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기사
-
-
-
- [신문은 선생님]
-
[재미있는 과학] '로봇 승려'도 과연 해탈에 이를 수 있을까요
2021.07.06 (화)
-
몇 년 전부터 '인공지능'은 정말 흔하게 들을 수 있는 단어가 됐어요. 소리만 들려주던 스피커는 사람 말을 알아듣고 대답하는 '인공지능 스피커'로 발전했고, 사람이 끌고 다니던 청소기는 스스로 장애물을 피해 다니며 ..
고호관 과학칼럼니스트
-
-
-
- [신문은 선생님]
-
[재밌다, 이 책!] 일본에 빼앗겼던 경천사지 십층석탑, 베델 등 언론인 노력으로 돌려받았죠
2021.07.05 (월)
-
문화재를 지킨 사람들안민영 지음 l 허지영 그림출판사 책과함께어린이 l 가격 1만3000원박물관에 가면 이전에 쓰던 가구 등 생활용품, 그림·조각 같은 예술품을 통해 조상들의 삶을 알 수 있어요. 이렇게 박물관에 가..
박사 북칼럼니스트
-
-
-
- [신문은 선생님]
-
[식물이야기] 장마철에 꽃 피우는 '골든 레인 트리'… 열매로 염주도 만들어요
2021.07.05 (월)
-
3일 제주도를 시작으로 본격적인 장마가 시작됐어요. 어르신들은 종종 "무릎이 쑤시는데 내일은 비가 오려나?" 같은 말을 하시곤 합니다. 높은 습도와 낮은 기압이 관절 내 압력을 높여 통증이 생기기 때문에 비가 오는 ..
글·사진=최수진 국립백두대간수목원 전시문화사업팀장
-
-
-
- [신문은 선생님]
-
[클래식 따라잡기] 더 빨리, 더 크게, 더 부드럽게… 악기들의 '연주 올림픽'
2021.07.05 (월)
-
오는 23일 1년간 미뤄졌던 도쿄올림픽이 시작돼요. 코로나가 수그러들지 않아 염려도 되지만, 아무쪼록 세계인들의 축제가 무사히 치러지길 바라며 대한민국 국가대표 선수들의 멋진 활약도 기대합니다. 음악 작품 중에서도 ..
김주영 피아니스트
-
-
-
- [신문은 선생님]
-
[알립니다] '신문은 선생님' 단행본 출간
2021.07.05 (월)
-
세상을 보는 눈을 한 뼘 넓혀주는 조선일보 '신문은 선생님' 지면이 단행본으로 나왔습니다. 한국사·과학·IT 등 다양한 주제를 책으로 엮었습니다. 하루 10분 투자로 상식을 넓히고 세상을 읽을 수 있습니다. 기사 외..
-
-
-
- [신문은 선생님]
-
[수학 산책] 도로에 깔린 전선, 레이저, 전파로 속도 위반 잡아내요
2021.07.01 (목)
-
지난 4월 도심지 내 차량 속도를 시속 50㎞ 이하로 제한하는 '안전속도 5030' 정책이 전국적으로 시행됐어요. 많은 운전자가 규정 속도를 지키려 노력하지만, 과속 카메라가 보이면 갑자기 속도를 줄이는 '꼼수 운전..
장경아 수학 칼럼니스트
-
-
-
- [신문은 선생님]
-
[재밌다, 이 책!] 아바도가 아빠에게 배운 '음악의 비결'… "다른 연주자 음악도 잘 들어야 한다"
2021.07.01 (목)
-
음악의 집클라우디오 아바도 지음 l 이기철 옮김 l 파올로 카르도니 그림출판사 풍월당 l 가격 1만6000원클라우디오 아바도(1933~2014)는 세계적으로 유명한 음악가입니다. 어린 시절 아바도는 우연히 반쯤 열린..
김성신 출판평론가
-
-
-
- [신문은 선생님]
-
[뉴스 속의 한국사] 한양으로 정한 게 무학대사라고?… 이성계가 했어요
2021.07.01 (목)
-
최근 경기도 양주 회암사지(회암사가 있던 절터)에 있는 사리탑이 보물로 지정됐다는 뉴스가 나왔어요. 회암사는 조선을 세운 태조 이성계가 왕위에서 물러난 뒤 머물렀던 절로 유명한 곳이에요. 태조와 절친했던 승려 무학대..
유석재 기자
-
-
-
- [신문은 선생님]
-
[예쁜 말 바른 말] [199] '껍질'과 '껍데기'
2021.06.30 (수)
-
"조개껍질 묶어 그녀의 목에 걸고~"라는 노랫말을 가진 노래가 있어요. 또 '산에서 내려온 조개껍데기'라는 제목의 책도 있어요.조개 껍데기와 조개 껍질, 어느 것이 맞을까요? 많은 사람이 이 둘을 혼용할 때가 많아요..
류덕엽 교육학 박사 서울 양진초 교장
-
-
-
- [신문은 선생님]
-
[동물 이야기] 암컷 분비물에서 풍기는 고약한 냄새… 천적 막는 생존 전략이에요
2021.06.30 (수)
-
대구 계명대학교는 얼마 전 '후투티'<사진>를 학교의 공식 상징새로 정했어요. 최근 몇 년 새 캠퍼스에 자주 나타나 학생들과 친숙하고, 예로부터 지혜와 행운을 가져다주는 새로 여겨졌기 때문이래요. 머리의 ..
정지섭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