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문은 선생님
-
-
-
- [신문은 선생님]
-
[이슈토론] 인공지능 활용
2016.02.05 (금)
-
AI(Artificial Intelligence·인공지능)는 인류의 꿈이면서도 두려운 대상입니다. 지능을 가진 로봇이 삶을 풍요롭게 해줄 것이란 기대와 함께, 그들이 인간을 지배할 수도 있을 것이란 걱정이 늘 공존하..
박준석 NIE팀
-
-
-
- [신문은 선생님]
-
[이명옥의 명작 따라잡기] 화려하게 때론 긴장하게… 해님도 이 능력은 없을걸?
2016.02.05 (금)
-
빛은 미술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해요. 예술가들은 예로부터 자연조명인 햇빛과 인공조명인 양초·램프·전등 빛을 창작의 도구로 활용했어요. 특히 제2의 빛으로도 불리는 인공조명은 마치 과학의 발전을 가져온 실험 도구처..
기획·구성=김지연 기자
-
-
-
- [신문은 선생님]
-
[고전이야기] 계획대로 살지 않았더니, 삶이 더 재밌어졌다
2016.02.04 (목)
-
하루하루를 규칙적으로 산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닙니다. 새해를 맞아, 계획을 짜고 하루 일과표도 만들어 보지만 작심삼일로 끝나는 경우가 허다하지요. 오늘 소개할 필리어스 포그씨는 정말 놀라운 사람이에요. 매일 같은 ..
기획·구성=김지연 기자
-
-
-
- [신문은 선생님]
-
[숨어 있는 세계사] 모피 때문에… 러시아는 성장, 원주민·동물들은 수난당했어요
2016.02.04 (목)
-
올겨울 유행하고 있는 '페이크 퍼(fake fur)'를 들어본 적이 있나요? 우리말로는 인조 모피라는 뜻인데요, 환경과 동물을 보호하자는 윤리적인 이유 때문에 동물보호단체를 중심으로 모피의 대안으로 등장했죠. 시대를..
기획·구성=김지연 기자
-
-
-
- [신문은 선생님]
-
[종교이야기] 전생에 착한 일 500번 넘게 해 '붓다'로 환생했대요
2016.02.03 (수)
-
수행자 한 사람이 나무 아래에 앉아 참선하고 있는데, 비둘기 한 마리가 다급하게 날아왔습니다. "저 좀 숨겨주세요, 제발." 수행자가 품에 비둘기를 숨기자 곧이어 매 한 마리가 날아와서 이렇게 말했습니다. "그 비둘..
이미령·불교 칼럼니스트
-
-
-
- [신문은 선생님]
-
[심리이야기] 소리 지르지 말고, 마음속으로 스톱! 외쳐 보세요
2016.02.03 (수)
-
얼마 전 베이징올림픽 금메달리스트인 유명 역도 선수가 후배를 폭행하는 사건이 일어났어요. 그는 경찰 조사를 받으며 "얘기 도중 감정이 격해져서 우발적으로 폭행했다"고 진술했대요. 대한역도연맹은 그에게 선수 자격 10..
상진아·미국 애크런대 교수(사회복지학)
-
-
-
- [신문은 선생님]
-
[재미있는 과학] 어는점 낮추는 마법의 가루… 빙판길, 녹아라 얍!
2016.02.02 (화)
-
최근 제주 공항이 기상 악화로 운항 중단되어 많은 여행객의 발이 묶이는 일이 있었어요. 미국에서는 초대형 눈폭풍이 불어닥치면서 얼음(ice)과 세계의 종말을 의미하는 아포칼립스(apocalypse)의 합성어인 '아이..
이희나 EBS 화학 강사(경기북과학고 교사)
-
-
-
- [신문은 선생님]
-
[아하! 이 식물] 스스로 몸에 열 내… 눈 녹이며 꽃망울 피워요
2016.02.01 (월)
-
오는 4일은 봄이 시작된다는 입춘(立春)입니다. 이즈음 볕바른 산골짜기에는 봄의 전령이라는 복수초(福壽草)가 기지개를 켜며 괴력을 발휘해요. 식물답지 않게 열을 내 언 땅과 잔설을 녹이며 꽃망울을 올린답니다. 그리고..
기획·구성=김지연 기자
-
-
-
- [신문은 선생님]
-
[뉴스 속의 한국사] 자기편이라도 의견 안 맞으면 싸우고 갈라서다
2016.02.01 (월)
-
지난주 사림파가 동인과 서인으로 갈라진 이야기에 이어, 오늘은 그 뒤로 붕당정치가 어떻게 펼쳐지는지 알아볼까요? 동인이 북인(北人)과 남인(南人)으로 나뉘고, 서인이 노론(老論)과 소론(少論)으로 나뉘게 돼요. 붕당..
기획·구성=김지연 기자
-
-
-
- [신문은 선생님]
-
[이슈토론] 복권 당첨자 신원 공개
2016.01.29 (금)
-
최근 미국 파워볼 복권의 누적 당첨금이 1조 9300억원까지 치솟으면서 전 세계의 주목을 받았습니다. 당첨 확률은 2억9220만1338분의 1이었습니다. 벼락 맞을 확률(96만분의 1)의 무려 300배에 달했습니다...
최보근 NIE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