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물이야기
[신문은 선생님]
[동물 이야기] 백 살까지도 사는 대표적 장수 동물… 껍데기 물렁한 겨울이 제철이죠
2018.01.04 (목)
최근 우리나라에서 외국산 식용(食用) 바닷가재〈사진〉, 이른바 '랍스터(lobster)'를 낚시터에 불법으로 풀어놓은 뒤 낚시꾼들에게 입장료를 받아온 사람들이 경찰에 체포됐다는 뉴스가 나왔어요. 우리나라에선 모든 외..
김종민 박사·전 국립생태원 생태조사본부장
[신문은 선생님]
[동물 이야기] 산타클로스 썰매 끌어준다는 커다란 사슴… 지구온난화로 개체 수 줄고 있어요
2017.12.28 (목)
크리스마스에 산타클로스의 썰매를 끌어주는 루돌프가 기후 변화의 직격탄을 받고 있다고 해요. 지구온난화로 북극해 노르웨이 스발바르제도(諸島)에 비가 많이 내리면서 순록〈사진〉 먹잇감인 이끼·풀이 두껍게 얼어붙었고, 그..
김종민 박사·전 국립생태원 생태조사본부장
[신문은 선생님]
[동물 이야기] 꼬리가 가장 긴 펭귄… 국내 처음으로 부화 성공했어요
2017.12.21 (목)
얼마 전 국립생태원이 "국내 최초로 젠투펭귄이 부화에 성공했다"고 발표해 화제가 됐어요. 2012년 일본에서 들여온 젠투펭귄〈사진〉 두 쌍이 지난가을 알을 2개씩 모두 4개 낳았는데, 이중 두 알이 10월 31일과 ..
김종민 박사·전 국립생태원 생태조사본부장
[신문은 선생님]
[동물 이야기] 걸어 다니면 물개, 기어 다니면 물범… 귓바퀴 有無로도 구분할 수 있죠
2017.12.14 (목)
우리나라 천연기념물인 점박이물범〈사진〉이 강원도 동해안 인근 하천에서 사냥하는 모습이 얼마 전 공개됐어요. 숭어 떼를 잡으려고 강릉 남대천 곳곳에 나타난 건데요. 지난여름 이 하천에 처음 모습을 드러냈다고 해요. 전..
김종민 박사·전 국립생태원 생태조사본부장
[신문은 선생님]
[동물 이야기] 입꼬리 올라간 '웃는 고래'… 우리나라 서해·남해에 사는 토종 돌고래죠
2017.12.07 (목)
우리나라 남해에 토종 돌고래인 상괭이가 살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어요. 얼마 전 국립수산과학원이 부산 가덕도 연안을 조사한 결과 지난 1년간 상괭이를 총 127마리 발견했답니다. 상괭이는 5월에 가장 많았고 1월, 1..
김종민 박사·전 국립생태원 생태조사본부장
[신문은 선생님]
[동물 이야기] 상아처럼 송곳니가 삐죽… 전 세계 90%가 우리나라에 살지요
2017.11.30 (목)
눈 내리는 겨울이면 우리나라도 일부 지역에서 사냥을 허용해요. 멧돼지와 고라니가 너무 많아져 농작물 피해가 늘어나기 때문이에요. 개를 풀고 총을 쏘며 해마다 많은 사냥꾼이 고라니를 잡고, 고속도로에서도 차에 치여 많..
김종민 박사·전 국립생태원 생태조사본부장
[신문은 선생님]
[동물 이야기] 곰·박쥐 등 잠자며 겨울나는 동물, 저체온 유지해 에너지 아껴요
2017.11.23 (목)
이맘때면 많은 나무가 잎사귀를 떨궈요. 잎에서 쓰는 에너지가 많기 때문에 숨만 쉬며 겨울을 나려는 것이지요. 잎눈과 꽃눈은 솜털 옷에 덮이고 쉽게 얼어붙지 않는 상태로 겨울을 견뎌요. 식물의 겨울나기랍니다.동물도 겨..
김종민 박사·전 국립생태원 생태조사본부장
[신문은 선생님]
[동물 이야기] 겨울에 떠나 봄이면 돌아오는 철새… 긴 발로 갯벌 두드려 먹이 잡아요
2017.11.16 (목)
바닷물을 발로 휘휘 젓거나 갯벌 바닥을 발가락으로 다닥다닥 두드리며 먹이를 잡는 물떼새를 본 적 있나요? 물떼새는 한반도에 잠시 머물다 떠나는 나그네새(우리나라보다 북쪽에서 번식하고 겨울을 나기 위해 동남아시아 등으..
김종민 박사·전 국립생태원 생태조사본부장
[신문은 선생님]
[동물 이야기] 한국인이 가장 사랑하는 동물… 우리나라에선 1929년 이후 멸종했어요
2017.11.09 (목)
최근 환경부가 '내가 제일 좋아하는 우리 생물'을 주제로 투표(총 1만3500명 참여)를 진행했어요. 그 결과 호랑이〈사진〉가 2427표를 받아 1위를 차지했답니다. 그 뒤로는 수리부엉이, 청개구리 순이었지요.호랑이..
김종민 박사·전 국립생태원 생태조사본부장
[신문은 선생님]
[동물 이야기] 매를 빼닮은 '밤의 사냥꾼'… 나무 있는 곳이면 어디서나 살아요
2017.11.02 (목)
우리나라 천연기념물인 솔부엉이〈사진〉가 매해 건물에 부딪혀 120마리 넘게 다치거나 죽는다는 보도가 있었어요. 환경부가 2011~2016년 건물에 충돌해 치료 센터에 맡겨진 야생 조류 1만6720마리를 조사해봤더니,..
김종민 박사·전 국립생태원 생태조사본부장
31
32
33
34
35
36
37
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