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식물이야기
-
-
-
- [신문은 선생님]
-
[식물 이야기] 높은 산에 피는 닻처럼 생긴 꽃… 우리나라 특산 식물이죠
2024.08.19 (월)
-
여름에서 가을로 넘어가는 이즈음 야생화 애호가들이 꼭 보고 싶어 하는 꽃들이 있습니다. 그중 하나가 참닻꽃입니다.이맘때 경기도와 강원도 경계인 화악산에 가면 가느다란 줄기에 올망졸망한 꽃이 주렁주렁 달려 있는 걸 볼..
김민철 기자
-
-
-
- [신문은 선생님]
-
[식물 이야기] 손톱 물들이는 정겨운 꽃… 유럽선 다른 식물 위협하는 식물로 찍혔다고?
2024.08.12 (월)
-
봉선화는 여름이면 정원이나 마당, 길가에서 꽃이 핀 모습을 흔히 볼 수 있는 식물입니다. 인도, 말레이시아, 중국이 봉선화의 고향이지만 오래전부터 우리나라에 들어와 '봉숭아'로 정겹게 불리기도 합니다.봉선화는 봄에 ..
차윤정 산림생태학자
-
-
-
- [신문은 선생님]
-
[식물 이야기] 1m 이상 큰 키에 황금색 꽃과 꽃대… 무더운 날엔 좋지 않은 냄새 풍겨요
2024.08.05 (월)
-
벌써 마타리 꽃이 피기 시작했습니다. 요즘 숲이나 풀밭 등 양지바른 곳에서 가장 인상적인 꽃은 황금색 마타리가 아닐까 싶습니다. 우선 마타리는 꽃도 꽃대도 황금색이고 키가 1m 이상으로 커서 시선을 확 끄는 식물입니..
김민철 기자
-
-
-
- [신문은 선생님]
-
[식물 이야기] 한여름 되면 잎겨드랑이에 보통 차풀은 1개, 자귀풀은 3개의 꽃 피어요
2024.07.29 (월)
-
같은 시기에 꽃이 피고, 잎이 비슷하게 생겨 이름을 바꿔 부르는 일이 흔한 식물로 '차풀'과 '자귀풀'이 있어요. 차풀은 식물 전체를 차(茶) 대신 사용했다고 해서, 자귀풀은 자귀나무와 같이 마주보는 작은 잎이 밤에..
김민하 국립생물자원관 환경연구관
-
-
-
- [신문은 선생님]
-
[식물 이야기] 연보라색 꽃잎 활짝 펼친 야생화… 이름에 '풀' 있지만 나무랍니다
2024.07.22 (월)
-
요즘 산에 가면 두꺼운 연보라색 화피(꽃잎과 꽃받침)를 활짝 펼치고 있는 꽃, 자주조희풀을 만날 수 있습니다.만나면 탄성이 절로 나오는, 원예종에서 느낄 수 없는 야생화만의 아름다움을 유감없이 보여주는 대표적인 꽃입..
김민철 기자
-
-
-
- [신문은 선생님]
-
[식물 이야기] 정신 멍하게 만드는 꿀처럼 단 열매… '멍꿀'서 이름 변한 걸로 추정
2024.07.15 (월)
-
멀꿀은 추위를 견디는 능력이 약해요. 그래서 일본이나 중국 남쪽 지방의 난대(열대와 온대의 중간 지대) 지역에 많이 분포해 있어요. 우리나라에선 전북의 방축도, 전남의 나로도·가거도·거문도나 대흑산도, 제주도 등에서..
김용식 전 천리포수목원 원장·영남대 조경학과 명예교수
-
-
-
- [신문은 선생님]
-
[식물 이야기] 비녀처럼 길쭉한 순백의 꽃… '토지'엔 '옥잠화 같은' 여인 나오죠
2024.07.08 (월)
-
공원·화단에서 여름꽃 옥잠화가 꽃망울을 맺기 시작했습니다. 곧 피는 꽃 중에서 꽃이 길쭉하면서 하얀색이고 잎은 넓은 달걀 모양이라면 옥잠화가 맞을 것입니다. 옥잠화는 중국이 원산지인 원예종으로, 흰색 중에서도 '다른..
김민철 기자
-
-
-
- [신문은 선생님]
-
[식물 이야기] 다닥다닥 달린 꽃이 낙지 빨판 같아… 타박상 치료에도 쓸 수 있대요
2024.07.01 (월)
-
식물의 생김새를 잘 표현한 재미있는 이름을 꼽는다면 요즘 꽃이 피는 '낙지다리'가 생각나요. 이 식물 이름은 줄기 끝부분의 꽃차례(꽃이 줄기나 가지에 붙어 있는 상태)가 여러 갈래로 나뉘고 꽃줄기마다 꽃이 촘촘히 달..
김민하 국립생물자원관 환경연구관
-
-
-
- [신문은 선생님]
-
[식물 이야기] 잎은 대나무 잎, 꽃은 복사꽃 닮은 상록수… 잎·가지에 독 있으니 손대지 말아야
2024.06.24 (월)
-
요즘 서울 시내 골목을 걷다 보면 가끔 큼지막한 화분에 잎이 댓잎(대나무 잎)처럼 생겼고 꽃은 복사꽃처럼 생긴 붉은 꽃이 핀 것을 볼 수 있습니다. 협죽도 꽃이 피기 시작한 것입니다.협죽도는 인도와 유럽 동부가 원산..
김민철 기자
-
-
-
- [신문은 선생님]
-
[식물 이야기] 열매에 물고기 일시적으로 마비시키는 성분… 시골에선 물고기 잡을 때 썼대요
2024.06.17 (월)
-
때죽나무는 우리나라 숲 가장자리에서 아주 흔하게 보이는 나무입니다. 이맘때쯤 피우는 꽃의 향기가 아주 좋아요.우리나라 이외에도 중국과 일본, 필리핀 등에서 때죽나무를 볼 수 있는데요. 우리나라에서 자라는 때죽나무가 ..
김용식 전 천리포수목원 원장·영남대 조경학과 명예교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