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신문은 선생님]
[예쁜 말 바른 말] [221] '매기다'와 '메기다'
2021.12.08 (수)
*토론회에서 중소기업의 사회 공헌도 점수를 메겨 상속·증여세 산정에 반영하자는 제안이 나왔다.위 문장에서 틀린 말을 찾아보세요. '메겨'를 '매겨'로 고쳐 써야 해요. '매기다'와 '메기다'는 모양과 발음이 비슷해서..
류덕엽 교육학 박사·서울 양진초 교장
[신문은 선생님]
[동물 이야기] 수염으로 맛 느끼는 바다 메기류… 몸 표면에 독 성분 있어요
2021.12.08 (수)
미국의 한 해양보호단체가 얼마 전 소셜미디어에 올린 물고기 동영상이 화제입니다. 100마리가 넘는 물고기들이 착 달라붙어 앞서거니 뒤서거니 하면서 바닷속을 아름답게 헤엄치는 모습이었죠. 검은 바탕에 흰 줄무늬가 있는..
정지섭 기자
[신문은 선생님]
[숨어있는 세계사] 이집트에선 숭배 대상… 그리스에선 잔인한 괴물이죠
2021.12.08 (수)
지난달 25일(현지 시각) 이집트 남부 나일강변의 룩소르에서 '스핑크스의 길'을 공개하는 이벤트가 열렸어요. 룩소르는 고대 이집트 왕국의 수도 중 하나예요. 여기엔 기원전 1000년쯤 완성된 세계 최대 규모 신전 '..
정효진 양영디지털고 역사 교사
[신문은 선생님]
[사소한 역사] 고대 이집트에서 미라 만들 때 방부제 재료로 썼대요
2021.12.07 (화)
최근 폐기물 처리 업자들이 헌 아스팔트를 불법으로 되팔아 부당한 이익을 챙긴 사례가 보도됐어요. 지방자치단체에서 폐기물 처리 비용을 받아놓고서는 아스팔트를 처리하지 않고 주차장 업자 등에게 되판 거죠. 업자들은 새 ..
김현철 서울 영동고 역사교사
[신문은 선생님]
[디자인·건축 이야기] 2만3000점 갖춘 한국 최초 공예박물관… 공예품 만들어지는 과정도 알 수 있죠
2021.12.07 (화)
지난달 30일 우리나라 최초 공예 전문 공립 박물관인 '서울공예박물관'이 정식으로 개관했어요. 지난 7월 문을 열었지만 코로나로 정식 개관은 미룬 채 예약제로 임시 운영해왔어요. 사전 관람 4개월간 평균 예약률이 9..
전종현 디자인 건축 저널리스트
[신문은 선생님]
[재미있는 과학] 단맛은 영양소 찾으려, 쓴맛은 毒 피하려 느끼게 됐죠
2021.12.07 (화)
코로나 확진자가 다시 크게 늘어나 걱정하는 사람이 많아요. 코로나에 확진됐던 사람들은 지금도 다양한 부작용에 시달리고 있는데, 그중 상당수가 후각과 미각 상실 증상이 있습니다. 맛을 느끼지 못해 우울증에 시달리는 사..
고호관 과학칼럼니스트
[신문은 선생님]
[재밌다, 이 책!] 뛰어난 프로 선수들은 어땠을까요, 자기 마음을 잘 돌보는 게 중요하대요
2021.12.06 (월)
나는 나를 돌봅니다박진영 지음 l 출판사 우리학교 l 가격 1만2000원어떨 때는 내가 싫어집니다. 몸무게가 늘고, 결단력이 없고, 할 일을 미루는 나에게 실망하는 거지요. 그럴 때마다 "이 바보야. 언제쯤 제대로 ..
서현숙 '소년을 읽다' 저자
[신문은 선생님]
[식물이야기] '크리스마스트리'로 가장 많이 쓰이는 한국산 나무… 20m까지 자라요
2021.12.06 (월)
12월이 되자 여기저기에 환하게 불을 밝힌 크리스마스트리가 보여요. 가정에 크리스마스트리를 만드는 문화는 16세기 독일에서 시작한 것으로 알려져 있어요. 일설에는 크리스마스트리에 처음 촛불을 밝힌 것이 독일의 종교 ..
최새미 식물칼럼니스트
[신문은 선생님]
[클래식 따라잡기] '그림 형제' 동화가 원작… 크리스마스에 자주 공연
2021.12.06 (월)
훌륭한 공연들은 언제 보고 들어도 좋지만 한 해를 마무리하는 12월에 접하면 감동이 훨씬 커지는 작품들이 있어요. 이맘때 어른과 아이가 다 함께 즐길 수 있는 오페라로 많이 공연되는 작품이 바로 올해 서거 100주년..
김주영 피아니스트
[신문은 선생님]
[수학 산책] 코로나 변이 '오미크론'은 그리스 알파벳 15번째 글자… 다음 변이는 '파이'예요
2021.12.02 (목)
새로운 코로나 변이 바이러스 '오미크론'이 전 세계로 확산하고 있어요. 우리나라에도 1일 오미크론 확진자가 발생했어요.세계보건기구(WHO)는 코로나 변이 바이러스가 나타날 때마다 고대 그리스 알파벳 순서대로 이름을 ..
이광연 한서대 수학과 교수
241
242
243
244
245
246
247
248
249
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