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은선생님

전체기사

[신문은 선생님]
[아하! 이 장소] 150개의 운하로 이어진 '물의 도시'… 해수면 상승으로 가라앉고 있대요 2020.03.25 (수)
이탈리아 베네치아는 26만여 명이 사는 중소도시입니다. 연 2000만명의 관광객이 찾으며 오버투어리즘(과잉 관광) 문제가 나타나는 대표적인 곳이에요. 그런데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으로 베네치아를 방문하는 관광객이 급.. 박의현 창덕여중 지리 교사
[신문은 선생님]
[숨어 있는 세계사] 1929년 미국 증시 붕괴로 시작… 전 세계 5000만 실업자 발생 2020.03.25 (수)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의 전파로 세계경제가 위축되고 있어요. 실직자와 휴직자들이 늘고 경제활동도 줄어들고 있습니다. 지난 16일엔 미국 대표 주가인 다우지수가 전날보다 12.9%나 떨어지기도 했어요. 1929년 대공.. 윤서원 서울 단대부고 역사 교사
[신문은 선생님]
[여권으로 세상 읽기] 말루쿠서만 나던 향신료… 네덜란드가 독점하려 동인도회사 세웠어요 2020.03.24 (화)
인도네시아 여권에는 정향나무가 등장합니다. 개화를 앞둔 꽃봉오리의 모습인데, 얼핏 평범해 보이지만 이 나무엔 특별한 이야기가 깃들어 있습니다. 이 나무의 꽃봉오리가 향신료로 쓰이는 데서 비롯된 이야기예요. 15세기 .. 이청훈 출입국관리공무원
[신문은 선생님]
[재밌다, 이 책!] 나도 위대한 무언가가 되는 걸까? 자신의 자리 찾아 떠난 '작은 벽돌' 2020.03.24 (화)
작은 벽돌|조슈아 데이비드 스타인 글|줄리아 로스먼 그림|정진호 옮김|그레이트 BOOKS|40쪽|1만3000원우리 인생에서 가장 크고 아름다운 '가능성'을 쥐고 있을 때는 막 태어났을 때 아닐까요? 수많은 선택과 성.. 박사 북 칼럼니스트
[신문은 선생님]
[오늘의 숫자] 600억 2020.03.24 (화)
지난 19일 우리나라와 미국이 600억달러(약 74조7000억원) 규모의 통화 스와프(swap) 협정을 체결하기로 했어요. 통화 스와프는 돈을 맞교환하는 것을 뜻해요. 우리가 미국에 원화를 주고 그에 상응하는 달러를.. 양승주 기자
[신문은 선생님]
[뉴스 속의 한국사] 역신 보고도 춤추며 노래 부른 처용… 전염병 쫓는 상징됐죠 2020.03.24 (화)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이 세계적으로 유행하는 가운데, 이 위기를 이겨내자는 노래가 속속 나오고 있어요. 우리나라에서는 인기 노래 경연 프로그램이었던 TV조선의 '미스터트롯' 출연자들이 코로나 바이러스를 물리치자는 '.. 지호진 어린이 역사 저술가
[신문은 선생님]
[김주영의 클래식 따라잡기] '소녀의 기도' '크시코스의 우편마차', 피아니스트 첫걸음이죠 2020.03.21 (토)
평범하게 지나가는 일상의 소중함이, 별 탈 없이 건강하게 지내는 하루하루가 얼마나 소중한지 느끼게 되는 요즘입니다. 집에서 무료하게 보내는 시간에 뭘 해야 좋을지 모르겠다는 사람도 많네요. 어렸을 때 피아노를 조금 .. 김주영 피아니스트
[신문은 선생님]
[무대 위 인문학] 말의 '빠른 걸음'이라는 뜻… 90년간 이어온 끈질긴 생명력 2020.03.20 (금)
요즘 대중가요 무대의 대세는 단연 '트로트'입니다. 지난 12일 방송된 TV조선의 남성 트로트 가수 오디션 프로그램 '내일은 미스터트롯'의 결승전 시청률은 35.7%로 종합편성채널 사상 최고 기록을 세웠습니다. 작년.. 임진모 음악 평론가
[신문은 선생님]
[재밌다, 이 책!] 태어난 곳이 다른 동물은 저리가! 차별과 편견에 갇힌 어른 펭귄들 2020.03.20 (금)
밀어내라이상옥 글|조원희 그림|한솔수북|52쪽|1만4000원오랫동안 우리 아이들에게 최고 인기 캐릭터는 뽀로로였지요. 그런데 요즘은 펭수가 그 자리를 위협한다네요. 펭귄의 인기는 정말 끝이 없나 봅니다. 똥똥한 체구.. 김성신 출판 평론가
[신문은 선생님]
[동물이야기] 우리나라에선 '맥'으로 불려… 조선 후기 민화에도 등장하죠 2020.03.20 (금)
지난달 중남미 니카라과의 한 동물원에서 멸종 위기에 처한 테이퍼 새끼가 태어나 주목을 받았어요. 새끼의 성별은 암컷으로, 밸런타인데이(2월 14일)가 있는 2월에 태어나서 이름을 '밸런티나'로 지었다고 해요. 니카라.. 김창회 박사·전 국립생태원 생태조사연구실
351 352 353 354 355 356 357 358 359 3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