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은선생님

식물이야기

[신문은 선생님]
[식물 이야기] 뿌리가 땅 위를 달리는 풀… 갈대와 비슷한데 물살 센 계곡에서 자라요 2024.09.23 (월)
억새와 갈대가 바람에 흔들리는 모습은 가을을 대표하는 풍경 중 하나죠. 그런데 요즘 산의 계곡을 지나다 보면 물가에서 억새 또는 갈대와 비슷하게 생긴 풀이 무리 지어 자라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꽃이삭이 엉성한 편.. 김민철 기자
[신문은 선생님]
[식물 이야기] 푸른빛 도는 자주색 꽃으로 벌 유인… 쨍쨍한 날 꽃잎 활짝 펼쳐져요 2024.09.09 (월)
아름다운 가을 야생화 '용담'은 비교적 높은 산의 햇빛 잘 드는 숲 가장자리에서 자랍니다. 흔히 고산 초원의 풀꽃들이 무리 지어 있는 것과 달리 용담은 홀로 자라지요.용담의 줄기는 해마다 땅속줄기나 뿌리에서 새로 나.. 차윤정 산림생태학자
[신문은 선생님]
[식물 이야기] 2m까지 왕성하게 자라는 '야생초의 왕'… 꽃 피면 추석 다가온 거죠 2024.09.02 (월)
요즘 곳곳에서 잎이 깃 모양으로 갈라져 있고 연한 노란색 꽃이 피기 시작하는 식물이 있습니다. 왕고들빼기입니다. 우리 주변에 흔한 풀로 숲 가장자리는 물론 서울 광화문 근방 작은 공터에서도 이 식물을 볼 수 있습니다.. 김민철 기자
[신문은 선생님]
[식물 이야기] 꽃 피우는 식물 중 가장 작아… 물에 떠다니는 녹색 가루처럼 보이죠 2024.08.26 (월)
분개구리밥은 꽃을 피우는 식물 중에서 크기가 가장 작은 식물이에요. 0.1~1.5㎜로 매우 작아 마치 물에 떠다니는 녹색 가루처럼 보여요. 이런 분개구리밥속(Wolffia) 식물은 세계에 약 11종이 있답니다.우리나.. 김민하 국립생물자원관 환경연구관
[신문은 선생님]
[식물 이야기] 높은 산에 피는 닻처럼 생긴 꽃… 우리나라 특산 식물이죠 2024.08.19 (월)
여름에서 가을로 넘어가는 이즈음 야생화 애호가들이 꼭 보고 싶어 하는 꽃들이 있습니다. 그중 하나가 참닻꽃입니다.이맘때 경기도와 강원도 경계인 화악산에 가면 가느다란 줄기에 올망졸망한 꽃이 주렁주렁 달려 있는 걸 볼.. 김민철 기자
[신문은 선생님]
[식물 이야기] 손톱 물들이는 정겨운 꽃… 유럽선 다른 식물 위협하는 식물로 찍혔다고? 2024.08.12 (월)
봉선화는 여름이면 정원이나 마당, 길가에서 꽃이 핀 모습을 흔히 볼 수 있는 식물입니다. 인도, 말레이시아, 중국이 봉선화의 고향이지만 오래전부터 우리나라에 들어와 '봉숭아'로 정겹게 불리기도 합니다.봉선화는 봄에 .. 차윤정 산림생태학자
[신문은 선생님]
[식물 이야기] 1m 이상 큰 키에 황금색 꽃과 꽃대… 무더운 날엔 좋지 않은 냄새 풍겨요 2024.08.05 (월)
벌써 마타리 꽃이 피기 시작했습니다. 요즘 숲이나 풀밭 등 양지바른 곳에서 가장 인상적인 꽃은 황금색 마타리가 아닐까 싶습니다. 우선 마타리는 꽃도 꽃대도 황금색이고 키가 1m 이상으로 커서 시선을 확 끄는 식물입니.. 김민철 기자
[신문은 선생님]
[식물 이야기] 한여름 되면 잎겨드랑이에 보통 차풀은 1개, 자귀풀은 3개의 꽃 피어요 2024.07.29 (월)
같은 시기에 꽃이 피고, 잎이 비슷하게 생겨 이름을 바꿔 부르는 일이 흔한 식물로 '차풀'과 '자귀풀'이 있어요. 차풀은 식물 전체를 차(茶) 대신 사용했다고 해서, 자귀풀은 자귀나무와 같이 마주보는 작은 잎이 밤에.. 김민하 국립생물자원관 환경연구관
[신문은 선생님]
[식물 이야기] 연보라색 꽃잎 활짝 펼친 야생화… 이름에 '풀' 있지만 나무랍니다 2024.07.22 (월)
요즘 산에 가면 두꺼운 연보라색 화피(꽃잎과 꽃받침)를 활짝 펼치고 있는 꽃, 자주조희풀을 만날 수 있습니다.만나면 탄성이 절로 나오는, 원예종에서 느낄 수 없는 야생화만의 아름다움을 유감없이 보여주는 대표적인 꽃입.. 김민철 기자
[신문은 선생님]
[식물 이야기] 정신 멍하게 만드는 꿀처럼 단 열매… '멍꿀'서 이름 변한 걸로 추정 2024.07.15 (월)
멀꿀은 추위를 견디는 능력이 약해요. 그래서 일본이나 중국 남쪽 지방의 난대(열대와 온대의 중간 지대) 지역에 많이 분포해 있어요. 우리나라에선 전북의 방축도, 전남의 나로도·가거도·거문도나 대흑산도, 제주도 등에서.. 김용식 전 천리포수목원 원장·영남대 조경학과 명예교수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