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기사
-
-
-
- [신문은 선생님]
-
[동물이야기] 긴 주둥이에 톱날같은 이빨 달려… 먹잇감 잘게 잘라 먹어요
2020.04.03 (금)
-
최근 영국 뉴캐슬대학교 연구팀은 2종의 신종 톱상어를 발견했다는 연구 결과를 미국 공공과학도서관 온라인 학술지인 '플러스 원'에 발표했어요. 이전까지 톱상어과는 모두 8종이 있었어요. 아가미구멍이 6쌍인 '여섯아가미..
김창회 박사·전 국립생태원 생태조사연구실
-
-
-
- [신문은 선생님]
-
[예쁜 말 바른 말] [134] '나누다'와 '노느다'
2020.04.02 (목)
-
* 국무총리가 담화에서 콩 한 쪽도 나눈다는 심정으로 지금의 위기를 슬기롭게 극복해 나가자고 말하였다.* 엄마는 주꾸미 한 박스를 사서 이모네랑 반씩 노났다고 하셨다.위 예문에서 '나눈다'의 으뜸꼴 '나누다'와 '노..
류덕엽 서울 양진초 교장
-
-
-
- [신문은 선생님]
-
[재미있는 과학] RNA 복제 차단하거나 돌연변이 일으켜 바이러스 물리치죠
2020.04.02 (목)
-
전 세계를 휩쓸고 있는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의 치료제에 대한 관심이 높아요. 코로나 치료제인 항바이러스제(antivirals)를 찾기 위해 당장 시도해 볼 수 있는 방법은 이미 안정성이 확인된 약물 중에서 코로나 ..
주일우 과학칼럼니스트
-
-
-
- [신문은 선생님]
-
[숨어 있는 세계사] '뇌제'로 불린 러시아 최초의 차르… 아내 잃고 폭군으로 돌변
2020.04.01 (수)
-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지난 19일 타스통신과의 인터뷰에서 "차르는 앉아서 위로부터 감시하며 명령을 내리고 스스로는 거울이나 들여다보는 사람"이라고 정의하면서 "나는 매일 일하며, 군림하지 않는다"고 말했어..
서민영·경기 함현고 역사 교사
-
-
-
- [신문은 선생님]
-
[아하! 이 음식] 식이섬유·칼륨 등 영양 가득 나물… '산에서 나는 소고기'라고 불려요
2020.04.01 (수)
-
제주도에는 봄이면 '고사리 장마'가 찾아옵니다. 진짜 장마는 아닙니다. 매년 4월쯤 제주에는 보슬비처럼 약한 비가 자주 내리는 기간이 있는데, 이 기간이 지나면 땅에서 고사리〈사진〉가 쑥쑥 올라온다고 해서 붙여진 이..
김성윤 음식전문기자
-
-
-
- [신문은 선생님]
-
[고전이야기] 류성룡이 기록한 임진왜란… 왕의 허물도 가감없이 지적했죠
2020.04.01 (수)
-
"나라의 녹을 먹는 자는 어떠한 어려움도 피하지 않는 것이 도리요. 끓는 물 속이라도 들어가야 할 때에 이 정도 일을 피하려 한단 말인가?"'임진왜란' 하면 보통은 이순신 장군을 떠올리지만, 수많은 사람의 의지와 분..
장동석 출판평론가·'뉴 필로소퍼' 편집장
-
- [신문은 선생님]
-
[오늘의 숫자] 100만
2020.04.01 (수)
-
30일 정부가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에 따른 경제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긴급재난지원금을 지급하기로 했어요. 소득 하위 70%인 약 1400만 가구에 100만원(4인 가구 기준)을 지급할 예정입니다. 이를 위해 약 1..
양승주 기자
-
-
-
- [신문은 선생님]
-
[뉴스 속의 한국사] '검무' 추던 조선 여성, 1930년대 파리와 뉴욕을 휩쓸다
2020.03.31 (화)
-
1950년대 소련의 사진작가가 필름에 담은 한국의 여성 무용가 최승희(1911~1969)의 사진 자료집이 최근 출간됐어요. 책을 낸 배은경 박사는 2017년 모스크바의 문서보관소에서 이 사진들을 발굴했는데, 작가 이..
유석재 기자
-
-
-
- [신문은 선생님]
-
[재밌다, 이 책!] 정성 깃든 음식을 감사하며 먹기… 오늘 하루도 잘~ 먹는 방법이죠
2020.03.31 (화)
-
잘 먹겠습니다허은실 글|박정섭 그림|창비|56쪽|9500원살기 위해서 꼭 필요한 것으로 우리는 '의, 식, 주'를 꼽습니다. 곰곰이 따져보면 그중 가장 중요한 것이 '식'임을 알 수 있어요. 옷이 없다면 부끄럽기야 ..
박사·북 칼럼니스트
-
-
-
- [신문은 선생님]
-
[김유겸의 스포츠로 세상읽기] 사냥·채집하며 진화한 우리 몸… 신체 활동 줄어들어 병 늘었어요
2020.03.31 (화)
-
비만, 당뇨병, 근시, 치매, 알레르기…. 이런 병의 공통점은 과거엔 존재하지 않거나 드물었지만, 현대에 들어 흔해지고 심해진 질병입니다. 지금은 인류 역사상 가장 물질적으로 풍요롭고, 위생이나 의료 기술도 발달한 ..
김유겸 서울대 체육교육과 교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