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은선생님

전체기사

[상식쑥쑥 역사]
우리나라 최초의 자동 물시계는 자격루예요 2013.10.22 (화)
1920년 체코 작가 카렐 차페크는 자기가 쓴 희곡에 등장하는 인조인간을 '로봇(robot)'이라고 불렀어요. '강제로 일하다'라는 뜻이 담긴 체코어를 변형해 만든 말이에요. 이때부터 사람과 비슷한 모습과 기능을 지.. 지호진
[알립니다]
중학생 NIE 강좌 열립니다 2013.10.22 (화)
조선일보가 11월을 맞이하여 중학생 대상으로 글쓰기 강좌를 준비합니다. 신문에 실린 최신 지식을 이해하고 자기 생각을 정확히 표현하는 법을 배웁니다. 이를 통해 고교에 들어가기 전에 논술 기초를 확실히 쌓을 수 있습..
"신문 속 성공 스토리 보며 내 꿈 키우죠" 2013.10.22 (화)
"신문 속 인물 인터뷰 기사를 꾸준히 읽다 보면 내 꿈을 이룰 성공 비법이 보여요."지난 12일 오후 2시, 경기도 성남시 은행동에 위치한 '봄이네 집'에 중·고등학교 여학생 6명이 둘러앉아 신문 속 인터뷰 기사를 .. 신윤상 PD
[이슈토론]
"바른 언어 사용 방해하는 행위" vs "속도의 시대… 불가피한 현상" 2013.10.22 (화)
"생선, 갈비, 문상."혹시 물고기와 돼지갈비, 조문 등이 떠올랐다면 여러분은 인터넷과 친하지 않은 '구세대'입니다. 온라인상의 줄임말에 익숙한 사람이라면 생일선물(생선), 갈수록 비호감(갈비), 문화상품권(문상)을.. 강윤호 PD
[자세히 알고 싶어요]
이 세 가지 무기, 무엇이 다를까요? 2013.10.22 (화)
지난 10월 1일 제65주년 국군의 날 기념행사에 다양한 군 무기가 공개됐습니다.전차부터 자주포, 장갑차를 비롯하여 그동안 일반에게 공개되지 않았던 '현무-3' 미사일과 무인 로봇 장비인 '견마 로봇' 등 최신 무기.. 여원주 NIE팀장
[고전을 읽읍시다]
"선한 의지는 행복을 누리기 위한 필수 조건이다" 2013.10.21 (월)
※다음은 칸트의 '도덕 형이상학을 위한 기초 놓기' 원문 중 일부를 어린이들이 읽기 쉽도록 풀어쓴 글입니다. 본문을 읽고 아래 질문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을 말해보세요.세상에서 무한히 선(善)하다고 여겨질 수 있는 것.. 김남준
[고전은 내친구]
결과가 좋으면 도덕적인 걸까? 2013.10.21 (월)
우리는 하루를 살면서 알게 모르게 몇 차례씩 도덕적 판단을 합니다. 간단한 예를 들자면 신호등을 건널 때 빨간색인데 건널까 말까 결정해야 하는 판단 말입니다. 만약 지금 당장 건너지 않으면 지각을 하게 되는 상황이라.. 안진훈
[숨어있는 세계사]
ABCD… 알파벳은 누가 만들었을까? 2013.10.18 (금)
"끼토산~ 야끼토~ 를디어~ 냐느가~"학교를 마치고 돌아오면서 친구들과 '산토끼' 노래 가사를 거꾸로 불렀어요. 할수록 재미있어서 집에 와서도 계속 불렀답니다."총깡 총깡 서면뛰 를디어 냐느가~"그러자 누나가 귀를 .. 강응천
[그림으로 보는 자연]
아삭아삭 단감 말랑말랑 홍시… 달짝지근 감꽃 2013.10.17 (목)
우리나라에선 흔한 과일인데, 서양에서 보기 어려운 귀한 과일은 무얼까? 요즘 한창 제철인 감이야. 감은 우리나라, 중국, 일본에서 주로 나거든. 단단해서 아삭아삭 씹어 먹는 맛이 좋은 달짝지근한 단감, 말랑말랑 보드.. 박윤선
[생각이 자라는 어린이]
우리의 작은 배려가 환한 세상 만들어요 2013.10.17 (목)
새파란 하늘과 알록달록 단풍잎이 어우러져 멋진 풍경을 뽐내고 있어요. 이렇게 눈이 시리도록 아름다운 가을을 눈으로 보고 즐길 수 있는 것. 여러분은 당연하게 여기고 있죠? 그런데 우리 주변에는 눈이 아닌 다른 감각들.. 방민희
801 802 803 804 805 806 807 808 809 8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