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은선생님

아하! 시리즈

[신문은 선생님]
[아하! 이 장소] '강이 좁아지는 곳'… 주민 80%가 프랑스 이주민의 후손 2017.01.10 (화)
최근 인기 드라마 '도깨비'의 촬영지인 캐나다 퀘벡으로 여행 문의를 하는 분들이 늘어나고 있대요. 프랑스어 간판과 아기자기한 마을 풍경을 가진 퀘벡의 매력이 드라마를 통해 많은 분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나 봅니다.캐나.. 민병권 중동고 교사(EBS 세계지리 강사)
[신문은 선생님]
[아하! 이 식물] 美 유타주 사시나무 4만 그루, 한 뿌리로 이어져 있어요 2017.01.03 (화)
사시나무는 흰 나무껍질에 검은 흉터를 가진 키 12~30m의 버드나뭇과 나무예요. 넓은 잎을 가진 활엽수로 우리나라에는 수원사시나무, 은사시나무 등이 살고 있답니다. 사시나무의 잎은 다른 나뭇잎보다 잎자루가 유독 길.. 최새미 식물칼럼니스트
[신문은 선생님]
[아하! 이 음식] 청어·꽁치 얼렸다 녹였다… '눈이 꿰인 생선'에서 유래 2016.12.27 (화)
겨울철 별미인 과메기는 청어나 꽁치를 겨울철 찬 바람에 얼렸다 녹였다를 반복하며 그늘에 말린 음식입니다. 쫀득쫀득한 식감이 일품이지요. 등 푸른 생선인 청어와 꽁치를 2주 이상 바닷바람에 건조시키면 맛도 좋고 건강에.. 박현진 고려대 교수(식품공학과)
[신문은 선생님]
[아하! 이 장소] 보르네오섬의 작은 나라… 설날에 국왕이 세뱃돈 준대요 2016.12.20 (화)
최근 인천국제공항과 브루나이의 수도 반다르스리브가완 사이에 직항 항공로가 새로 만들어졌어요. 그간 브루나이를 가기 위해선 홍콩, 싱가포르 등을 경유해야 했지만 이제는 우리나라에서 곧장 브루나이로 갈 수 있게 된 것이.. 민병권 중동고 교사(EBS 세계지리 강사)
[신문은 선생님]
[아하! 이 식물] 크리스마스트리로 딱… 지구온난화로 생존 위협받아 2016.12.13 (화)
12월이 되면 다가올 성탄절을 맞아 일찌감치 크리스마스트리를 세워놓은 모습을 볼 수 있죠? 크리스마스트리로 꾸미는 나무 중 가장 좋은 나무로 꼽히는 것이 바로 구상나무예요. 구상나무와 사촌지간인 전나무나 분비나무도 .. 박중환 식물칼럼니스트
[신문은 선생님]
[아하! 이 음식] 탄력 있는 게살… 감칠맛 나는 시원한 국물 2016.12.06 (화)
12월이 되면 동해안 지역에서 홍게가 많이 잡히기 시작합니다. 이맘때면 구룡포를 시작으로 북쪽의 고성까지 홍게 요리점에서 홍게를 찌는 구수한 냄새가 온 거리에 퍼져요. 강원 속초시 장사항에는 홍게 요리만을 전문적으로.. 박현진 고려대 교수(식품공학과)
[신문은 선생님]
[아하! 이 장소] 세계적인 휴양지… 마그마 화산 활동으로 탄생했어요 2016.11.29 (화)
최근 미국 지질조사국이 미국 하와이 빅아일랜드에 있는 킬라우에아 화산에서 시뻘건 용암이 계속해서 흘러나오는 장면을 공개했어요. 하와이에서 가장 남동쪽에 위치한 빅아일랜드는 지금도 화산 활동으로 1분마다 덤프트럭 다섯.. 민병권 중동고 교사(EBS 세계지리 강사)
[신문은 선생님]
[아하! 이 음식] 임금님 사로잡은 은어, 도로 '묵' 된 사연은 2016.11.15 (화)
요즘 강원도 속초에 가면 해변길 주위로 갓 잡은 싱싱한 '도루묵〈사진〉'을 실에 꿰어 처마에 매달아 말리는 풍경을 볼 수 있어요.단백질과 지방이 적당히 들어 있고 비린내도 거의 없는 도루묵은 동해 먼바다에서 살다 산.. 박현진 고려대 교수(식품공학과)
[신문은 선생님]
[아하! 이 장소] 유럽풍 건물이 가득한 '동방의 모스크바' 2016.11.08 (화)
지난달 26일 중국 헤이룽장성 하얼빈에서는 안중근 의사가 이토 히로부미를 저격한 지 107주년이 된 것을 기념하는 행사가 열렸어요. 하얼빈 기차역에는 우리나라와 중국이 협력해 건립한 안중근 의사 기념관이 있고, 지금.. 민병권 중동고 교사(EBS 세계지리 강사)
[신문은 선생님]
[아하! 이 식물] 열매의 고약한 냄새로 공룡 물리쳤어요 2016.11.01 (화)
노랗게 물든 은행나무 가로수길을 보면 한없이 걷고 싶어지지 않나요? 하지만 은행나무 근처를 지날 땐 발걸음을 조심해야 해요. 땅에 떨어진 은행 열매를 잘못 밟았다가는 둥글고 딱딱한 씨 때문에 미끄러져 넘어질 수 있기.. 박중환 식물칼럼니스트
21 22 23 24 25 26 27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