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은선생님

전체기사

[상식쑥쑥 역사]
조선 왕은 대식가?… 하루에 6번 식사했대요 2013.10.08 (화)
조선시대 사람들은 끼니를 어떻게 해결했을까요?끼니는 아침, 점심, 저녁처럼 날마다 일정한 때에 먹는 밥을 말해요. 밥을 먹는 일을 뜻하기도 하고요. 끼니라는 말은 1459년에 펴낸 '월인석보'라는 책에 처음 등장했어.. 지호진
[알립니다]
신문을 활용한 책 만들기 지도사 양성 과정 외 2013.10.08 (화)
신문을 활용한 책 만들기 지도사 양성 과정조선일보가 '신문을 활용한 책 만들기 지도사 양성 과정'을 개설합니다. 이 과정은 NIE(신문활용교육)나 논술, 다양한 글쓰기 결과물을 책(스크랩 북)으로 만드는 것을 지도합..
[안진훈의 창의력 노트]
"정승같이 키우면 정승 되고, 머슴같이 키우면 머슴 됩니다" 2013.10.08 (화)
많은 엄마와 상담해보면 아이를 바라보는 태도를 기준으로 엄마들을 크게 세 부류로 나눌 수 있습니다.첫째, 우리 아이가 실제보다 부족하다고 생각하는 엄마입니다. 물론 엄마 눈에는 아이가 늘 부족하지요. 문제는 그러한 .. 안진훈 MSC브레인컨설팅 대표
[이슈토론]
"자전거라도 음주운전 안돼" vs "단속하는 방법·기준 애매" 2013.10.08 (화)
요즘 주변에 자전거를 타는 사람들이 부쩍 늘어났습니다. 그런데 자전거를 즐기는 사람들이 많은 곳에 가보면 이상한 풍경과 마주칠 때가 있습니다. 도로 옆 간이매점에서 맥주나 막걸리 같은 술을 마신 어른들이 아무렇지 않.. 최보근 PD
[생생뉴스 NIE]
우리나라 지폐 그림, 왜 초상화일까 2013.10.08 (화)
신사임당, 세종대왕, 율곡 이이, 퇴계 이황. 이분들의 공통점은 무엇일까요? 모두 우리나라 지폐의 모델입니다. 지폐에 초상화를 그려 놓은 이유 중 하나는 위조를 막기 위한 것입니다. 옛날에는 주로 손으로 그려서 지폐.. 이영호 한국은행 발권국 조사역
[고전은 내친구]
이 세상에 '쓸모없는 것'은 없어요 2013.10.07 (월)
"내가 나비가 되는 꿈을 꾸었는지 나비가 꿈에 내가 되었는지 모르겠다."나비가 되어 훨훨 날아다니는 꿈을 꾼 다음에 장자가 한 말입니다. 이걸 두고 '호접몽(胡蝶夢)'이라고 하는데요, 국어사전은 '장자가 꿈에 호랑나.. 안진훈
[고전을 읽읍시다]
"내가 나비 꿈을 꾼 것인지, 나비가 내 꿈을 꾼 것인지" 2013.10.07 (월)
※다음은 장자의 '장자' 원문 중 일부를 어린이들이 읽기 쉽도록 풀어쓴 글입니다. 본문을 읽고 아래 질문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을 말해보세요.남해에 '숙(儵)'이라는 임금이 살았습니다. 북해 임금은 '홀(忽)', 중앙.. 김남준
[숨어있는 세계사]
우리나라 서쪽에 있는 시리아, 왜 中東이라 부를까 2013.10.04 (금)
"아빠, 궁금한 게 있어요."거실에서 아빠와 텔레비전을 보고 있는데, 누나가 신문을 읽다 말고 달려왔어요. 요즘 신문으로 공부하는 프로그램에 푹 빠져 열심히 신문을 보고 있었거든요."신문에서 중동, 중동 하는데, 도.. 강응천
[그림으로 보는 자연]
곰을 사람으로 만든 마늘… 피로 덜고 암 예방해요 2013.10.03 (목)
오늘은 나라를 세운 것을 기념하는 '개천절'이야. 우리나라 건국 신화에는 마늘이 나와. 곰이 사람이 되려고 어두운 동굴에서 100일 동안 먹은 게 마늘과 쑥이잖아. 곰이 사람(웅녀)이 되어 이 나라를 세운 단군을 낳.. 박윤선
[생각이 자라는 어린이]
하늘이 열린 날(개천절), 비·바람·구름도 함께 왔죠 2013.10.03 (목)
'우리가 물이라면 새암(샘의 뜻)이 있고, 우리가 나무라면 뿌리가 있다'.국경일에 부르는 노래 가사 중 일부예요. 어떤 국경일 노래인지 알아맞혀 보세요. 잘 모르겠지요? 그다음 가사를 들려줄게요. '이 나라 한아버님.. 이태화
811 812 813 814 815 816 817 818 819 8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