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은선생님

동물이야기

[신문은 선생님]
[동물 이야기] 애견으로 개량한 '황소 잡는 개'… 싸움왕 도사견도 불도그예요 2017.10.26 (목)
서울의 한 아파트에서 개에 물린 사람이 목숨을 잃는 끔찍한 사고가 일어났어요. 크고 사나운 투견(鬪犬·싸움개)이 아니라 자그마한 프렌치 불도그라는 개가 사람을 문 거예요. '반려견 천국'이라는 미국에서도 해마다 30.. 김종민 박사·전 국립생태원 생태조사본부장
[신문은 선생님]
[동물 이야기] 둔해 보이지만 우사인 볼트보다 빨라… 악어도 물어 뜯는 강한 이빨 가졌죠 2017.10.19 (목)
지난달 서울대공원에서 아주 특별한 잔치가 열렸어요. 올해 5월 27일 서울대공원에서 태어난 하마 '옥자'의 100일을 맞아 백일 축하 잔치를 연 건데요. 옥자는 2008년 이후 서울대공원에서 처음으로 태어난 하마라 .. 김종민 박사·전 국립생태원 생태조사본부장
[신문은 선생님]
[동물 이야기] 강한 독침 가진 '살인 개미'… 살아있는 도마뱀도 먹어치우죠 2017.10.12 (목)
'살인 개미'로 불리는 '붉은불개미〈사진〉'가 지난달 말 부산에서 처음으로 발견됐어요. 부산항 감만 컨테이너 야적장 바닥 콘크리트 틈새에서 붉은불개미 1000마리 안팎이 발견된 거죠. 검역 당국이 발견된 개미들을 모.. 김종민 박사·전 국립생태원 생태조사본부장
[신문은 선생님]
[동물이야기] 초속 14m로 달려드는 '하늘 나는 전갈'… 성묘길, 벌집 조심하세요 2017.09.28 (목)
곧 추석이에요. 많은 사람이 고향을 방문하고 조상 묘를 찾죠. 훈훈한 날이지만 안타까운 사고도 일어나요. 벌초(묘에 자란 풀을 제거하고 주위를 정리하는 것)를 하면서 실수로 벌집을 건드려 벌떼의 공격을 받는 경우가 .. 김종민 박사·전 국립생태원 생태조사본부장
[신문은 선생님]
[동물 이야기] 민물서 3년, 바다서 50여 년… 철새처럼 자기장 감지해 길 찾아요 2017.09.21 (목)
얼마 전 미국 마이애미대와 노르웨이 해양연구팀이 공동으로 '유럽 장어〈사진〉의 비밀'을 밝혀내 화제가 됐어요. 그동안 유럽 장어가 자기가 살던 민물을 떠나 망망대해로 나가 알을 낳고, 그곳에서 부화한 새끼들은 어미가.. 김종민 박사·전 국립생태원 생태조사본부장
[신문은 선생님]
[동물 이야기] 빼곡한 가시, 사실은 털… 겨울잠 잘 땐 체온 2도 '얼음'처럼 변해요 2017.09.14 (목)
최근 1인 가구가 크게 늘면서 고슴도치를 반려동물로 키우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어요. 짖거나 우는 소리를 내지 않는 건 물론, 키우는 데 큰 공간이 필요하지 않아 인기라고 해요. 고슴도치 키우는 법에 관한 책, 고슴도.. 김종민 박사·전 국립생태원 생태조사본부장
[신문은 선생님]
[동물 이야기] 날지 못하는 거대한 새… 맹수급 발톱과 큰 눈 가졌죠 2017.09.07 (목)
아프리카 사바나 초원의 날지 못하는 새 타조를 본 적 있나요? 타조는 날지 못하지만 시속 70㎞로 내달릴 때는 웬만한 포유류보다 빨라요. 보폭도 3~5m로 나는 듯이 달려요.새라고 만만하게 봤다간 큰코다쳐요. 아주 .. 김종민 박사·전 국립생태원 생태조사본부장
[신문은 선생님]
[동물 이야기] 둥지도 이름도 빼앗긴 '제비집 수프'의 진짜 주인 2017.08.31 (목)
'제비집 수프'〈왼쪽 사진〉라고 들어봤나요? 중국에서 최고급으로 쳐주는 요리예요. 풀잎과 진흙을 개어 만든 제비집이 어떻게 고급 요리가 됐을까요. 비밀은 칼새에게 있답니다. 사실 제비집 요리에 쓰이는 새 둥지는 제비.. 김종민 박사·전 국립생태원 생태조사본부장
[신문은 선생님]
[동물 이야기] 산소 없는 꽁꽁 언 호수… 금붕어는 '만취 상태' 2017.08.24 (목)
한겨울 수면이 얼고 눈이 쌓이면 햇빛이 들지 못해 물 밑의 조류가 광합성을 못 하고 산소 공급이 중단돼요. 산소호흡을 하는 물고기에겐 치명적이죠. 그런데 붕어는 겨우내 두껍게 얼음이 깔린 저수지나 웅덩이에서 겨울을 .. 김종민 박사·전 국립생태원 생태조사본부장
[신문은 선생님]
[동물 이야기] 웃고 있는 듯한 얼굴 덕분에 '세상에서 가장 행복한 동물'로 불려요 2017.08.17 (목)
호주의 쿼카(Quokka)는 '세상에서 가장 행복한 동물'이란 별칭을 갖고 있어요. 환하게 웃는 인상에다 사람에게 거리낌 없이 다가오고, 다람쥐처럼 두 손을 모아 먹이를 먹는 모습이 귀여워서 그럴 거예요.캥거루 사촌.. 김종민 박사·前 국립생태원 생태조사본부장
31 32 33 34 35 36 37 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