멸종위기… 백두산엔 많아요 2018.08.24 (금)
최근 남북 협력 사업 논의가 탄력을 받으면서, 비무장지대(DMZ) 일대를 세계적인 생태 보고로 지키자는 목소리가 높아요. 멸종 위기 동물 중에서도 산양이나 사향노루, 두루미를 대상으로 여기는 사람도 많지만, 우리 문.. 김종민 박사·전 국립생태원 생태조사본부장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