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은선생님

사소한 역사

[신문은 선생님]
[사소한 역사] 1994년 학력고사 대안으로 '수능' 도입… 첫해엔 여름과 겨울 두 번 쳤죠 2021.11.16 (화)
18일 수능 시험을 앞두고 수험생들과 학부모들이 긴장하고 있습니다. 한국에서 대학 입학시험인 수능은 국가적 대사로 여겨지고 있어요. 수능 영어 듣기 시간엔 비행기조차 이착륙을 멈추지요. 우리나라에서 대입 자격시험과 .. 김현철 서울 영동고 역사 교사
[신문은 선생님]
[사소한 역사] 연비 좋고 정비 편해… 1923년 벤츠가 최초 디젤 트럭 선보였죠 2021.11.09 (화)
최근 디젤 차에 필수적인 '요소수' 품귀 사태가 벌어져 많은 사람이 발을 동동 구르고 있어요. 요소수는 디젤 차에서 나오는 질소산화물을 줄여주는 물질로, 계속 넣어주지 않으면 차량을 운행할 수 없대요. 지금까지 요소.. 김현철 서울 영동고 역사교사
[신문은 선생님]
[사소한 역사] 광복 후 36년간 실시… '0시의 이별' 노래도 통금 위반이라며 금지했죠 2021.11.02 (화)
1일부터 새로운 코로나 방역 정책이 시작됐어요. 작년 8월 30일부터 식당과 카페 등은 밤 9시나 10시에 문을 닫아야 했는데, 이제 그런 시간 제한이 없어졌습니다. '코로나 통금(통행금지)'이 428일 만에 없어진.. 김현철 서울 영동고 역사 교사
[신문은 선생님]
[사소한 역사] 사악한 혼령 쫓는 켈트족 축제서 유래… 동짓날 팥죽 먹는 풍습과 비슷해요 2021.10.26 (화)
오는 31일 '핼러윈 데이(Halloween Day)'를 앞두고 전국 놀이공원이나 쇼핑몰 등이 행사를 펼치고 있어요. 핼러윈은 영미권 국가의 풍습이지만, 이젠 우리나라에서도 즐기는 사람이 많습니다. 핼러윈은 언제 시.. 김현철 서울 영동고 역사 교사
[신문은 선생님]
[사소한 역사] 만리장성 건설 비용 마련하려 도입… 한국에선 1969년 '주택복권' 등장했죠 2021.10.19 (화)
지난해 복권 판매액이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는 뉴스가 나왔어요. 복권을 일상의 작은 즐거움으로 사는 사람도 있지만, 어려운 경제 때문에 복권에서 인생 역전의 유일한 희망을 찾는 사람들도 있지요. 최근 즉석 복권으로 .. 김현철 서울 영동고 교사
[신문은 선생님]
[사소한 역사] 영국 '커틀릿'에서 유래… 日 체격 열세 극복하려 육식 늘리며 도입 2021.10.12 (화)
저민 돼지고기에 튀김옷을 입혀 바삭하게 튀긴 '돈가스'는 어린이와 어른 모두 좋아하는 요리예요. 최근엔 TV 방송에 나온 이후 지나치게 손님이 몰려 서울에서 제주도로 가게를 옮긴 돈가스 식당이 있었는데요, 사람들이 .. 김현철 서울 영동고 역사 교사
[신문은 선생님]
[사소한 역사]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 미국·영국·일본에도 비슷한 놀이 있죠 2021.10.05 (화)
요즘 한국 드라마 '오징어 게임'이 전 세계적으로 인기를 끌고 있어요. 오징어 게임은 456억원의 상금이 걸린 서바이벌 게임에 참가한 사람들 이야기예요. 참가자들은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 '오징어 게임' 등 한국.. 김현철 서울 영동고 역사 교사
[신문은 선생님]
[사소한 역사] '바다 위 길잡이'… 인천상륙작전 때도 결정적 역할 했죠 2021.09.28 (화)
최근 전남 여수의 소리도 등대가 111년 만에 무인(無人) 등대로 바뀐다는 소식이 들려왔어요. 정부는 2019년부터 전국의 유인 등대를 무인 등대로 바꾸는 사업을 진행하고 있어요. 기술 발달로 등대에 관리 인력이 없.. 김현철 서울 영동고 교사
[신문은 선생님]
[사소한 역사] 셰익스피어 희곡에도 등장… 경기에서 지자 전쟁 선포한 나라도 있었어요 2021.09.07 (화)
전 세계 축구 팬들의 시선이 각 지역에서 열리고 있는 '2022 카타르 월드컵' 최종 예선에 쏠리고 있어요. 국제축구연맹(FIFA) 가맹국(211국)이 UN(국제연합) 회원국(193국)보다 많을 정도로, 축구는 많은.. 김현철 영동고 역사 교사
[신문은 선생님]
[사소한 역사] 15세기 인쇄술 보급으로 발달… 우리나라 최초 한글 신문은 '독립신문'이에요 2021.08.17 (화)
여당이 발의한 언론중재법 개정안이 논란이에요. 언론 보도로 인한 피해액의 최대 5배까지 징벌적 배상을 물릴 수 있게 하는 법인데, 세계신문협회도 개정안 철회를 요구했어요. 가짜 뉴스를 방지하는 순기능보다 언론 자유를.. 김현철 서울 영동고 역사교사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