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식물이야기
-
-
-
- [신문은 선생님]
-
[식물이야기] 구근·허브 식물이 대표적… 실내서도 잘 자라고 꽃·열매 오래 볼 수 있대요
2020.07.10 (금)
-
코로나 바이러스 유행으로 인한 사회적 거리 두기가 계속되면서 많은 사람이 고독감과 불안감을 느끼는 '코로나 블루(blue·우울증)' 상태에 있다고 해요. 그래서 최근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에서 자가 격리자와 노인들에게 ..
최새미 식물칼럼니스트
-
-
-
- [신문은 선생님]
-
[식물이야기] 굵은 감자 만들려고 따버리는 꽃… 6월에 피지만 쉽게 못 본대요
2020.06.26 (금)
-
우리나라에서는 보통 6월부터 장마철까지 감자가 제철이에요. 한번 수확하면 1년 내내 보관하며 감자를 맛볼 수 있답니다. 그런데 감자에도 꽃이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나요? 감자의 울퉁불퉁한 모습, 흙이 잔뜩 묻은 갈색..
최새미 식물 칼럼니스트
-
-
-
- [신문은 선생님]
-
[식물이야기] 옥수수·사탕수수로 만든 연료… 연소시 탄소 배출 의외로 많대요
2020.06.12 (금)
-
코로나 사태가 장기화되면서 국제 유가(석유 가격)가 당분간 불안정한 상태를 유지할 거라는 뉴스가 나왔어요. 석유가 나지 않는 우리나라 같은 나라는 이럴 때마다 태양광, 풍력 등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요. ..
최새미 식물 칼럼니스트
-
-
-
- [신문은 선생님]
-
[식물이야기] 꿀벌이 전부 사라지면 과일·견과류 생산량 23% 줄어든대요
2020.05.29 (금)
-
향긋한 꽃향기가 코끝을 간질이는 5월이면 활짝 핀 꽃과 함께 떠오르는 곤충이 있어요. 바로 꿀벌이지요. 본래 꿀벌은 봄이면 꽃과 꽃 사이를 열심히 오가며 부지런히 일을 시작하는데, 이상하게도 요새는 '붕~' 하는 꿀..
최새미 식물칼럼니스트
-
-
-
- [신문은 선생님]
-
[식물이야기] 높은 가지들은 서로 닿지 않으려 하죠… 햇빛 나누는 공존법이래요
2020.05.15 (금)
-
광활한 숲과 키가 큰 나무들, 그리고 사이를 흐르는 구불구불한 푸른색 줄기. 얼핏 보기엔 녹지를 이리저리 가로지르는 강의 모습 같지만, 자세히 보면 푸른 줄기 안에 하얗게 들어 있는 구름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때로..
최새미 식물칼럼니스트
-
-
-
- [신문은 선생님]
-
[식물이야기] 5월을 감싸는 '여왕'의 향기, 300종의 향기 분자가 완성시켜요
2020.05.01 (금)
-
5월은 '꽃의 여왕'인 장미의 계절입니다. 필 듯 말 듯 동그랗게 맺힌 꽃봉오리 옆을 지날 때면 달콤하기도 하고 상쾌한 느낌도 드는 복잡미묘한 향기가 발길을 붙잡아요. 장미는 붉은색의 커다란 꽃도 아름답지만, 향기 ..
최새미 식물칼럼니스트
-
-
-
- [신문은 선생님]
-
[식물이야기] '쑥' 밥에 넣고, '민들레' 김치로 만들고, '냉이' 국으로 먹어요
2020.04.10 (금)
-
꽃샘추위가 여전히 기승을 부리고, 바이러스가 걱정스러워 밖으로 쉽게 돌아다닐 수 없을 때엔 집 앞에서 볼 수 있는 봄나물로 식탁을 채워 보세요. 쑥과 함께 넣어 지은 밥에 양념장을 넣어 쓱쓱 비비고, 빨갛게 무친 민..
최새미 식물칼럼니스트
-
-
-
- [신문은 선생님]
-
[식물이야기] 활짝 피지 못한 벚꽃… '벚나무빗자루병' 앓기 때문이랍니다
2020.03.27 (금)
-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은 심각한 호흡기 질환을 일으키며 사람들에게 두려움의 대상이 되었어요. 두려움의 이유는 바로 '전염성' 때문입니다. 감염됐을 때 나에게 특별한 증상이 없이 치유되더라도 다른 사람에게 바이러스를 ..
최새미 식물칼럼니스트
-
-
-
- [신문은 선생님]
-
[식물이야기] 360도로 생생하게… 미국 LA 식물원을 우리집에서 즐기죠
2020.03.13 (금)
-
스마트폰에서 사진을 이리저리 움직여가며 집 안 구석구석을 구경하는 애플리케이션(앱)을 본 적 있나요? 이런 앱은 바로 가상현실(VR·버추얼 리얼리티)을 이용한 것입니다. 가상현실은 실제와 유사하게 보이거나 느껴지지만..
최새미 식물칼럼니스트
-
-
-
- [신문은 선생님]
-
[식물이야기] 기후변화로 무색해진 식목일… 2월 말에 심어야 잘 자라요
2020.02.28 (금)
-
우한 코로나 확진자가 늘어나면서 사람들이 많이 모이는 행사가 연기되거나 취소되고 있어요. 제주도에서는 2월 말, 울산에서는 3월 초에 예정되었던 식목 행사가 취소되었지요. 그런데 조금 의아한 점이 있습니다. 우리가 ..
최새미·식물칼럼니스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