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신문은 선생님]
[그림 돋보기] 새해 건강 기원… 임금이 신하에게 호랑이 그림 나눠줬죠
2022.01.03 (월)
예로부터 우리 조상들은 한 해를 상징하는 동물을 정했어요. 쥐·소·호랑이·토끼·용·뱀·말·양·원숭이·닭·개·돼지 등 12가지 동물이지요. 이 동물들의 해가 12년에 한 번씩 돌아오는데, 올해는 2010년 이후 12년..
이주은 건국대 문화컨텐츠학과 교수
[신문은 선생님]
[수학 산책] 꼭꼭 씹어 먹으면 왜 소화 잘될까… 소화액 닿는 면적 늘어나기 때문이죠
2021.12.30 (목)
조너선 스위프트의 소설 '걸리버 여행기'는 다들 한번쯤 읽어봤을 거예요. 주인공 걸리버가 소인국과 거인국 등을 여행하며 겪은 모험 이야기예요. 그런데 이 책의 소인국 편에서는 재미있는 수학 이야기가 나와요.걸리버는 ..
이광연 한서대 수학과 교수
[신문은 선생님]
[재밌다, 이 책!] 솜사탕향 계수나무·만개한 벚나무… 나무는 저마다의 모습으로 아름답지요
2021.12.30 (목)
김선남 지음 l 출판사 그림책공작소 l 가격 1만6000원나무는 늘 한자리에 가만히 서 있어요. 하지만 매 계절 푸른 잎사귀를 틔우고, 꽃을 피우고, 열매를 맺죠. 잎을 떨어내 앙상한 모습을 보이기도 하고요. 늘 변..
김성신 출판평론가
[신문은 선생님]
[뉴스 속의 한국사] 1만㎞ 건너온 서역의 흔적들… 신라와 이슬람의 만남
2021.12.30 (목)
국립경주박물관은 '고대 한국의 외래계 문물' 특별전을 지난달 24일부터 열고 있어요. 선사시대부터 통일신라시대까지 고대 한반도와 다른 나라가 교류하며 남긴 유물 253점을 볼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와 가까운 중국이나..
이병호 공주교대 사회과교육과 교수
[신문은 선생님]
[예쁜 말 바른 말] [224] '양수겸장'과 '동고동락'
2021.12.29 (수)
*최근 동해시가 무릉 복합 체험 관광 단지를 선보이면서 바다와 계곡 양수겸장형 액티비티 관광 메카로 떠오르고 있다.*최근 인기리에 방영되고 있는 드라마 제작진이 "다 함께 동고동락했던 작품이 시청자 여러분의 많은 사..
류덕엽 교육학 박사·서울 양진초 교장
[신문은 선생님]
[동물 이야기] 동물 사체 먹는 '초원의 청소부'… 가슴의 '붉은 주머니'로 짝 유혹하죠
2021.12.29 (수)
최근 아프리카 케냐 수도 나이로비에서 새로 도로를 놓느라 나무들을 뽑아내는 바람에 대머리황새들이 살 집을 잃어버렸다고 해요.대머리황새<사진>는 이름처럼 황새의 한 종류예요. 이런 이름은 가슴팍과 목덜미, ..
정지섭 기자
[신문은 선생님]
[숨어있는 세계사] 푸틴의 '강한 러시아'… 발트 3국은 나토 가입으로 맞섰죠
2021.12.29 (수)
최근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군사적 긴장이 고조되고 있어요. 러시아는 지난달 군사훈련을 이유로 우크라이나 접경 지역에 10만이 넘는 병력을 배치했어요. 우크라이나의 '나토'(NATO·북대서양조약기구) 가입을 막기 위해..
정효진 양영디지털고 역사 교사
[신문은 선생님]
[사소한 역사] 고대이집트선 빵 반죽에 약 섞어 공 모양으로… 캡슐형은 19세기 등장
2021.12.28 (화)
미국 제약사 화이자가 최근 알약(경구·經口) 형태 코로나 치료제<사진>를 개발했어요. 알약은 가루약이나 물약보다 휴대 또는 보관이 편해요. 부피도 작아서 흔하게 사용되는 약이지요. 알약은 어떤 역사가 있을..
김현철 서울 영동고 역사 교사
[신문은 선생님]
[디자인·건축 이야기] 50년 전 소매치기 날뛰던 극장가… 하루 300만명 오가는 뉴욕 상징 됐죠
2021.12.28 (화)
미국 뉴욕 타임스스퀘어의 '볼드롭(Ball drop)' 행사가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코로나로 대폭 축소된다고 해요. 백신 접종 증명서가 있는 1만5000명만 입장할 수 있고 마스크를 착용해야만 행사에 참여할 수 있다..
전종현 디자인·건축 저널리스트
[신문은 선생님]
[재미있는 과학] 마지막까지 살아남은 그들… 사교성이 비결이래요
2021.12.28 (화)
현생 인류는 약 30만년 전 아프리카 대륙에서 처음 등장했어요. 오랜 세월에 걸쳐 전 세계로 퍼져 나갔고 뛰어난 지능으로 문명을 이룩했죠. 오늘날 세계에는 약 80억명의 사람이 살고 있어요.이들은 모두 생물학적 종(..
고호관·과학칼럼니스트
231
232
233
234
235
236
237
238
239
2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