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옥의 명작 따라잡기
[이명옥의 명작 따라잡기]
하트 모양은 왜 사랑을 상징할까
2014.10.24 (금)
우리 몸 안의 모든 장기는 생명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해요. 그런데 그중에서도 '심장(心臟)'이 가장 소중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많아요. 심장은 생명 유지에 꼭 필요한 혈액을 온몸에 공급하는 펌프 역할을 하기..
이명옥
[이명옥의 명작 따라잡기]
예술 속 눈… 지혜·철학·마음을 담다
2014.09.26 (금)
인간은 여러 가지 감각 중 시각(視覺)에 가장 많이 의존한다고 해요. 눈이 그만큼 중요한 신체기관이라는 뜻이지요. 르네상스 시대의 천재 화가인 레오나르도 다빈치는 눈의 중요성을 잘 알고 있었나 봐요. "눈은 온 세상..
이명옥
[이명옥의 명작 따라잡기]
진정한 '나'의 모습 알고 있나요?
2014.08.29 (금)
자신의 겉모습이나 내면의 모습에 만족하지 못하고 다른 사람처럼 보이고 싶은 욕구가 생길 때가 있어요. 다른 모습, 다른 성격을 갖고 싶은 마음에 부모·형제·친구의 옷이나 신발을 빌려 착용하거나 얼굴에 분장하고 평소와..
이명옥
[이명옥의 명작 따라잡기]
바람, 눈으로 느껴봐요
2014.08.01 (금)
무더위에 지친 사람들에게 가장 반가운 것은 시원한 바람이에요. 바람은 눈에 보이지 않고 손으로 만질 수도 없지만, 느낄 수는 있지요. 이런 바람을 미술로 표현하기란 무척 어려울 거예요. 그러나 창의적인 예술가들은 바..
이명옥
[이명옥의 명작 따라잡기]
번개·폭우마저도 작품으로 승화시킨 예술가들
2014.07.04 (금)
요즘 돌풍과 함께 천둥·번개를 동반한 소나기가 오는 날이 많아요. 먹구름 사이로 번개의 섬광이 비치고 뒤이어 천둥소리가 들리면 사람들은 본능적으로 두려움에 떨지요. '구름 속의 자객'으로 불리는 낙뢰(벼락)로 피해가..
이명옥
[이명옥의 명작 따라잡기]
동물 얼굴에 담아낸 인간의 본성
2014.06.06 (금)
고대 그리스인 이솝(Aesop)은 동물이 사람처럼 생각하고 말하며 행동하는 '우화(寓話)'를 남겼어요. 우화란 동물을 주인공으로 등장시켜 인간의 어리석음을 풍자하거나, 살아가는 데 필요한 교훈과 지혜를 주는 짧고 재..
이명옥
[이명옥의 명작 따라잡기]
틀을 깨면 다른 세상이 보이죠
2014.05.15 (목)
스페인의 화가 살바도르 달리는 천재 예술가로 불려요. 사람들이 달리에게 천재적인 창작 비결에 대해 물었을 때 그는 이렇게 대답했어요. "순진했던 어린 시절, 나는 늘 보통 사람들과 다른 존재라고 생각했다. 그리고 어..
이명옥
[이명옥의 명작 따라잡기]
재난과 자연재해의 두려움 그림에 담다
2014.05.01 (목)
세월호 침몰 사고는 우리 국민에게 큰 슬픔을 안겨주었어요. 우리는 이 비극적인 사고를 통해 재난이 얼마나 무서운지 깨닫게 되었습니다. 온 나라가 희생자를 추모하며 다시는 이런 참사가 일어나지 않게 하자는 데 뜻을 모..
이명옥
[이명옥의 명작 따라잡기]
우주·생명·자연의 신비 담은 나선(螺旋)
2014.04.17 (목)
솔방울, 달팽이 껍데기, 물의 소용돌이, 소용돌이 은하에는 공통점이 있어요. 일정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선, 즉 나선 모양이라는 점이에요. 나선 모양은 자연과 우주뿐 아니라 인간의 몸에서도 발견됩니다. 유전자의 본체인..
이명옥
[이명옥의 명작 따라잡기]
좌우대칭의 아름다움
2014.04.03 (목)
봄을 알리는 나비가 날개를 팔랑거리며 날아가는 모습은 무척이나 아름답지요. 영국의 수학자 이언 스튜어트는 '대칭의 역사'라는 책에서 나비가 아름답게 보이는 것은 두 날개가 좌우대칭을 이루기 때문이라고 했어요. 좌우대..
이명옥
1
2
3
4
5
6
7
8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