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은선생님

전체기사

[신문은 선생님]
[뉴스 속의 한국사] 풍랑 만나 도착한 필리핀… 10개월 만에 언어 습득했죠 2021.07.22 (목)
'2021 신안국제문페스타'가 오는 10월 23~24일 전남 신안군에서 열린다고 해요. 조선 시대 국제 여행자라는 홍어 장수 문순득(1777~1847)을 주제로 한 축제예요. 당시 이웃 나라인 중국이나 일본을 여행한.. 유석재 기자
[신문은 선생님]
[예쁜 말 바른 말] [202] '날아가다'와 '날라 가다' 2021.07.21 (수)
'북한이 미사일 2발을 발사했으나 몇 분 날라가다 실패했다고 군 관계자가 소식을 전했다.'최근 이런 보도를 봤어요. 또 어떤 배우가 TV에 나와 "최근에 운동을 했더니 스트레스가 다 날라가는 것 같더라"고 말하는 것.. 류덕엽 교육학박사· 서울양진초 교장
[신문은 선생님]
[동물 이야기] 한 마리가 '맹' 하면 다른 애가 '꽁'하는 맹꽁이… 금개구리는 '쪽쪽' 울어요 2021.07.21 (수)
요즘 인천에 있는 한 신도시 개발 예정 지역에서는 개구리 친구들 이사 준비가 한창이에요. 이곳 생태 환경을 조사했더니 금개구리와 맹꽁이 성체와 올챙이가 많이 발견된 거예요. 둘 다 환경부가 지정한 멸종 위기 야생 생.. 정지섭 기자
[신문은 선생님]
[숨어 있는 세계사] 진시황이 쌓은 건 사라지고 명나라때 성벽만 남았어요 2021.07.21 (수)
지난 1일 중국 공산당 창당 100주년 경축 대회에서 시진핑 중국 공산당 주석이 톈안먼(天安門) 광장에서 연설을 했어요. 시 주석은 연설 중 "외부 세력이 우리를 괴롭히거나 압박하면 14억 중국 인민들의 피와 살로 .. 윤서원 단대부고 역사 교사
[신문은 선생님]
[사소한 역사] 우리나라에서 에어컨 처음 설치한 곳은 석굴암이래요 2021.07.20 (화)
이번 주 본격적인 폭염이 시작된다는 뉴스가 전해졌어요. 에어컨 같은 냉방 기구가 없던 시절에는 어떻게 여름을 넘겼을까요. 이제는 냉방 기구가 보편화됐지만 인류가 온도를 낮추는 기술을 발명한 것은 그리 오래되지 않았다.. 김현철 서울 영동고 역사 교사
[신문은 선생님]
[고전이야기] '유럽 흡혈귀 전설'서 시작된 공포소설… 영화·연극 등 600편으로 재탄생했어요 2021.07.20 (화)
상자 안에서 내 영혼을 온통 공포로 짓누르는 섬뜩한 광경을 보았다. 그 안에는 백작이 누워 있었는데, 그 모습이 놀랍게도 그의 젊음을 반쯤은 되찾은 듯한 형상이었다. (중략) 입술은 전보다 더 빨개졌는데, 신선한 핏.. 장동석 출판도시문화재단 본부장
[신문은 선생님]
[재미있는 과학] 1억7000만년 전 등장… 매년 72만명 죽게 해요 2021.07.20 (화)
무더운 여름철, 어김없이 모기가 극성입니다. 모기는 6월부터 9월 사이 개체 수가 많아지는데, 더위에 지친 사람들의 밤잠까지 설치게 하는 불청객이죠. 모기 때문에 괴로운 건 조상들도 마찬가지였어요. 조선시대 다산 정.. 김형자 과학칼럼니스트
[신문은 선생님]
[무대 위 인문학] 건달·목사·영감… 혼자 32역하는 1인극도 있어요 2021.07.19 (월)
지금 서울 종로구 대학로에서 '모노드라마 페스티벌'이 열리고 있어요. 28일까지 총 네 편의 연극 작품이 무대에 오르는데, 모두 단 한 명의 배우가 처음부터 끝까지 혼자 무대를 지키는 연극이에요. 이런 연극을 1인극.. 최여정 '이럴 때 연극' 저자
[신문은 선생님]
[재밌다, 이 책!] '외로운 늑대' 라고요? 무리지어 가족과 함께 살아요 2021.07.19 (월)
늑대스므리티 프라사담홀스 글·조너선 우드워드 그림 l 이종원 옮김출판사 행복한그림책 l 가격 1만8000원늑대를 잘 알고 있다고 생각하는 분들이 많지요? 어렸을 때부터 들었던 동화에 자주 등장하거든요. 늑대는 빨간 .. 박사 북칼럼니스트
[신문은 선생님]
[식물 이야기] 뿌리에서 풍기는 비릿한 냄새… 산토끼·멧돼지 못 파먹게 하려는 생존전략 2021.07.19 (월)
본격적인 무더위가 시작됐어요. 아스팔트 도로와 빌딩이 즐비한 도시에 있다가 나무가 우거진 숲속에 들어가면 훨씬 시원함을 느낄 수 있어요. 요즘 숲속에는 기다란 분홍색 솜사탕 같은 '노루오줌'<사진> 꽃이 .. 글·사진=최수진 국립백두대간수목원 전시문화사업팀장
241 242 243 244 245 246 247 248 249 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