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은선생님

신문은 선생님

[신문은 선생님]
[아하! 이 식물] 버릴 것 하나도 없어… 잎·줄기는 약재로, 씨앗은 식용유 만들어요 2016.03.07 (월)
지난달 중순 한파가 물러가자 유채꽃이 일찌감치 봄소식을 알렸어요. 제주도에서 피기 시작한 유채꽃은 보름 새 바다를 건너 남해안 들녘을 노랗게 물들이고 있습니다. 예년보다 꽃이 일찍 펴 유채꽃축제를 준비하는 전국의 지.. 박중환 식물 칼럼니스트('식물의 인문학' 저자)
[신문은 선생님]
[뉴스 속의 한국사] 도둑질하면 12배 배상… 부여에선 죄짓고 못 살겠네 2016.03.07 (월)
영남제분 회장 아내 윤씨가 22세 여학생을 살해한 뒤, 가짜 진단서를 받아 교도소에 갇히지 않고 호화 입원 생활을 한 사건이 있었어요. 진상이 밝혀지자 많은 사람이 분노했고, 윤씨는 2년 전 재수감되었지요. 지난달 .. 지호진 어린이 역사 전문 저술가
[신문은 선생님]
[이슈토론] 고액권 폐지 2016.03.04 (금)
최근 유럽과 미국에서 '고액권 폐지'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유럽중앙은행 총재 마리오 드라기는 "500유로(약 68만원) 지폐가 범죄 목적으로 쓰인다는 국제적 비난 여론이 높아지고 있다"며 이 지폐 폐지를 검토 중이.. 최보근 NIE팀
[신문은 선생님]
[대영박물관展, 부모님과 함께 재미있게 감상하기] [2] 작품 속 알렉산더 대왕·성모마리아… 모두 찾았나요? 2016.03.04 (금)
'대영박물관-영원한 인간'전이 오는 26일까지 연장 전시돼요. 신문지를 잘라 전시회에 가져가면 퀴즈 놀이를 할 수 있어요. 부모님과 함께 보물찾기하듯 해답을 맞혀보세요. 다 맞히면 기념엽서도 받을 수 있어요(※하루 .. 김지연 기자
[신문은 선생님]
[철학이야기] 종이에 그린 삼각형은 가짜… 진짜는 우리 마음속에? 2016.03.03 (목)
여러분은 수학 공책에 점과 선분, 삼각형과 사각형을 그리지요. 그러나 여러분이 그린 점·선·면·도형은 전부 가짜랍니다. 수학 시간에 항상 그려오던 것들이 진짜가 아니라니 믿기 어렵죠? 수학 교과서에 따르면 선분이란 .. 채석용·대전대 교수(철학)
[신문은 선생님]
[세계 유산 탐방] 세계서 가장 긴 폭포… 웅장한 물줄기 사이로 무지갯빛 물안개 가득 2016.03.03 (목)
지난달 1일 세계보건기구(WHO)는 지카 바이러스의 감염 확산에 대해 국제 공중 보건 비상사태를 선포했습니다. 올겨울 찾아온 수퍼 엘니뇨 때문에 남아메리카 지역에 비가 많이 내릴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에요. 엘니뇨는.. 유네스코 한국위원회
[신문은 선생님]
[종교이야기] 예수님이 제자들 발 씻겨준 '세족례', 올해부턴 여자도 할 수 있어요 2016.03.02 (수)
해마다 봄이 오면 가톨릭과 개신교는 부활절을 맞아 달걀을 나눠주기도 하고, 예식 행사를 가지지요. 부활절 날짜는 양력으로 3월 말에서 4월 중순까지 해마다 달라집니다. 올해 부활절은 3월 27일이래요. 그런데 이 날.. 기획·구성=김지연 기자
[신문은 선생님]
[심리이야기] 신학기 부담에 '스트레스 호르몬'… 집중력 떨어져요 2016.03.02 (수)
곧 새 학년이 시작되니 즐거운 학교생활을 기대하면서 새로운 각오를 다지고 있겠죠? 하지만 새 학년의 시작이 스트레스가 되기도 할 거예요. 달콤한 늦잠도 이제는 끝, 매일 일찍 일어나야 하는 데다, 새로운 선생님과 친.. 기획·구성=김지연 기자
[신문은 선생님]
[재미있는 과학] 맛있게 피자 먹었으니, 신나게 1시간 달려볼까! 2016.03.01 (화)
곧 겨울이 가고 따뜻한 봄이 오면 두꺼운 패딩 재킷을 장롱에 넣고, 화사하고 살랑거리는 얇은 옷을 꺼내게 되겠죠. 하지만 잘 움직이지 않고 주로 실내에만 있는 긴 겨울방학이 지난 뒤라, 뱃살에는 지방이 두툼해져 있는.. 이희나·경기북과학고 교사(EBS 화학 강사, '케미가 기가 막혀' 저자)
[신문은 선생님]
[뉴스 속의 한국사] "대한독립 만세!" 감옥서 죽는 순간까지 외쳤어요 2016.02.29 (월)
내일은 삼일절이에요. 1919년 3월 1일 서울의 탑골공원, 일제의 폭압적인 식민 통치를 받던 우리 민족은 기미(己未)독립선언서를 발표하며 '대한독립 만세'를 외쳤어요. 그 후 약 2개월간 전국에서 비슷한 만세 운동.. 지호진·어린이 역사 전문 저술가
631 632 633 634 635 636 637 638 639 6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