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기사
-
-
-
- [신문은 선생님]
-
[사소한 역사] 히말라야 찾은 산악인 안내하는 민족… 첫 에베레스트 정상 등반도 함께 했죠
2025.06.03 (화)
-
최근 한 예능 프로그램 출연자가 네팔에 가서 셰르파(Sherpa)의 삶을 체험한 장면이 화제가 됐어요. 거친 산길과 높은 구름다리를 건너며 에베레스트가 보이는 히말라야 산중 마을까지 걸어가는 모습이 인상적이었죠. 셰..
황은하 상경중 역사 교사
-
-
-
- [신문은 선생님]
-
[재미있는 과학] 물처럼 흐르고 생분해되기도… 입거나 붙이는 배터리의 세계
2025.06.03 (화)
-
도로 위에서 조용히 달리는 전기차, 요즘은 정말 자주 만날 수 있지요? 전기차처럼 전기를 사용해 작동하는 기기는 우리 일상에 점점 더 많아지고 있는데요. 최근엔 옷처럼 입는 웨어러블 기기, 물속을 유영하는 로봇처럼 ..
이윤선 과학 칼럼니스트
-
-
-
- [신문은 선생님]
-
[명화 돋보기] 전쟁 중에도 멈추지 않은 그림… 불안·이산의 아픔 담았죠
2025.06.02 (월)
-
오는 6일은 우리나라를 지키기 위해 힘쓰다 돌아가신 분들을 추모하고 감사하는 마음을 갖는 현충일입니다. 지금으로부터 75년 전, 북한의 남침으로 6·25 전쟁이 일어났어요. 왜 싸워야 하는지 영문도 모르는 순진한 사..
이주은 건국대 문화콘텐츠학과 교수
-
-
-
- [신문은 선생님]
-
[재밌다, 이 책!] 신문을 읽는 건 역사를 보는 것… 대한제국 시절도 지금과 닮았어요
2025.06.02 (월)
-
저잣거리의 목소리들이승원 지음|출판사 천년의상상|가격 1만7000원역사라고 하면 왕과 장군, 학자, 발명가, 탐험가 같은 이들이 활약하는 이야기부터 떠올리기 쉽습니다. 저자는 그렇지 않다고 말합니다. 이 책은 대한제..
표정훈 출판평론가
-
-
-
- [신문은 선생님]
-
[식물 이야기] 도시·유원지 뒤덮은 계란프라이 모양 꽃… 美 캘리포니아 '샤스타산'서 이름 유래
2025.06.02 (월)
-
요즘 도시 화단이나 정원은 물론 유원지 화단과 언덕을 온통 하얀색으로 덮는 꽃이 있습니다. 샤스타데이지(Shasta daisy)가 핀 것입니다.샤스타데이지는 초여름, 그러니까 5~7월 피는 꽃입니다. 키가 50~60..
김민철 기자
-
-
-
- [신문은 선생님]
-
[재밌다, 이 책!] 우주에는 정말 인간만 있는 걸까? 외계인이 이미 신호 보냈을지 몰라요
2025.05.29 (목)
-
침묵하는 우주폴 데이비스 지음|문홍규·이명현 옮김|출판사 사이언스북스|가격 2만2000원우리는 다양한 모습의 외계인을 상상해 왔습니다. 영화나 드라마 등에선 'E.T.'처럼 머리가 크고 눈이 동그란 생명체, 인간처럼..
이진혁 출판 편집자
-
-
-
- [신문은 선생님]
-
[뉴스 속의 한국사] 선교사가 세운 최초 근대 학교… 현대사 이끈 인물들 배출
2025.05.29 (목)
-
개화기 우리나라에서 선교사에 의해 가장 먼저 세워진 근대식 학교는 1885년 서울 정동에 설립된 배재학당(培材學堂)이에요. 배재학당은 올해로 창립 140주년을 맞았습니다. '학교법인 배재학당'은 현재 배재대, 배재고..
유석재 기자
-
-
-
- [신문은 선생님]
-
[위인과 정신건강] 우울증으로 유서까지 남긴 작곡가… 절망 딛고 '합창 교향곡' 썼죠
2025.05.29 (목)
-
"내일 아침 깨어나지 않았으면 좋겠어요."루트비히 판 베토벤(1770~1827·사진)은 자신의 일기장에 이렇게 적곤 했어요. 천재 작곡가로 알려진 그는 사실 활동 기간 대부분 정신적인 고통을 겪었습니다. 청력을 거의..
이헌정 고대 안암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
-
-
- [신문은 선생님]
-
[예쁜 말 바른 말] [396] '입길'과 '입질'
2025.05.28 (수)
-
* 공직자의 재산이 갑자기 늘어나면 사람들의 입질에 오르기 마련이다.* 해가 넘어가면서부터 수면이 고요해지고 물고기의 입질이 잦아졌다.위 문장에서 틀리는 말을 골라 보세요. 첫 번째 문장의 '입질'은 '입길'로 고쳐..
류덕엽 교육학 박사·전 서울 양진초 교장
-
-
-
- [신문은 선생님]
-
[동물 이야기] 대만 수도 타이베이 마스코트… 따뜻해서 겨울잠도 안 자요
2025.05.28 (수)
-
얼마 전 대만 정부에서 토종 곰인 대만흑곰 수가 늘어나고 있다는 조사 결과를 발표했어요. 해발 1200m 아래에서 이 곰이 목격된 횟수는 2011~2017년 78회였는데 2018년부터 현재까지 513회로 껑충 뛰었어..
정지섭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