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은선생님

사소한 역사

[신문은 선생님]
[사소한 역사] 3000년 전 중국에서는 얼음에 꿀, 과일즙 뿌려 먹었대요 2021.08.10 (화)
연일 폭염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더위를 잊게 해주는 시원한 음식이 생각나기 마련인데요. 빙수는 대표적인 여름철 음식입니다. 더위를 잡아주는 빙수는 언제, 어떻게 먹기 시작했을까요?동아시아 문화권에서 빙수에 관한 최초.. 김현철 서울 영동고 역사 교사
[신문은 선생님]
[사소한 역사] 사냥 도구→ 전쟁 무기→ 스포츠… 신라는 활쏘기 실력으로 관리 뽑았대요 2021.08.03 (화)
도쿄올림픽에서 대한민국 대표팀이 양궁에 걸린 금메달 5개 중 4개를 휩쓸며 세계 최강임을 입증했어요. 양궁에서 10점을 내려면 70m 거리에서 지름 12.2㎝에 불과한 원 안에 화살을 쏘아야 하죠. 연달아 10점을 .. 김현철 서울 영동고 역사 교사
[신문은 선생님]
[사소한 역사] 20만년 전 '풀' 침대… 밑엔 벌레가 싫어하는 식물 태운 재 깔았대요 2021.07.27 (화)
최근 골판지로 만든 도쿄올림픽 선수촌 침대가 화제가 됐어요. 200㎏까지 무게를 견디고, 재생 가능한 친환경 침대라고 해요. 하지만 일부 선수가 앉기만 해도 푹 꺼진다며 안정성에 문제를 제기했고, 일반인들 사이에서도.. 김현철 서울 영동고 역사 교사
[신문은 선생님]
[사소한 역사] 우리나라에서 에어컨 처음 설치한 곳은 석굴암이래요 2021.07.20 (화)
이번 주 본격적인 폭염이 시작된다는 뉴스가 전해졌어요. 에어컨 같은 냉방 기구가 없던 시절에는 어떻게 여름을 넘겼을까요. 이제는 냉방 기구가 보편화됐지만 인류가 온도를 낮추는 기술을 발명한 것은 그리 오래되지 않았다.. 김현철 서울 영동고 역사 교사
[신문은 선생님]
[사소한 역사] 동대문 관람소서 활동사진 첫 유료 상영… 입장료는 10전이었대요 2021.07.13 (화)
서울 종로구에 있는 서울극장이 8월 말 문을 닫는다는 소식이 전해졌어요. 1979년 문을 연 서울극장은 단성사<사진>·피카디리와 함께 종로 3가 극장가의 전성기를 이끌었어요. 하지만 2000년대 대형 멀티.. 김현철 서울 영동고 역사교사
[신문은 선생님]
[사소한 역사] 고대 이집트·중국서 해 가리개로 시작… 유럽선 18세기 중반까지 여성만 썼대요 2021.07.06 (화)
장마가 시작됐어요. 장마철에는 언제 쏟아질지 모르는 비 때문에 우산을 갖고 다녀야 해요. 장마철 필수 아이템인 우산, 어떤 역사를 갖고 있을까요?우산은 고대 이집트, 메소포타미아, 중국에서부터 쓰인 것으로 전해져 내.. 김현철 서울 영동고 역사 교사
[신문은 선생님]
[사소한 역사] 5300년 전 알프스에 살던 남성 미라에서 문신 61개 발견됐어요 2021.06.29 (화)
최근 국회에서 의료인이 아닌 사람들도 문신 시술을 할 수 있게 하는 법안이 발의되어 문신에 대한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어요. 문신도 개인의 개성 표현이니 쉽게 할 수 있어야 한다는 의견과 건강상 문제가 발생할 수 .. 김현철 서울 영동고 역사 교사
[신문은 선생님]
[사소한 역사] 조선시대 땐 '세책점'서 필사본 빌리고 '책쾌'에게 책 샀어요 2021.06.22 (화)
최근 오프라인 서점 매출 3위였던 '반디앤루니스'를 운영하던 서울문고가 경영 악화로 부도를 냈다는 소식이 전해졌어요. 반디앤루니스 부도는 인터넷 등 발달로 서점에서 책을 사는 사람이 크게 줄었기 때문이에요. 오랫동안.. 김현철 서울 영동고 역사 교사
[신문은 선생님]
[사소한 역사] 영국은 식민지에서 식물 품종 대거 가져와 세계 최대 식물원 만들었죠 2021.06.15 (화)
최근 강원도 양구에 있는 '국립DMZ(비무장지대)자생식물원'이 기존에 개방하지 않았던 북방계 식물 전시관을 일반에 잠시 개방했었어요. 쉽게 만나기 힘든 식물들을 관찰할 좋은 기회였습니다. 식물원은 식물을 연구하고 식.. 김현철 서울 영동고 역사 교사
[신문은 선생님]
[사소한 역사] 중국 '라멘'→일본 '라멘'→한국 '라면' 2021.06.08 (화)
얼마 전 농심을 세계 1위 라면 업체로 키워낸 '라면왕' 신춘호(92) 농심 회장이 별세했어요. 세계인스턴트라면협회(WINA)에 따르면, 작년 한 해 전 세계인이 먹은 라면은 1166억개이고, 그중 41억3000만개.. 김현철 서울 영동고 역사 교사
21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