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은선생님

신문은 선생님

[신문은 선생님]
[재미있는 과학] 화창한 봄은 어디에… 황사·초미세 먼지로 뿌옇기만 해 2016.03.15 (화)
중국을 포함한 동아시아가 전 세계에서 미세 먼지 농도가 가장 높다고 해요. 황사와 미세 먼지 등 대기오염 문제가 심각해지면서 수십만원이 넘는 공기 청정기가 불티나게 팔리고, 필터 기능을 강화한 마스크가 약국에서 품절.. 박록진·서울대 교수(지구환경과학부 대기화학·오염 전공)
[신문은 선생님]
[뉴스 속의 한국사] 청해진 세워 '바닷길 평화' '무역 혁명' 이룬 장보고 2016.03.14 (월)
지난달 26일 '21세기 청해진'이 될 제주 해군기지가 준공되었어요. 1조765억원이라는 어마어마한 예산을 투입한 제주 해군기지는 민간 여객선과 해군의 함정이 모두 정박할 수 있기 때문에 국가의 경제력과 안보를 지키.. 지호진·어린이 역사 전문 저술가
[신문은 선생님]
[아하! 이 장소] 99m 높이 굴뚝 그대로 살려… 화력발전소를 미술관으로 만들다 2016.03.14 (월)
영국 런던의 '테이트 모던'은 2000년 5월 개장한 현대미술관이에요. 1981년 폐쇄된 이후 방치되던 뱅크사이드 화력발전소 건물을 개조했기 때문에 99m 높이의 굴뚝과 빨간 벽돌로 만들어진 외벽은 그대로 남아 있답.. 장연정(디자인 비평가)
[신문은 선생님]
[이슈토론] 패스트푸드점 맥주 판매 2016.03.11 (금)
치맥(치킨과 맥주)이 새로운 한류 상품으로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인기 드라마 '별에서 온 그대'에서 전지현씨가 치맥을 즐겨 먹는 모습이 나왔기 때문입니다. 국내외에서 치맥 열풍이 불자 외식업체들이 맥주와 엮어서 상.. 강윤호 NIE팀
[신문은 선생님]
[이명옥 따라잡기] 밥 먹고 차 마실 땐 몰랐는데… 그릇, 너 이렇게 예뻤니 2016.03.11 (금)
음식을 담는 용기인 식기(食器)는 우리 생활에 밀접한 사물이에요. 현대미술에서는 그릇(물이나 음식을 담는 기구를 통틀어 이르는 말) 자체가 표현 대상이 되기도 해요. 독일 태생의 화가이자 조각가인 메레 오펜하임은 찻.. 이명옥 사비나 미술관장
[신문은 선생님]
[고전이야기] 신의 영역 넘본 인간, 자신의 창조물에게 몰락당하다 2016.03.10 (목)
거대한 몸집과 두드러진 이마, 목에 박힌 나사못, 여기저기 꿰맨 흔적이 있는 괴물. 이 무시무시한 괴물의 이름은 프랑켄슈타인이에요. 1818년 영국에서 출간된 메리 셸리의 소설 '프랑켄슈타인'은 영화, 연극, 뮤지컬.. 양미연·한우리독서토론논술 선임연구원
[신문은 선생님]
[숨어있는 세계사]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 당시, 日 직접 그린 '일본영역도'에 독도 없어 2016.03.10 (목)
2016년 새 학기에 나눠준 일본의 중학교 역사 교과서 8종과 일부 사회·지리 교과서에는 '독도는 일본 고유 영토이며, 한국이 불법으로 점령하고 있다'는 내용이 담겼다고 합니다. 지난 2014년 일본 시마네현의 고등.. 공미라·세계사 저술가
[신문은 선생님]
[남과 북 이렇게 달라요] 일반병 10년 이상 군 복무… 휴가는 일 년에 한 번 있을까 말까 2016.03.09 (수)
북한만큼 청년들에게 자유가 없는 나라가 있을까요? 오늘은 북한의 병역제도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해요. 북한의 사회주의 헌법에 따르면 "조국보위는 공민의 의무이며 최고의 영예이다"라고 합니다. 즉 북한에서 태어난 주민들.. 김지영 대한민국 역사박물관 학예연구사
[신문은 선생님]
[의학이야기] 독감 치료, 일본군 만행 고발… 한국을 사랑한 의학자 2016.03.09 (수)
지금으로부터 약 100년 전인 1919년 3월 1일, 독립운동사에 획을 긋는 중요한 사건인 3·1 만세 운동이 일어났습니다. 그런데 1919년은 의학 역사에서도 아주 중요한 해라는 것 알고 계신가요? 20세기를 통틀.. 여인석 연세대 의과대학 교수(의사학과)
[신문은 선생님]
[재미있는 과학] 창의적인 이세돌 VS 기보 따르는 알파고 2016.03.08 (화)
내일(9일) 오후 1시 인공지능이 인간의 두뇌에 도전하는 흥미진진한 바둑 경기가 열려요. 구글의 인공지능 바둑 프로그램 '알파고(AlphaGo)'가 세계 바둑 최강자인 이세돌 9단에게 도전장을 내밀었거든요. 알파고의.. 박태진·과학 칼럼니스트
631 632 633 634 635 636 637 638 639 6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