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은선생님

신문은 선생님

[신문은 선생님]
[위인과 정신건강] 우울증으로 유서까지 남긴 작곡가… 절망 딛고 '합창 교향곡' 썼죠 2025.05.29 (목)
"내일 아침 깨어나지 않았으면 좋겠어요."루트비히 판 베토벤(1770~1827·사진)은 자신의 일기장에 이렇게 적곤 했어요. 천재 작곡가로 알려진 그는 사실 활동 기간 대부분 정신적인 고통을 겪었습니다. 청력을 거의.. 이헌정 고대 안암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신문은 선생님]
[예쁜 말 바른 말] [396] '입길'과 '입질' 2025.05.28 (수)
* 공직자의 재산이 갑자기 늘어나면 사람들의 입질에 오르기 마련이다.* 해가 넘어가면서부터 수면이 고요해지고 물고기의 입질이 잦아졌다.위 문장에서 틀리는 말을 골라 보세요. 첫 번째 문장의 '입질'은 '입길'로 고쳐.. 류덕엽 교육학 박사·전 서울 양진초 교장
[신문은 선생님]
[동물 이야기] 대만 수도 타이베이 마스코트… 따뜻해서 겨울잠도 안 자요 2025.05.28 (수)
얼마 전 대만 정부에서 토종 곰인 대만흑곰 수가 늘어나고 있다는 조사 결과를 발표했어요. 해발 1200m 아래에서 이 곰이 목격된 횟수는 2011~2017년 78회였는데 2018년부터 현재까지 513회로 껑충 뛰었어.. 정지섭 기자
[신문은 선생님]
[숨어있는 세계사] '콘클라베'와 달리 투표 안 해… 환생자 찾아 계승하죠 2025.05.28 (수)
최근 프란치스코 교황의 선종 이후 후대 교황을 뽑는 절차인 '콘클라베'가 큰 주목을 받았어요. 추기경들의 비밀투표 방식인 콘클라베를 이번 계기로 알게 됐다는 사람이 많았습니다. 콘클라베처럼 독특한 지도자 승계 방식을.. 정세정 옥길새길중학교 역사 교사
[신문은 선생님]
[알립니다] 에듀조선 NIE 논술학원 학부모 설명회 개최 2025.05.28 (수)
에듀조선 NIE 논술학원에서 중등 NIE 학부모 설명회를 개최합니다. NIE(신문활용교육)는 글쓰기 능력과 독해력을 향상시키고, 문해력 증진에도 큰 도움이 됩니다. 이번 설명회는 조선일보 NIE 10년 이상 경력의 ..
[신문은 선생님]
[사소한 역사] 조선시대 때도 조기교육 열풍… '족집게 강사' 있는 서당으로 몰렸죠 2025.05.27 (화)
영유아 사교육 문제로 연일 사회가 시끄럽습니다. 영어 유치원과 '초등 의대반'에 학생이 몰린다더니, 이제 '4세 고시'도 생겨났습니다. 아이들의 정신 건강이 위협을 받고 있다는 이야기가 나온 지도 오래됐습니다.조선 .. 이한 작가·'한잔 술에 담긴 조선' 저자
[신문은 선생님]
[디자인·건축 이야기] '벽돌의 마법사'로 불리는 건축가… 강남 교보타워·리움 M1 설계했어요 2025.05.27 (화)
얼마 전 지휘자 정명훈이 세계 최고 오페라 공연장으로 꼽히는 이탈리아 '라스칼라' 극장의 음악 감독을 맡는다는 뉴스가 나왔어요. 1778년 개관한 라스칼라 극장은 이탈리아에서도 국가적으로 사랑받는 문화 시설인데요. .. 전종현 디자인·건축 저널리스트
[신문은 선생님]
[재미있는 과학] 한미 제작 우주망원경, 매일 3600장 찍어 '3D 지도' 만들죠 2025.05.27 (화)
지난 2일 지구 위 약 700㎞ 상공에서 특별한 우주 임무가 시작됐습니다. 한국과 미국이 공동 개발한 우주망원경 '스피어엑스(SPHEREx)'가 본격적으로 우주를 촬영하기 시작한 것이죠. 이 망원경의 목표는 단순한 .. 김형자 과학칼럼니스트
[신문은 선생님]
[산 이야기] 퇴계 이황에게 깨달음 준 산… 늦봄 피는 철쭉으로 유명해요 2025.05.26 (월)
최근 소백산에서 철쭉 축제가 열렸어요. 40년 넘게 이어온 '단양 소백산 철쭉제'예요. 시내 화단의 철쭉은 꽃이 떨어졌지만, 정상이 해발 1439m(비로봉)인 소백산 능선에는 지금이 철쭉의 전성기입니다. 일부 산은 .. 신준범 월간 산 기자
[신문은 선생님]
[재밌다, 이 책!] 학교 급식 노동자·배달 라이더·농부… 음식 한 그릇엔 여러 직업 노고 담기죠 2025.05.26 (월)
정은정 지음|출판사 한티재|가격 1만5000원제가 중·고등학교를 다닐 때는 학교 급식이 없었습니다. 어머니가 매일 도시락을 싸주셨지요. 내일은 어떤 반찬을 싸줄까 고민하셨을 어머니에게 새삼 고마움을 느낍니다. 오늘날.. 표정훈 출판평론가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