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은선생님

신문은 선생님

[신문은 선생님]
[디자인·건축 이야기] 도쿄역과 비슷하게 생긴 옛 서울역 실제 모델은 스위스 루체른역이었죠 2025.10.14 (화)
올해는 옛 서울역 건물이 지어진 지 100주년을 맞는 해입니다. 옛 서울역은 20세기 서울의 관문으로 역사적인 중요성 때문에 1981년 사적 제284호로 지정됐죠. 2004년부터는 옛 서울역 옆에 준공된 거대한 신역.. 전종현 디자인·건축 저널리스트
[신문은 선생님]
[재미있는 과학] 달에 사는 토끼? 용암 굳어 생긴 '현무암 지대'랍니다 2025.10.14 (화)
지난주 추석 연휴, 밤하늘을 올려다봤나요? 흐린 날씨 때문에 아쉬웠지만, 일부 지역에선 커다랗고 둥근 달이 환하게 뜬 모습을 봤을 거예요. 보통 둥근 달이 떴을 때 자세히 들여다보면 얼룩덜룩한 무늬가 보인답니다. 어.. 민병희 한국천문연구원 책임연구원
[신문은 선생님]
[명화 돋보기] '가을 탔던' 예술가들… 화폭에 쓸쓸함 녹였죠 2025.10.13 (월)
한가위를 지내고 나니 여름의 흔적이 완전히 사라진 듯 공기가 달라졌습니다. 바람이 서늘하고, 피부에 닿는 햇살은 부드러워졌어요. 봄부터 여름까지 내내 바쁘게 일하던 농부가 첫 수확의 기쁨을 만끽하며 이웃과 나누는 가.. 이주은 건국대 문화콘텐츠학과 교수
[신문은 선생님]
[재밌다, 이 책!] 강아지와 고양이, 왜 성격이 다를까? 반려동물의 본성 이해해 주세요 2025.10.13 (월)
이원영 지음|출판사 문학과지성사|가격 1만2000원얼마 전까진 집에서 기르는 동물을 애완동물이라고 했지만, 지금은 '반려동물'이라는 말을 더 많이 씁니다. 애완은 어떤 동물이나 물건을 좋아하여 가까이 두고 아끼며 즐.. 표정훈 출판평론가
[신문은 선생님]
[식물 이야기] 윷 만들 때 자주 사용해 '윷놀이나무'라고 불렸대요 2025.10.13 (월)
추석 연휴 한라산에 올랐더니 곳곳에서 윤노리나무 열매가 익어가고 있었습니다. 아직은 녹색이었지만 점점 붉은색으로 익어갈 겁니다. 한라산뿐만 아니라 제주도 전역에 윤노리나무가 흔합니다. 한라산 중턱이나 오름, 곶자왈에.. 김민철 기자
[신문은 선생님]
[기후와 날씨] "비행기 멱살 잡고 흔드는 듯한 바람"… 국내에선 제주공항이 가장 심하대요 2025.10.02 (목)
비행 중 기내에서 뜨거운 차나 컵라면을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전보다 제한하는 항공사가 늘고 있어요. 국토교통부 역시 항공사들에 기내 컵라면 제공 중단을 권고했지요. 비행기에서 라면을 즐기기 어려워진 것은 증가하고 있는.. 이미선 기상청장
[신문은 선생님]
[꼭 읽어야 하는 고전] 모든 고통 사라지고 쾌락만 남은 세상… 불행할 자유도 없는 이곳이 낙원일까 2025.10.02 (목)
올더스 헉슬리 지음|안정효 옮김|출판사 소담출판사|가격 1만3800원여러분에게 슬픔, 고통, 불안 같은 모든 부정적인 감정을 단숨에 없애주는 '행복 약'이 있다면 어떨까요? 모두가 언제나 웃고, 행복하게 살아가는 세.. 이진혁 출판 평론가
[신문은 선생님]
[뉴스 속의 한국사] 최장 10일 '황금 연휴'? 원래는 하루만 쉬었죠 2025.10.02 (목)
'민족의 대명절'인 추석이 다가왔어요. 오랜만에 가족을 만날 생각에 마음이 설레는 날이지요. 특히 이번 추석은 최장 10일간 쉴 수 있는 '황금 연휴'라 여행을 계획하는 분들도 많을 겁니다. 그런데 추석은 언제 시작.. 이한 작가·'한잔 술에 담긴 조선' 저자
[신문은 선생님]
[예쁜 말 바른 말] [414] ‘칠흑’과 ‘흙빛’ 2025.10.01 (수)
*바다에 고립된 노인을 구하려고 (칠흑, 칠흙) 같은 어둠 속 바다로 뛰어들었다가 목숨을 잃은 해양 경찰관에게 추모의 물결이 일고 있다.*깡마른 몸에 (흑빛, 흙빛)으로 탄 피부, 짧게 깎은 머리를 한 그는 몇 살인.. 류덕엽 교육학 박사·전 서울 양진초 교장
[신문은 선생님]
[동물 이야기] 동글동글한 외모 가진 '웃는 돌고래'… 서해·동해·남해서 모두 볼 수 있어요 2025.10.01 (수)
얼마 전 전남 목포 앞바다에서 토종 돌고래 상괭이가 무리지어 헤엄치는 모습이 발견됐대요. 상괭이는 멸종 위기종인 데다 사람 때문에 수난을 당해 온 터라 더욱 반가운 소식이었죠. 상괭이는 '웃는 돌고래'라는 별명이 있.. 정지섭 기자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