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을 읽읍시다
"생명이 태어나 서로 의지하며 사는 것… 얼마나 경이로운가"
입력 : 2013.12.23 05:31
| 수정 : 2013.12.24 09:15
※다음은 찰스 다윈의 '종의 기원' 원문 중 일부를 어린이들이 읽기 쉽도록 풀어 쓴 글입니다. 본문을 읽고 여러분의 생각을 말해보세요.
다윈의 아버지는 아들이 자기처럼 의사가 되기를 바랐습니다. 하지만 다윈은 의학 공부에 흥미를 느끼지 못했죠. 그러자 아버지는 다윈에게 목사가 되기를 권했습니다. 다윈은 동식물 채집을 더 즐겼고, 1831년 영국 해군의 배(비글호)를 타고 세계 각지를 탐험하며 생물을 관찰했습니다. 이 경험은 그가 진화론을 구상하는 데 결정적 계기가 되었지요.
다윈의 아버지는 아들이 자기처럼 의사가 되기를 바랐습니다. 하지만 다윈은 의학 공부에 흥미를 느끼지 못했죠. 그러자 아버지는 다윈에게 목사가 되기를 권했습니다. 다윈은 동식물 채집을 더 즐겼고, 1831년 영국 해군의 배(비글호)를 타고 세계 각지를 탐험하며 생물을 관찰했습니다. 이 경험은 그가 진화론을 구상하는 데 결정적 계기가 되었지요.
-
- ▲ 진화론으로 대표되는 찰스 다윈의 사상은 과학은 물론이고 정치·경제·사회에 두루 영향을 끼쳤지요. /위키피디아
'종의 기원' 중에서 제4장 '자연선택 또는 적자생존'의 일부 내용입니다. 다윈은 사육 재배를 예로 들며, 인간은 동식물의 모양·크기·성질 등 고유한 특징을 고려해 그에 맞는 적절한 방법으로 기르는 경우가 거의 없다고 말합니다. 부리가 긴 비둘기나 짧은 비둘기 모두 같은 먹이로 사육하고, 털이 긴 양이나 짧은 양 모두 같은 기후에서 키우고 개별적 방법으로 훈련하는 일도 없다는 것이지요. 또 동물이 허약하다고 냉혹하게 씨를 말리는 일도 없고, 힘이 닿는 데까지 자기 소유의 동물을 보호한다고 보았습니다. 여러분은 다윈의 이런 생각에 동의하나요? 다윈의 주장을 오늘날에 비춰 생각해보고, 여러분의 의견을 말해보세요.
-
- ▲ '종의 기원'이 처음 출간될 때 제목은 '자연 선택에 의한 종의 기원에 대하여'였지요. /위키피디아
'종의 기원'의 결론 중 맺음말 부분입니다. 다윈은 갖가지 생물을 관찰하며 법칙을 탐구하는 것이 즐거운 일이라고 말합니다. 또 진화하는 생명체를 보면서 장엄함을 느낀다고 합니다. 여러분은 어떤 눈으로 자연을 바라보며, 생명의 신비에 대해서는 어떤 생각을 가지고 있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