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생뉴스 NIE

우리나라 지폐 그림, 왜 초상화일까

입력 : 2013.10.08 09:03

초상화는 쉽게 베낄 수 없어 위조 막는 효율적 장치 중 하나
홀로그램·숨은 그림 등도 사용…
화폐 위조하는 건 중대한 범죄, 법으로 엄하게 처벌하고 있죠

신사임당, 세종대왕, 율곡 이이, 퇴계 이황. 이분들의 공통점은 무엇일까요? 모두 우리나라 지폐의 모델입니다. 지폐에 초상화를 그려 놓은 이유 중 하나는 위조를 막기 위한 것입니다. 옛날에는 주로 손으로 그려서 지폐를 위조했는데요, 초상화는 손으로 그려서 베끼기가 매우 어려워 위조를 방지하는 효율적인 장치로 간주되었습니다.

화폐의 발전 과정(물품화폐→금속화폐→지폐)에서 위조는 언제나 골칫거리였습니다. 기록으로 남아있는 세계 최초의 화폐 위조 사건인 '진흙 카카오 콩'은 참 재밌어요. 멕시코 지역에서 찬란한 고대 문명을 꽃피웠던 아즈텍 사람들은 초콜릿의 재료인 카카오 콩을 화폐로 사용했는데 진흙을 섬세하게 빚어 카카오 콩처럼 모양을 만들고 진짜 카카오 콩에 섞어서 사용했다고 합니다.

위조지폐 확인방법 그래픽
그래픽=양인성 기자

위조화폐는 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요? 화폐는 우리 몸 안의 혈액처럼 우리 경제 구석구석을 돌며 거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합니다. 하지만 혈액이 오염되면 우리의 건강이 위협받는 것처럼 위조화폐가 많아지면 거래가 크게 위축될 수 있습니다. 우리가 네모난 종이에 불과한 지폐를 사용하는 것은 내가 물건을 구입한 후 대금을 지급할 때 판매자가 이를 받아줄 것이라는 믿음 때문인데요. 만약 이러한 믿음이 깨진다면 사람들은 화폐를 더 이상 사용하지 않아 거래가 이루어지기 어려울 것입니다. 이런 위폐의 파괴력 때문에 미국 독립혁명 당시 영국은 미국 달러를 대량 위조했었고, 제2차 세계대전 당시 독일 나치스는 영국 파운드화를 대량 위조하여 폭격기로 공중에서 살포하려고 했었답니다.

위조지폐의 제작과 유통을 방지하기 위해 우리나라에서는 다양한 위조 방지 장치를 사용하고 있는데, 그중 일반인이 육안이나 촉감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는 방지 장치를 알아볼게요. 이러한 장치들은 비추어보고, 기울여보고, 만져봄으로써 간단히 확인할 수 있습니다. 5만원권을 예로 들면 신사임당 초상화가 있는 면의 좌측 공간에 빛을 비추어보면 숨겨져 있는 신사임당 초상이 보이며, 그 아래 오각형 무늬 안의 액면 숫자 '5'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왼쪽 끝 부분에 세로 방향으로 부착된 은색 띠를 기울여보면 보는 각도에 따라 우리나라 지도, 태극무늬, 4괘 문양이 번갈아 나타납니다. 마찬가지로 가운데 좌측 부분에 띄엄띄엄 있는 회색빛 띠를 상하로 기울이면 태극무늬가 좌우로 움직이며, 좌우로 기울이면 상하로 움직입니다.

시각장애인들은 어떻게 위조지폐를 구별할 수 있을까요? 인물 초상이나 숫자 부분을 만져보면 오돌토돌한 감촉을 느낄 수 있습니다. 또 5만원권은 신사임당 초상이 있는 면의 오른쪽과 왼쪽 가장자리에 가로로 볼록 인쇄한 다섯줄 무늬가 있어서 손으로 구별 가능합니다.

여러 국가가 위조 방지 장치를 장착하는 것 외에도 통화 위조 자체를 법으로 엄격히 금지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 통화 위조는 사형·무기 또는 5년 이상 징역에 해당하는 처벌을 받게 됩니다.

우리나라는 세계적으로 위조지폐가 매우 적은 나라입니다. 유통되고 있는 지폐 100만장당 위조지폐가 얼마나 발견되는지를 비교해보면 2012년 기준 우리나라는 2장으로 영국 247장, 멕시코 109장, 유로 지역 34장에 비해 매우 적은 수준입니다. 2013년 상반기에는 0.5장으로 더욱 감소하였습니다.

이는 첨단 위조 방지 장치를 도입하고 엄하게 처벌한 덕분이기도 하지만 무엇보다도 국민이 화폐를 주고받을 때 위조 방지 장치를 확인하고 신고해 준 덕분입니다.

[NIE 이렇게 해보세요]

[활동 1]
5만원권 지폐의 위조 방지 장치로는 무엇이 있을까요? 지폐를 비추고 기울이고 만져보세요.

[활동 2]
친구들에게 왜 화폐를 위조하면 안 되는지 설명해 보세요.


이영호 한국은행 발권국 조사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