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재미있는 과학
-
-
-
- [신문은 선생님]
-
[재미있는 과학] 줄기세포 배양해 만든 '미니 장기', 동물실험 대신해요
2025.05.20 (화)
-
지난 16일 국제 과학 학술지 사이언스(Science)에 한국인 과학자들의 연구 성과가 실렸어요. 기초과학연구원(IBS)의 최영기 한국바이러스기초연구소 소장과 구본경 유전체 교정연구단 단장이 진행한 연구였는데, 한국..
이종현 조선비즈 기자
-
-
-
- [신문은 선생님]
-
[재미있는 과학] 종이접기 하듯 DNA 접어… 암세포 발견하는 장치 만든대요
2025.05.13 (화)
-
종이 한 장을 접어 학이나 꽃, 개구리 같은 모양을 만드는 종이접기 놀이를 해 본 경험이 있을 거예요. 그런데 이 단순한 놀이 방식이 최첨단 과학 연구에도 활용된다는 사실, 알고 있었나요?최근 과학자들은 종이 대신 ..
이윤선 과학 칼럼니스트
-
-
-
- [신문은 선생님]
-
[재미있는 과학] AI 사용으로 전력량 폭증… 우주에도 데이터센터 짓는대요
2025.05.06 (화)
-
최근 인공지능(AI) 사용이 폭발적으로 늘어나면서, 데이터를 저장하고 처리하는 데이터센터의 전력 소비량도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세계 곳곳의 데이터센터는 전기를 안정적으로 공급받는 문제와 탄소 배출을 줄이..
김형자 과학칼럼니스트
-
-
-
- [신문은 선생님]
-
[재미있는 과학] 뇌 센서로 생각 읽어… 전신 마비 환자도 말할 수 있어요
2025.04.29 (화)
-
작년 국제 학술지에 전 세계 과학자들을 깜짝 놀라게 한 연구 결과가 공개됐어요. 미국 캘리포니아대 데이비스 캠퍼스 연구진이 루게릭병에 걸려 말하는 능력을 잃어가던 환자의 목소리를 되살린 거예요. 뇌에 이식한 센서(전..
이종현 조선비즈 기자
-
-
-
- [신문은 선생님]
-
[재미있는 과학] 전파에 담아 우주로 보낸 K팝, 외계인이 들을 수 있을까요
2025.04.22 (화)
-
지난 9일 오후 8시 대전 카이스트에 있는 우주연구원에선 특별한 프로젝트가 진행됐습니다. 바로 가수 지드래곤의 신곡 '홈스윗홈'을 우주로 송출한 것이었죠. 커다란 접시처럼 생긴 안테나로 전파를 발사해, 지드래곤의 목..
이윤선 과학 칼럼니스트
-
-
-
- [신문은 선생님]
-
[재미있는 과학] 우주에서 장을 담글 수 있을까… '우주 발효 음식' 만든대요
2025.04.15 (화)
-
최근 세계적으로 다양한 우주탐사 프로젝트가 진행되면서, '우주 식량'에 대한 관심도 늘어나고 있어요. 우주에서 장기간 임무를 수행하고, 우주에 새로운 거주지를 건설하려면 무엇보다 음식이 중요하거든요.얼마 전 국제 공..
김형자 과학칼럼니스트
-
-
-
- [신문은 선생님]
-
[재미있는 과학] 핵융합 발전, 욕조 채울 바닷물로 80년 쓸 전력 얻는대요
2025.04.08 (화)
-
영화 '아이언맨'을 기억하시나요? 주인공 토니 스타크는 가슴에 소형 원자로를 장착하고 있지요. 사실 이 원자로는 우리에게 익숙한 거대한 원자력 발전소와 근본적으로 다릅니다. 바로 '핵융합' 발전 방식에 기반한 것이지..
이종현 조선비즈 기자
-
-
-
- [신문은 선생님]
-
[재미있는 과학] 4000년 전 멸종한 매머드… 복원 위해 '털북숭이 쥐' 만들었죠
2025.04.01 (화)
-
최근 약 4000년 전 멸종한 '매머드'의 털을 가진 쥐가 나타나 세계의 이목을 집중시켰어요. 이 쥐는 우리가 알고 있는 평범한 쥐와는 다른 모습이었습니다. 북슬북슬한 황토색 털이 온몸을 뒤덮고 있었고, 그 길이는 ..
이윤선 과학 칼럼니스트
-
-
-
- [신문은 선생님]
-
[재미있는 과학] 기존 '레시피' 따라 만드는 복제 약, 약효 같은데 훨씬 저렴하죠
2025.03.25 (화)
-
최근 '복제 약'이 세계 제약업계의 뜨거운 감자로 떠올랐어요. 글로벌 제약사들이 만든 주요 의약품들의 특허가 2~3년 뒤부터 대거 만료될 예정이라, 여러 제약사가 이 약을 따라 만들려고 하고 있거든요. 요리로 비유하..
김형자 과학칼럼니스트
-
-
-
- [신문은 선생님]
-
[재미있는 과학] 초음속 여객기의 귀환… '소닉붐' 줄여 조용히 비행해요
2025.03.18 (화)
-
인천공항에서 미국 뉴욕까지 거리는 1만1000㎞ 정도예요. 시속 900㎞로 비행하는 비행기를 타면 보통 14시간 정도 걸려요. 아무리 매력적인 여행지라도 좁은 좌석에 앉아 10시간 넘게 비행해야 한다면 선뜻 떠나기가..
이종현 조선비즈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