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재미있는 과학
-
-
-
- [신문은 선생님]
-
[재미있는 과학] AI 사용으로 전력량 폭증… 우주에도 데이터센터 짓는대요
2025.05.06 (화)
-
최근 인공지능(AI) 사용이 폭발적으로 늘어나면서, 데이터를 저장하고 처리하는 데이터센터의 전력 소비량도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세계 곳곳의 데이터센터는 전기를 안정적으로 공급받는 문제와 탄소 배출을 줄이..
김형자 과학칼럼니스트
-
-
-
- [신문은 선생님]
-
[재미있는 과학] 뇌 센서로 생각 읽어… 전신 마비 환자도 말할 수 있어요
2025.04.29 (화)
-
작년 국제 학술지에 전 세계 과학자들을 깜짝 놀라게 한 연구 결과가 공개됐어요. 미국 캘리포니아대 데이비스 캠퍼스 연구진이 루게릭병에 걸려 말하는 능력을 잃어가던 환자의 목소리를 되살린 거예요. 뇌에 이식한 센서(전..
이종현 조선비즈 기자
-
-
-
- [신문은 선생님]
-
[재미있는 과학] 전파에 담아 우주로 보낸 K팝, 외계인이 들을 수 있을까요
2025.04.22 (화)
-
지난 9일 오후 8시 대전 카이스트에 있는 우주연구원에선 특별한 프로젝트가 진행됐습니다. 바로 가수 지드래곤의 신곡 '홈스윗홈'을 우주로 송출한 것이었죠. 커다란 접시처럼 생긴 안테나로 전파를 발사해, 지드래곤의 목..
이윤선 과학 칼럼니스트
-
-
-
- [신문은 선생님]
-
[재미있는 과학] 우주에서 장을 담글 수 있을까… '우주 발효 음식' 만든대요
2025.04.15 (화)
-
최근 세계적으로 다양한 우주탐사 프로젝트가 진행되면서, '우주 식량'에 대한 관심도 늘어나고 있어요. 우주에서 장기간 임무를 수행하고, 우주에 새로운 거주지를 건설하려면 무엇보다 음식이 중요하거든요.얼마 전 국제 공..
김형자 과학칼럼니스트
-
-
-
- [신문은 선생님]
-
[재미있는 과학] 핵융합 발전, 욕조 채울 바닷물로 80년 쓸 전력 얻는대요
2025.04.08 (화)
-
영화 '아이언맨'을 기억하시나요? 주인공 토니 스타크는 가슴에 소형 원자로를 장착하고 있지요. 사실 이 원자로는 우리에게 익숙한 거대한 원자력 발전소와 근본적으로 다릅니다. 바로 '핵융합' 발전 방식에 기반한 것이지..
이종현 조선비즈 기자
-
-
-
- [신문은 선생님]
-
[재미있는 과학] 4000년 전 멸종한 매머드… 복원 위해 '털북숭이 쥐' 만들었죠
2025.04.01 (화)
-
최근 약 4000년 전 멸종한 '매머드'의 털을 가진 쥐가 나타나 세계의 이목을 집중시켰어요. 이 쥐는 우리가 알고 있는 평범한 쥐와는 다른 모습이었습니다. 북슬북슬한 황토색 털이 온몸을 뒤덮고 있었고, 그 길이는 ..
이윤선 과학 칼럼니스트
-
-
-
- [신문은 선생님]
-
[재미있는 과학] 기존 '레시피' 따라 만드는 복제 약, 약효 같은데 훨씬 저렴하죠
2025.03.25 (화)
-
최근 '복제 약'이 세계 제약업계의 뜨거운 감자로 떠올랐어요. 글로벌 제약사들이 만든 주요 의약품들의 특허가 2~3년 뒤부터 대거 만료될 예정이라, 여러 제약사가 이 약을 따라 만들려고 하고 있거든요. 요리로 비유하..
김형자 과학칼럼니스트
-
-
-
- [신문은 선생님]
-
[재미있는 과학] 초음속 여객기의 귀환… '소닉붐' 줄여 조용히 비행해요
2025.03.18 (화)
-
인천공항에서 미국 뉴욕까지 거리는 1만1000㎞ 정도예요. 시속 900㎞로 비행하는 비행기를 타면 보통 14시간 정도 걸려요. 아무리 매력적인 여행지라도 좁은 좌석에 앉아 10시간 넘게 비행해야 한다면 선뜻 떠나기가..
이종현 조선비즈 기자
-
-
-
- [신문은 선생님]
-
[재미있는 과학] '역사상 가장 위험한 소행성', 우주 망원경으로 감시하죠
2025.03.11 (화)
-
작년 12월, 남아메리카 칠레에 있는 천체 망원경에 소행성 하나가 포착돼 전 세계적으로 화제였어요. 미 항공우주국(NASA) 등이 이 소행성이 2032년 지구에 충돌할 확률이 1.3%라고 발표했기 때문이죠. 유엔 자..
이윤선 과학 칼럼니스트
-
-
-
- [신문은 선생님]
-
[재미있는 과학] 태양열로 바닷물 가열해 식수 얻을 수 있대요
2025.02.25 (화)
-
최근 기후변화로 홍수나 가뭄, 대규모 산불 등의 극한 기상이 자주 나타나며 식수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물 관리 기술이 중요해지고 있어요. 지구 표면은 70% 이상이 물로 덮여 있어요. 이 중 바닷물이 지구에 있는..
김형자 과학칼럼니스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