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물이야기
[신문은 선생님]
[동물 이야기] 탱크처럼 돌진하는 동물… 마지막 남은 '북부흰코뿔소' 수컷 최근 사망했죠
2018.03.22 (목)
지구상에 마지막 남은 북부흰코뿔소 수컷 '수단'이 19일(현지 시각) 케냐에서 사망했다는 소식이 전해졌어요. '수단'은 세계에 남은 북부흰코뿔소 세 마리 중 유일한 수컷이었는데, 올해 마흔다섯 살(평균 수명 40~5..
김종민 박사·전 국립생태원 생태조사본부장
[신문은 선생님]
[동물 이야기] 어류와 파충류 중간 단계… 열대지역 개구리는 '여름잠'도 자요
2018.03.08 (목)
6일은 만물이 겨울잠에서 깨어난다는 '경칩(驚蟄)'이었어요. 옛날 사람들은 이 무렵 봄을 알리는 첫 번째 천둥이 치고, 그 소리를 들은 벌레(칩·蟄)들이 놀라서(경·驚) 나온다고 해서 경칩이라고 불렀어요.경칩이면 겨..
김종민 박사·전 국립생태원 생태조사본부장
[신문은 선생님]
[동물 이야기] 문어는 머리, 달팽이는 배에 다리 달려… 때론 더듬이 역할도 해요
2018.03.01 (목)
동물의 다리는 땅을 딛고 몸을 움직여주는 기관이에요. 다리가 4개인 포유류는 손이 없이 모두 발이지만, 사람처럼 두 다리로 걷는 영장류는 손과 발이 각각 2개이지요. 다리는 걷고 달리고 뛰고 차고 파고 잡고 자르는 ..
김종민 박사·전 국립생태원 생태조사본부장
[신문은 선생님]
[동물 이야기] 지구상에 가장 많은 대형 동물… 되새김질 위한 4개의 위 가졌어요
2018.02.22 (목)
평창 동계올림픽 개막식에 우리나라와 북한 선수단이 한반도기를 앞세우고 함께 입장을 했어요. 이러한 모습을 보면서 20년 전인 1998년 고(故) 정주영 현대그룹 명예회장이 소떼를 몰고 북한을 방문했던 시절을 떠올리는..
김종민 박사·전 국립생태원 생태조사본부장
[신문은 선생님]
[동물 이야기] 머리 혹, 아시아코끼리는 있고 아프리카코끼리 없어… 하루 300㎏ 먹는 대식가
2018.02.15 (목)
오는 27일 인도 수도 뉴델리에서 우리나라 경제인과 인도 경제인이 모여 두 나라 간 협력을 주제로 국제회의를 갖는다고 해요.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가 이끌고 있는 인도는 미래 경제 강국 중 하나로 꼽혀요.이런 인도..
김종민 박사·전 국립생태원 생태조사본부장
[신문은 선생님]
[동물 이야기] 사람 나이 800살까지 사는 '늙지 않는 동물'… 不老의 비밀 밝혀질까요
2018.02.08 (목)
영원히 젊고 건강한 모습으로 살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요? 불가능한 이야기 같지만, 현대 과학자들이 얼마 전 '늙지 않는 동물'이 있다는 것을 처음으로 확인해 화제가 됐답니다. 세계 최대 인터넷 기업 구글의 생명공..
김종민 박사·전 국립생태원 생태조사본부장
[신문은 선생님]
[동물 이야기] 정수리 붉은 우아한 겨울 철새… '장수'와 '행복' 상징해 연하장에 자주 쓰여요
2018.02.01 (목)
연초에는 신정(양력설)과 구정(음력설)이 있어 연하장을 많이 주고받아요. 새해를 축하하는 인사를 담은 연하장에는 두루미〈사진〉가 자주 등장한답니다. 새해의 꿈과 소망을 상징하는 두루미는 평화와 장수(長壽)를 의미하는..
김종민 박사·전 국립생태원 생태조사본부장
[신문은 선생님]
[동물 이야기] 큰 오리 같지만 사실은 '개량한 야생 기러기'… 긴 솜털로 따스함 유지해요
2018.01.25 (목)
최근 전국에 영하 10도 이하로 내려가는 맹추위가 이어지고 있어요. 이럴 때 우리 몸을 따뜻하게 해주는 옷으로 '거위 솜털(구스다운·goose down) 방한복'이 있지요. 우리나라는 평창 동계올림픽 특수까지 겹치면..
김종민 박사·전 국립생태원 생태조사본부장
[신문은 선생님]
[동물 이야기] 평창 동계 패럴림픽 상징 '아시아흑곰'… 지리산에 50여 마리 살고 있어요
2018.01.18 (목)
올겨울은 '곰'과 '호랑이'의 계절이에요. 다음 달 치러지는 평창 동계올림픽의 마스코트(어떤 행사·단체를 대표하는 상징물)가 반달가슴곰〈사진〉인 '반다비'와 백호랑이인 '수호랑'이기 때문이지요. 수호랑은 올림픽, 반..
김종민 박사·전 국립생태원 생태조사본부장
[신문은 선생님]
[동물 이야기] 무리 지어 다니는 '전문 사냥꾼'… 울음소리로 먼 거리의 동족과 소통해요
2018.01.11 (목)
2018년이 밝았어요. 올해는 개의 해인데요. 크고 작고 사납고 귀엽고… 종류가 너무 많아 어떤 개인지 하나만 떠올리기 어렵지만, 모든 개의 조상은 늑대랍니다. 수만년 전 일부 늑대를 사람이 길들여 키우면서 개로 진..
김종민 박사·전 국립생태원 생태조사본부장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