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은선생님

신문은 선생님

[신문은 선생님]
[개념쏙쏙! 수학] 컴퓨터는 0과 1로 인식한답니다 2015.03.12 (목)
"아빠, 곱셈을 이용해 전신 마비 환자와도 대화하는 방법을 개발했대요.""어디 보자, 사람이 두 자릿수끼리 곱셈하는 것 같은 집중력이 필요한 연산을 할 때 동공이 커진다는 것을 이용했구나. 환자가 '예'라고 대답하고.. 김은숙·어린이 수학 전문 저술가
[신문은 선생님]
[세계유산 탐방] 세계 최고의 스위스 시계, 해발 1000m 산속 마을에서 만든대요 2015.03.11 (수)
3월 19일부터 26일까지(현지 시각) 스위스 바젤에서는 세계 최대 규모의 시계 보석 박람회인 '2015 바젤월드'가 열려요. 시계 산업이 발달한 나라답게 스위스에는 세계적으로 유명한 시계 제조업체와 시계 학교, 시.. 김양희 대교 눈높이제품개발실 연구원
[신문은 선생님]
[책으로 보는 세상] "34년을 열심히 일했는데… 이젠 필요없다니" 2015.03.11 (수)
'고용 유연화'라는 말을 들어본 적이 있나요? 최근 각계각층에서 이를 둘러싼 격렬한 논쟁을 벌이고 있답니다. 고용 유연화란 기업이 경기 변동이나 시장 상황 등에 따라 노동을 탄력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뜻.. 최혜정 한우리독서토론논술 수석연구원
[신문은 선생님]
[재미있는 과학] 정수 필터 달린 '생명의 빨대'로… 오염된 물도 안심 2015.03.10 (화)
"적정기술을 통해 전기가 공급되지 않는 아프리카 지역에도 전깃불을 밝힐 수 있게 됐습니다."최근 파나소닉이 에볼라 전염병으로 큰 피해를 겪은 서아프리카 지역에 전등을 기부해 세계적인 이슈가 됐어요. 이는 지난해부터 .. 조영선·과학 학습 도서 저자
[신문은 선생님]
[뉴스 속의 법 이야기] 친구들과 음원 공유, 저작권자 허락이 없다면 불법입니다 2015.03.10 (화)
"○○법무법인입니다. 귀하는 저작권을 침해했습니다. 돈을 주고 합의하지 않으면 형사처벌될 수 있습니다."홈페이지에 무심코 좋아하는 가수의 노래를 올렸다가 이런 전화를 받은 적이 있나요? 직접 받지는 않았더라도 주변에.. 양은경 법조전문기자·변호사
[신문은 선생님]
[사진으로 보는 세계] 늘 똑같은 사물의 색깔, 눈이 아니라 뇌로 보고 있답니다 2015.03.09 (월)
최근 한 드레스 사진을 놓고 논쟁이 벌어졌어요. 사진 속 드레스가 사람에 따라 다른 색으로 보였기 때문이죠. 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개인마다 색채 감각이 다르기 때문이라고 분석했어요.우리가 물체의 색을 감지하는 과정은.. 사진=한성필(사진작가)
[신문은 선생님]
[뉴스 속의 한국사] 100년 전 태극기, 지금 모양과 달라요 2015.03.09 (월)
지난달 25일 문화재청은 강릉 선교장에서 간직해 온 태극기를 문화재로 등록할 예정이라고 밝혔어요. 1900년대에 만들어진 강릉 선교장 태극기가 역사성과 희귀성이 매우 높다면서 말이지요. 선교장은 300여 년의 역사와.. 지호진·어린이 역사 전문 저술가
[신문은 선생님]
[미술관에 갔어요] 아름다운 우리 산천, 그 옛 모습을 찾아서 2015.03.06 (금)
사진기가 없었던 300년 전, 우리나라 사람들은 경치 좋다는 국내 유명한 곳의 모습을 그림을 통해 볼 수밖에 없었답니다. 그 시절 겸재 정선(1676~1759)의 그림은 사람들의 호기심을 채워주기에 아주 좋았어요. .. 이주은 교수(건국대 문화콘텐츠학과)
[신문은 선생님 키즈]
[생각이 자라는 어린이] 정월 대보름, 강강술래하며 달님께 소원 빌어요 2015.03.05 (목)
오늘은 음력설을 보낸 지 딱 15일째 되는 날이랍니다. 어떻게 아느냐고요? 오늘이 음력으로 1월 15일인 '정월 대보름'이기 때문이죠. 달력에서 오늘 날짜를 찾아보면 3월 5일이라는 숫자 아래 작게 정월 대보름이라고.. 이태화 어린이책 출판인
[신문은 선생님 키즈]
[그림으로 보는 자연] 고소한 호두, 유럽에선 불에 던져 사랑점 쳤답니다 2015.03.05 (목)
정월 대보름에는 다양한 먹을거리 전통이 있어. 오곡밥과 9가지 나물 반찬을 먹지. 그리고 한 해 동안 이가 튼튼하고 아무 부스럼 없이 잘 지내라는 의미로 견과류를 깨무는 부럼 깨기를 해. 부럼을 깨는 대상은 날밤, .. 박윤선 생태 교육 활동가
631 632 633 634 635 636 637 638 639 6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