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은선생님

아하! 시리즈

[신문은 선생님]
[아하! 이 음식] 낫토에는 한 가지 발효균, 볏짚 깔아 만든 청국장엔 다양한 미생물 있어요 2016.03.21 (월)
청국장은 한국인이 즐겨 찾는 발효 음식 중 하나이지요. 예전부터 가을철이 되면 메주콩을 삶아 된장을 만들 메주를 만들고, 남은 콩 일부는 청국장을 만드는 데 썼답니다. 된장은 다 만들어지기까지 몇 달은 걸리지만, 청.. 박현진·고려대 교수(식품공학과)
[신문은 선생님]
[아하! 이 장소] 99m 높이 굴뚝 그대로 살려… 화력발전소를 미술관으로 만들다 2016.03.14 (월)
영국 런던의 '테이트 모던'은 2000년 5월 개장한 현대미술관이에요. 1981년 폐쇄된 이후 방치되던 뱅크사이드 화력발전소 건물을 개조했기 때문에 99m 높이의 굴뚝과 빨간 벽돌로 만들어진 외벽은 그대로 남아 있답.. 장연정(디자인 비평가)
[신문은 선생님]
[아하! 이 식물] 버릴 것 하나도 없어… 잎·줄기는 약재로, 씨앗은 식용유 만들어요 2016.03.07 (월)
지난달 중순 한파가 물러가자 유채꽃이 일찌감치 봄소식을 알렸어요. 제주도에서 피기 시작한 유채꽃은 보름 새 바다를 건너 남해안 들녘을 노랗게 물들이고 있습니다. 예년보다 꽃이 일찍 펴 유채꽃축제를 준비하는 전국의 지.. 박중환 식물 칼럼니스트('식물의 인문학' 저자)
[신문은 선생님]
[아하! 이 인물] 상식을 파괴한 예술가… 세계 최초 인공위성 생중계로 신년 축하를 2016.02.29 (월)
피카소, 스티브 잡스, 백남준 이들의 공통점은 무엇일까요? 뛰어난 창의력으로 시대를 앞서간 천재라는 점이에요. 화가 피카소는 자신만의 추상화 기법을 창조했고, 애플의 공동 창업자이자 스티브 잡스는 휴대전화 하나에다 .. 조현재·전 문화체육관광부 차관
[신문은 선생님]
[아하! 이 음식] 면역력 높여 감기 예방… 뇌 활성 성분 많아 똑똑해져요 2016.02.22 (월)
여러분은 신선할 때 먹는 김치를 좋아하시나요? 묵은지를 좋아하시나요? 소금에 채소를 절여 만드는 발효 저장 식품인 김치는 아삭한 조직감, 젖산과 초산이 주는 상큼한 신맛, 유산균이 생산하는 탄산가스에 따른 청량감, .. 박현진·고려대 교수(식품공학과)
[신문은 선생님]
[아하! 이 장소] 작은 어촌 마을이… 중국 내 성장 경쟁력 1위 도시로 2016.02.15 (월)
요즘 스마트폰 하면 어떤 기업이 떠오르나요? 미국의 애플, 우리나라의 삼성도 있지만, 우수한 품질과 저렴한 가격을 내세워 세계 3위 스마트폰 제조업체가 된 '화웨이'라는 중국 기업도 빼놓을 수 없지요. 최근 중국 업.. 기획·구성=김지연 기자
[신문은 선생님]
[아하! 이 식물] 스스로 몸에 열 내… 눈 녹이며 꽃망울 피워요 2016.02.01 (월)
오는 4일은 봄이 시작된다는 입춘(立春)입니다. 이즈음 볕바른 산골짜기에는 봄의 전령이라는 복수초(福壽草)가 기지개를 켜며 괴력을 발휘해요. 식물답지 않게 열을 내 언 땅과 잔설을 녹이며 꽃망울을 올린답니다. 그리고.. 기획·구성=김지연 기자
[신문은 선생님]
[아하! 이 인물] 스승 넘어선 제자, 세계 대회 최연소·최다 우승자로 2016.01.25 (월)
최근 막을 내린 드라마 '응답하라 1988'에는 세계 대회에 나갔다 하면 우승을 거머쥐는 천재 바둑 기사 최택이 등장해요. 그런데 최택의 실제 모델이 있어요. 어린 나이에 세계 최고의 바둑 기사가 된 이창호 9단이지.. 구완회·작가
[신문은 선생님]
[아하! 이 음식] 딱딱한 '체다'·부드러운 '고르곤촐라'… 굳기 따라 분류돼요 2016.01.18 (월)
우리나라 사람들이 단백질 보충을 위해 된장·간장으로 거의 매일 된장국이나 찌개를 조리해서 먹었다면, 서양에선 치즈가 주요 단백질 공급원이었답니다. 치즈는 우유에 들어있는 카제인 단백질을 효소·유산균을 통해 유지방·유.. 기획·구성=김지연 기자
[신문은 선생님]
[아하! 이 장소] 아슐리안 주먹도끼 발견, 동아시아 구석기 문화의 자존심 찾다 2016.01.11 (월)
지난해 9월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300만 년 전 인류 화석 '호모 날레디'가 발견돼 전 세계인의 이목을 집중시켰어요. 45억 년 지구 역사에 비해 수백만~수십만 년 전에 불과한 인류의 등장은 매우 최근 일 같지요? .. 김옥선·교사(용인 백현중)
21 22 23 24 25 26 27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