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은선생님

식물이야기

[신문은 선생님]
[식물 이야기] 열매가 부채를 닮은 나무… 3월마다 꽃 축제 열려요 2024.04.01 (월)
우리나라에서 저절로 자라는 자생 나무는 2021년 기준 총 715종이에요. 그중에서도 해마다 이맘때가 되면 꽃을 피워 봄소식을 알리는 미선나무를 소개할게요.미선나무는 물푸레나뭇과에 속하는 우리나라 고유종이에요. 평균.. 김용식 전 천리포수목원 원장·영남대 조경학과 명예교수
[신문은 선생님]
[식물 이야기] 일본 왕벚나무와 다른 우리 고유종… "상징적인 곳부터 바꿔 심자" 주장 나와 2024.03.25 (월)
남녘을 시작으로 벚꽃이 피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도심에 흔한 화려한 벚나무는 대부분 왕벚나무입니다. 왕벚나무는 다른 벚나무보다 꽃이 크고 꽃자루와 암술대에 털이 있는 것으로 구별할 수 있습니다.이 왕벚나무 원산지를 .. 김민철 기자
[신문은 선생님]
[식물 이야기] 봄에 바위 틈 비집고 꽃 피워… 강원도 계곡서 만날 수 있어 2024.03.18 (월)
얼음이 녹아 맑은 물이 시원스레 흐르기 시작하는 봄이 오면 산속 계곡 주변 바위 틈에서 자라나 꽃을 피우는 식물이 있어요. 돌·바위에 붙어 자라고 단풍나무와 비슷한 잎을 갖고 있는 '돌단풍' 입니다. 돌단풍은 자라면.. 김민하 국립생물자원관 환경연구관
[신문은 선생님]
[식물 이야기] 잎 앞면은 녹색 뒷면은 흰색… 경기 화성엔 500년 된 천연기념물도 2024.03.11 (월)
밤나무와 나도밤나무 그리고 국수나무와 나도국수나무는 이름만 서로 비슷할 뿐 실제 모습은 전혀 다른 나무지요. 비자나무와 개비자나무도 그런 사례랍니다. 비자나무는 높이 25m까지 크게 자라 주목(朱木)과 함께 큰키나무.. 김용식 전 천리포수목원 원장·영남대 조경학과 명예교수
[신문은 선생님]
[식물 이야기] 공기뿌리로 암벽 오르는 '한국의 아이비'… 겨울에도 푸른 잎·열매 귀엽죠 2024.03.04 (월)
아이비(Ivy)라는 이름은 익숙할 겁니다. 벽을 타고 오르게 심거나 화분의 빈 공간을 채우는 데 많이 쓰는 덩굴식물입니다. 그런데 비슷하게 생긴 송악은 모르는 사람이 훨씬 많은 것 같습니다. 송악이 바로 우리나라에서.. 김민철 기자
[신문은 선생님]
[식물 이야기] 대구 자생지는 천연기념물 1호… 바위 절벽서 군락 이뤄요 2024.02.29 (목)
측백나무는 측백나뭇과(科) 측백나무속(屬)으로 분류해요. 그런데 측백나무속에는 측백나무 한 종뿐이라 꽤 외로운 나무랍니다. 과거에는 눈측백나무속으로 분류했지만, 씨에 날개가 달리지 않고 잎에 향기가 없는 점이 달라 .. 김용식 전 천리포수목원 원장·영남대 조경학과 명예교수
[신문은 선생님]
[식물 이야기] 노루 귀처럼 털 많고 뾰족한 잎… 붉은빛 꽃으로 '봄' 알려요 2024.02.26 (월)
입춘(立春)이 지나고 남쪽 지방에서는 봄꽃 소식이 들려와요. 중부 지방 산속에도 봄이 다가왔죠. 이들 지역에선 지금쯤 아주 작고 귀여운 꽃이 있는 '노루귀'를 만날 수 있어요. 사랑스러운 노루귀 꽃은 봄이 시작됐음을.. 김민하 국립생물자원관 환경연구관
[신문은 선생님]
[식물 이야기] 새해 가장 먼저 피는 우리꽃… 연두색, 보라색 꽃술이 예뻐요 2024.02.05 (월)
설 연휴가 지나면 곧 변산바람꽃이 피었다는 소식이 올라올 겁니다. 양지바른 어딘가엔 이미 피었을지도 모릅니다. 해마다 2월 중순이면 전남 여수 향일암 근처에서 어여쁜 변산바람꽃이 핀 것을 볼 수 있습니다. 향일암은 .. 김민철 기자
[신문은 선생님]
[식물 이야기] 고대 그리스부터 사랑한 꽃… 지금 제주도에 피었어요 2024.01.29 (월)
그리스 신화 속 인물인 나르키소스는 물에 비친 자신의 아름다운 외모에 반해 가까이 쳐다보려다 물에 빠져 죽었다고 해요. 그 자리에 나르키수스(Narcissus)라는 꽃이 자라났다는 전설이 있죠. 바로 제주도에서 한창.. 김민하 국립생물자원관 환경연구관
[신문은 선생님]
[식물 이야기] 섬유질 풍부해… 나무껍질로 밧줄과 종이 만들었죠 2024.01.22 (월)
팽나무는 전통적으로 마을의 정자나무 였고 사찰 입구에 많이 심어 우리에게 매우 친숙해요. 어른들이 고향을 기억할 때면 가장 먼저 떠올리는 나무지요. 팽나무의 형제인 '왕팽나무'도 있답니다. 왕팽나무도 우리나라의 자생.. 김용식 전 천리포수목원 원장·영남대 조경학과 명예교수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