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문은 선생님
-
-
-
- [신문은 선생님]
-
[개념쏙쏙! 수학] 컴퓨터는 0과 1로 인식한답니다
2015.03.12 (목)
-
"아빠, 곱셈을 이용해 전신 마비 환자와도 대화하는 방법을 개발했대요.""어디 보자, 사람이 두 자릿수끼리 곱셈하는 것 같은 집중력이 필요한 연산을 할 때 동공이 커진다는 것을 이용했구나. 환자가 '예'라고 대답하고..
김은숙·어린이 수학 전문 저술가
-
-
-
- [신문은 선생님]
-
[세계유산 탐방] 세계 최고의 스위스 시계, 해발 1000m 산속 마을에서 만든대요
2015.03.11 (수)
-
3월 19일부터 26일까지(현지 시각) 스위스 바젤에서는 세계 최대 규모의 시계 보석 박람회인 '2015 바젤월드'가 열려요. 시계 산업이 발달한 나라답게 스위스에는 세계적으로 유명한 시계 제조업체와 시계 학교, 시..
김양희 대교 눈높이제품개발실 연구원
-
-
-
- [신문은 선생님]
-
[책으로 보는 세상] "34년을 열심히 일했는데… 이젠 필요없다니"
2015.03.11 (수)
-
'고용 유연화'라는 말을 들어본 적이 있나요? 최근 각계각층에서 이를 둘러싼 격렬한 논쟁을 벌이고 있답니다. 고용 유연화란 기업이 경기 변동이나 시장 상황 등에 따라 노동을 탄력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뜻..
최혜정 한우리독서토론논술 수석연구원
-
-
-
- [신문은 선생님]
-
[재미있는 과학] 정수 필터 달린 '생명의 빨대'로… 오염된 물도 안심
2015.03.10 (화)
-
"적정기술을 통해 전기가 공급되지 않는 아프리카 지역에도 전깃불을 밝힐 수 있게 됐습니다."최근 파나소닉이 에볼라 전염병으로 큰 피해를 겪은 서아프리카 지역에 전등을 기부해 세계적인 이슈가 됐어요. 이는 지난해부터 ..
조영선·과학 학습 도서 저자
-
-
-
- [신문은 선생님]
-
[뉴스 속의 법 이야기] 친구들과 음원 공유, 저작권자 허락이 없다면 불법입니다
2015.03.10 (화)
-
"○○법무법인입니다. 귀하는 저작권을 침해했습니다. 돈을 주고 합의하지 않으면 형사처벌될 수 있습니다."홈페이지에 무심코 좋아하는 가수의 노래를 올렸다가 이런 전화를 받은 적이 있나요? 직접 받지는 않았더라도 주변에..
양은경 법조전문기자·변호사
-
-
-
- [신문은 선생님]
-
[사진으로 보는 세계] 늘 똑같은 사물의 색깔, 눈이 아니라 뇌로 보고 있답니다
2015.03.09 (월)
-
최근 한 드레스 사진을 놓고 논쟁이 벌어졌어요. 사진 속 드레스가 사람에 따라 다른 색으로 보였기 때문이죠. 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개인마다 색채 감각이 다르기 때문이라고 분석했어요.우리가 물체의 색을 감지하는 과정은..
사진=한성필(사진작가)
-
-
-
- [신문은 선생님]
-
[뉴스 속의 한국사] 100년 전 태극기, 지금 모양과 달라요
2015.03.09 (월)
-
지난달 25일 문화재청은 강릉 선교장에서 간직해 온 태극기를 문화재로 등록할 예정이라고 밝혔어요. 1900년대에 만들어진 강릉 선교장 태극기가 역사성과 희귀성이 매우 높다면서 말이지요. 선교장은 300여 년의 역사와..
지호진·어린이 역사 전문 저술가
-
-
-
- [신문은 선생님]
-
[미술관에 갔어요] 아름다운 우리 산천, 그 옛 모습을 찾아서
2015.03.06 (금)
-
사진기가 없었던 300년 전, 우리나라 사람들은 경치 좋다는 국내 유명한 곳의 모습을 그림을 통해 볼 수밖에 없었답니다. 그 시절 겸재 정선(1676~1759)의 그림은 사람들의 호기심을 채워주기에 아주 좋았어요. ..
이주은 교수(건국대 문화콘텐츠학과)
-
-
-
- [신문은 선생님 키즈]
-
[생각이 자라는 어린이] 정월 대보름, 강강술래하며 달님께 소원 빌어요
2015.03.05 (목)
-
오늘은 음력설을 보낸 지 딱 15일째 되는 날이랍니다. 어떻게 아느냐고요? 오늘이 음력으로 1월 15일인 '정월 대보름'이기 때문이죠. 달력에서 오늘 날짜를 찾아보면 3월 5일이라는 숫자 아래 작게 정월 대보름이라고..
이태화 어린이책 출판인
-
-
-
- [신문은 선생님 키즈]
-
[그림으로 보는 자연] 고소한 호두, 유럽에선 불에 던져 사랑점 쳤답니다
2015.03.05 (목)
-
정월 대보름에는 다양한 먹을거리 전통이 있어. 오곡밥과 9가지 나물 반찬을 먹지. 그리고 한 해 동안 이가 튼튼하고 아무 부스럼 없이 잘 지내라는 의미로 견과류를 깨무는 부럼 깨기를 해. 부럼을 깨는 대상은 날밤, ..
박윤선 생태 교육 활동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