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은 선생님
[식물이야기] 높은 가지들은 서로 닿지 않으려 하죠… 햇빛 나누는 공존법이래요
입력 : 2020.05.15 03:01
수관기피
광활한 숲과 키가 큰 나무들, 그리고 사이를 흐르는 구불구불한 푸른색 줄기. 얼핏 보기엔 녹지를 이리저리 가로지르는 강의 모습 같지만, 자세히 보면 푸른 줄기 안에 하얗게 들어 있는 구름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때로는 햇빛이 틈새로 들어와 숲 깊은 곳까지 비추기도 하지요. 바로 키가 큰 나무들이 살아가는 숲의 바닥에서 하늘을 바라본 모습입니다.
숲 꼭대기에서는 종종 '수관기피' 현상을 관찰할 수 있습니다. '수관'은 나무의 가장 윗부분으로, 줄기 끝에 가지와 잎이 달린 부분인데 서로 떨어지려고 기피한다는 겁니다. 가지들이 수줍어하면서 몸을 움츠린 것으로 보였는지, 영어 표현에서는 '수관의 수줍음(crown shyness)'이라고 합니다.
숲 꼭대기에서는 종종 '수관기피' 현상을 관찰할 수 있습니다. '수관'은 나무의 가장 윗부분으로, 줄기 끝에 가지와 잎이 달린 부분인데 서로 떨어지려고 기피한다는 겁니다. 가지들이 수줍어하면서 몸을 움츠린 것으로 보였는지, 영어 표현에서는 '수관의 수줍음(crown shyness)'이라고 합니다.
- ▲ 숲 꼭대기에 나타난 수관기피 현상. 수관기피는 햇빛을 골고루 이용하기 어려운 숲 환경에서 식물 공동체가 생존하는 전략입니다. /위키피디아
수관기피는 주로 키 큰 나무들 사이에서 관찰됩니다. 같은 종의 나무 사이에서 주로 발생하지만 때로는 다른 종의 나무 사이에서도 발생하고, 한 그루의 나무에서 뻗어 나온 서로 다른 가지에서도 발생하는 신기한 현상이지요. 나무가 자라다 숲에서 가장 높은 곳에 이르러 서로 가지를 건드렸을 때 가지를 움츠리거나 성장을 멈추기 때문에 이런 현상이 일어나는데요. 소나뭇과, 두릅나뭇과 식물이나 맹그로브, 녹나무, 유칼립투스류 등 다양한 종에서 수관기피 현상이 관찰됐습니다.
왜 이런 현상이 일어나는 것일까요? 식물학자들은 식물 공동체가 햇빛을 골고루 이용하기 위함이라고 설명합니다. 식물은 눈에 보이지 않는 '원적외선'을 감지해 상대방 식물이 자신과 얼마나 가깝게 위치하는지 파악한 뒤, 그 식물과 가능한 한 멀리 떨어지는 방향으로 자라요. 빛을 충분히 받기 어려운 숲 환경에서는 서로 일정한 거리를 유지해야 햇빛을 조금이라도 받을 수 있고, 더 쉽게 생존할 수 있어 식물이 이런 전략을 택했다는 설명이에요. 수관기피 현상을 설명하는 가장 유력한 가설입니다. 또 바람이 부는 환경에 적응한 결과라는 가설도 있습니다. 꼭대기의 가지들이 바람에 흔들리며 부딪혀서 서로 마모되면서 자연적으로 가지치기가 된다는 것이죠.
결국 수관기피는 경쟁이 치열한 숲 환경에서 식물 공동체가 잘 살아가는 방법인 셈입니다. 실제로 수관기피는 해충이나 전염병이 퍼지지 않게 하는 전략으로 설명되기도 하지요. 우리가 지금 코로나 바이러스를 이겨내고 건강한 사회를 되찾기 위해 사회적 거리 두기를 실천하는 것과 비슷한 셈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