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문은 선생님
-
-
-
- [개념쏙쏙! 수학]
-
자동차 번호판, 어떻게 정해질까?
2013.10.23 (수)
-
저녁 식사를 마친 가족들이 둘러앉아 TV를 보고 있어요. "피해자는 범인이 도주하는 순간, 번호판 끝의 두 자리와 자동차 색깔을 외웠습니다. 경찰은 이를 바탕으로 끈질긴 수사를 벌인 끝에 범인을 붙잡았습니다…."뉴스..
이충국
-
-
-
- [재미있는 과학]
-
공룡만큼 큰 로봇, 만들 수 있을까?
2013.10.22 (화)
-
"우와. 저 로봇의 크기 좀 봐. 정말 어마어마하다."올해 개봉된 공상과학영화 중에선 거대 로봇이 주인공으로 나온 영화가 세계적으로 큰 인기를 끌었어요. 외계 생명체의 공격을 지구인들이 로봇을 이용해 막아낸다는 내용..
조영선
-
-
-
- [상식쑥쑥 역사]
-
우리나라 최초의 자동 물시계는 자격루예요
2013.10.22 (화)
-
1920년 체코 작가 카렐 차페크는 자기가 쓴 희곡에 등장하는 인조인간을 '로봇(robot)'이라고 불렀어요. '강제로 일하다'라는 뜻이 담긴 체코어를 변형해 만든 말이에요. 이때부터 사람과 비슷한 모습과 기능을 지..
지호진
-
-
-
- [고전을 읽읍시다]
-
"선한 의지는 행복을 누리기 위한 필수 조건이다"
2013.10.21 (월)
-
※다음은 칸트의 '도덕 형이상학을 위한 기초 놓기' 원문 중 일부를 어린이들이 읽기 쉽도록 풀어쓴 글입니다. 본문을 읽고 아래 질문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을 말해보세요.세상에서 무한히 선(善)하다고 여겨질 수 있는 것..
김남준
-
-
-
- [고전은 내친구]
-
결과가 좋으면 도덕적인 걸까?
2013.10.21 (월)
-
우리는 하루를 살면서 알게 모르게 몇 차례씩 도덕적 판단을 합니다. 간단한 예를 들자면 신호등을 건널 때 빨간색인데 건널까 말까 결정해야 하는 판단 말입니다. 만약 지금 당장 건너지 않으면 지각을 하게 되는 상황이라..
안진훈
-
-
-
- [숨어있는 세계사]
-
ABCD… 알파벳은 누가 만들었을까?
2013.10.18 (금)
-
"끼토산~ 야끼토~ 를디어~ 냐느가~"학교를 마치고 돌아오면서 친구들과 '산토끼' 노래 가사를 거꾸로 불렀어요. 할수록 재미있어서 집에 와서도 계속 불렀답니다."총깡 총깡 서면뛰 를디어 냐느가~"그러자 누나가 귀를 ..
강응천
-
-
-
- [그림으로 보는 자연]
-
아삭아삭 단감 말랑말랑 홍시… 달짝지근 감꽃
2013.10.17 (목)
-
우리나라에선 흔한 과일인데, 서양에서 보기 어려운 귀한 과일은 무얼까? 요즘 한창 제철인 감이야. 감은 우리나라, 중국, 일본에서 주로 나거든. 단단해서 아삭아삭 씹어 먹는 맛이 좋은 달짝지근한 단감, 말랑말랑 보드..
박윤선
-
-
-
- [생각이 자라는 어린이]
-
우리의 작은 배려가 환한 세상 만들어요
2013.10.17 (목)
-
새파란 하늘과 알록달록 단풍잎이 어우러져 멋진 풍경을 뽐내고 있어요. 이렇게 눈이 시리도록 아름다운 가을을 눈으로 보고 즐길 수 있는 것. 여러분은 당연하게 여기고 있죠? 그런데 우리 주변에는 눈이 아닌 다른 감각들..
방민희
-
-
-
- [뉴스 속의 역사]
-
경복궁 건축 현장 끌려온 백성들, 아리랑으로 슬픔 달랬대요
2013.10.17 (목)
-
지난 11~13일, 서울의 한복판 광화문 광장과 서울광장에 아리랑 가락이 울려 퍼졌어요. 아리랑이 작년에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으로 등재된 것을 기념하는 '서울 아리랑 페스티벌'이 펼쳐진 것이에요. 마지막 날에는 약 ..
지호진
-
-
-
- [이명옥의 명작 따라잡기]
-
그림 속 성모 마리아 왜 맨발일까?
2013.10.17 (목)
-
영국의 극작가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희곡 '트로일로스와 크레시다'에는 이런 구절이 나와요. "아, 그녀의 발이 말을 합니다." 발이 어떻게 말을 하는지 궁금하죠? 오늘은 발이 전하는 말을 눈으로 보게 해주는 예술 작품..
이명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