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은 선생님
[동물 이야기] 정수리 붉은 우아한 겨울 철새… '장수'와 '행복' 상징해 연하장에 자주 쓰여요
입력 : 2018.02.01 03:07
두루미(학)
연초에는 신정(양력설)과 구정(음력설)이 있어 연하장을 많이 주고받아요. 새해를 축하하는 인사를 담은 연하장에는 두루미〈사진〉가 자주 등장한답니다. 새해의 꿈과 소망을 상징하는 두루미는 평화와 장수(長壽)를 의미하는 새이기도 해요. 한자로 '학(鶴)'이라고 하는데, 영어에선 '붉은왕관두루미(Red-crowned crane)'라고 하지요. 우리나라 500원짜리 동전에도 두루미가 새겨져 있어요.
온몸이 눈처럼 흰 두루미는 눈밭에 있으면 눈에 잘 띄지 않아요. 몸통은 새하얗지만, 머리 꼭대기는 털이 없어 붉고 긴 목과 꼬리, 다리는 까만색이지요. 눈밭에서 날개를 활짝 펼치고 짝과 사랑춤을 추는 모습, 두 발과 날개를 쭉 펴고 하늘 높이 바람을 타고 유유히 나는 모습이 무척 아름다워요. 하얗지 않은 두루미도 있는데, 재두루미는 몸이 잿빛이고 흑두루미는 몸이 검어요.
온몸이 눈처럼 흰 두루미는 눈밭에 있으면 눈에 잘 띄지 않아요. 몸통은 새하얗지만, 머리 꼭대기는 털이 없어 붉고 긴 목과 꼬리, 다리는 까만색이지요. 눈밭에서 날개를 활짝 펼치고 짝과 사랑춤을 추는 모습, 두 발과 날개를 쭉 펴고 하늘 높이 바람을 타고 유유히 나는 모습이 무척 아름다워요. 하얗지 않은 두루미도 있는데, 재두루미는 몸이 잿빛이고 흑두루미는 몸이 검어요.
- ▲ /위키피디아
두루미는 조개와 물고기·올챙이 같은 걸 먹지만 우리나라에선 논에 떨어진 볍씨도 많이 주워 먹어요. 긴 다리로 겅중겅중 걸으며 땅과 물에서 먹이를 잡아먹어요. 하늘 높이 날 수 있지만 뒷발가락이 짧아 나뭇가지 위에는 앉지 못하기 때문에 땅 위에 짚이나 풀잎을 모아 둥지를 만들어요.
두루미와 비슷하게 생긴 새가 많아 혼동하기 쉬운데요. 먼저 황새는 우리 조상도 많이 헷갈렸을 만큼 비슷하게 생겼는데, 나무 위에 둥지를 짓고 주로 나무 위에서 생활한다는 점에서 두루미와 달라요. 온몸이 새하얀 백로는 모를 심는 논에 날아드는 여름 철새이기 때문에 주로 여름에 볼 수 있어요.
동양에서는 두루미를 장수와 부부애, 행복의 상징으로 생각했어요. 민간 신앙에선 '십장생(十長生·불로장생을 상징하는 열 가지 사물)'의 하나로 보았고, 신선이 타고 다니는 새라는 의미에서 '선학(仙鶴)'이라 부르기도 했지요. 조선시대에는 정 1·2품 문신(文臣)과 왕의 친척 등이 입는 관복에 두 마리 학을 새긴 '쌍학흉배(雙鶴胸背)'를 달았을 만큼 두루미는 우리 민족이 매우 좋아했던 새랍니다.
올해는 평화와 행복을 상징하는 두루미가 그려진 설 연하장을 보내보면 어떨까요? 모바일로 주고받는 온라인 연하장도 물론 좋을 거예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