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물이야기
[신문은 선생님]
[동물 이야기] 산소 없는 꽁꽁 언 호수… 금붕어는 '만취 상태'
2017.08.24 (목)
한겨울 수면이 얼고 눈이 쌓이면 햇빛이 들지 못해 물 밑의 조류가 광합성을 못 하고 산소 공급이 중단돼요. 산소호흡을 하는 물고기에겐 치명적이죠. 그런데 붕어는 겨우내 두껍게 얼음이 깔린 저수지나 웅덩이에서 겨울을 ..
김종민 박사·전 국립생태원 생태조사본부장
[신문은 선생님]
[동물 이야기] 웃고 있는 듯한 얼굴 덕분에 '세상에서 가장 행복한 동물'로 불려요
2017.08.17 (목)
호주의 쿼카(Quokka)는 '세상에서 가장 행복한 동물'이란 별칭을 갖고 있어요. 환하게 웃는 인상에다 사람에게 거리낌 없이 다가오고, 다람쥐처럼 두 손을 모아 먹이를 먹는 모습이 귀여워서 그럴 거예요.캥거루 사촌..
김종민 박사·前 국립생태원 생태조사본부장
[신문은 선생님]
[동물 이야기] 날지 못하는 앵무새… 생존 중인 100여 마리 각자 이름 있어요
2017.08.10 (목)
최근 지리산에 방사돼 자연 적응 중이던 반달가슴곰 한 마리가 90㎞나 떨어진 경북 김천 수도산까지 혼자 이동한 것으로 밝혀져 화제가 됐죠. 우리나라는 2004년부터 반달가슴곰 종 복원 사업을 벌여, 한때 멸종 위기에..
김종민 박사·前 국립생태원 생태조사본부장
[신문은 선생님]
[동물 이야기] 먹이 찾아 툰드라 大이동… '절벽에서 집단 투신'은 오해예요
2017.08.03 (목)
레밍이라는 쥐가 최근 우리 사회에서 화제가 됐어요. 레밍이 집단으로 우르르 몰려다니다 절벽에서 떨어져 다 같이 죽는다며 그 모습이 마치 국민과 같다고 빗댄 정치인이 있었죠. 그러나 레밍에 대한 이런 선입견은 사실과 ..
김종민 박사(前 국립생태원 생태조사본부장)
[신문은 선생님]
[동물 이야기] 싹쓸이 사냥으로 한때 멸종위기… 지금은 미국 상징하는 동물
2017.07.27 (목)
미국을 상징하는 동물은 아메리카들소예요. 2016년 5월 버락 오바마 대통령이 아메리카들소를 미국의 국가 포유동물로 공식 지정했죠. 흰머리수리와 함께 미국을 상징하는 아메리카들소는 미국 정부의 동물 보호 노력이 성공..
김종민 전 국립생태원 생태조사본부장
[신문은 선생님]
[동물 이야기] 7.6m 대형 거미줄 쳐… 아마존에서는 5만마리까지 함께 살아요
2017.07.20 (목)
거미는 보통 한 마리씩 거미줄을 치고 살아요. 돌아다니며 사냥하는 타란툴라도 대부분 단독 생활을 하죠. 세상에 3000종쯤 되는 거미 중에는 땅에 사는 땅거미와 물에 사는 물거미도 대개 혼자예요. 남미의 군단거미는 ..
김종민·전 국립생태원 생태조사본부장
[신문은 선생님]
[동물 이야기] 열대 바다 맹독 해파리 주의보… 쏘이면 2분 만에 심장 멎어요
2017.07.13 (목)
열대 바다에서는 해마다 해파리에게 쏘여 죽는 사람이 많아요. 상어보다 해파리 피해가 더 심각하죠. 우리나라도 바닷물 온도가 올라가고 아열대 해류가 섞여 들어오면서 아열대성 해파리가 크게 늘어나 피해가 커지고 있어요...
김종민 전 국립생태원 생태조사본부장
[신문은 선생님]
[동물 이야기] 새 잡아먹는 초대형 거미… 다리와 배에 난 털로 사냥감 찾아요
2017.07.06 (목)
거미가 오죽 크면 '골리앗'이라 이름 붙였을까요. 남아메리카에는 엄청난 크기에 새와 뱀까지 잡아먹는 거미가 있어요. 영어로 '새를 먹는 골리앗거미(Goliath birdeater)'라 부르죠. 몸통 길이만 12㎝에다..
김종민·전 국립생태원 생태조사본부장
[신문은 선생님]
[동물 이야기] 북한에만 50여 마리 남은 한반도 텃새… 하루 1만번 나무 쪼아요
2017.06.29 (목)
크낙새는 한반도에만 사는 텃새예요. 과거 일본 대마도에도 살았으나 인간의 사냥으로 자취를 감췄고, 한국에서도 1981년 이후 발견되지 않고 있어요. 이제 비무장지대 너머 북한에 50마리 정도만 남아있다고 해요. 북한..
김종민 전 국립생태원 생태조사본부장
[신문은 선생님]
[동물 이야기] 남미 습지의 지배자… '아마존 폭군' 피라냐도 잡아먹어요
2017.06.22 (목)
강물 속에서 기다리고 있던 악어가 지나가는 얼룩말과 누를 덮쳐 잡아먹는 모습을 TV에서 한 번쯤 봤을 거예요. 이 악어는 가장 크고 힘이 센 대형 크로커다일의 일종으로 아프리카악어라고 하죠. 악어는 크로커다일, 앨리..
김종민·전 국립생태원 생태조사본부장
31
32
33
34
35
36
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