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은선생님

신문은 선생님

[신문은 선생님]
[동물 이야기] 상아처럼 송곳니가 삐죽… 전 세계 90%가 우리나라에 살지요 2017.11.30 (목)
눈 내리는 겨울이면 우리나라도 일부 지역에서 사냥을 허용해요. 멧돼지와 고라니가 너무 많아져 농작물 피해가 늘어나기 때문이에요. 개를 풀고 총을 쏘며 해마다 많은 사냥꾼이 고라니를 잡고, 고속도로에서도 차에 치여 많.. 김종민 박사·전 국립생태원 생태조사본부장
[신문은 선생님]
[가족 모두 풀어보는 생활 속 재미있는 수학] [91] 숨어있는 무늬를 찾아라 2017.11.30 (목)
[신문은 선생님]
[숨어 있는 세계사] 끔찍한 '킬링필드' 끝냈지만… 32년째 反美 독재 오명 2017.11.30 (목)
얼마 전 캄보디아 대법원이 제1야당에 대해 '미국과 결탁해 쿠데타를 도모했다'는 혐의로 해산을 명령했어요. 국제사회는 캄보디아를 32년째 통치하고 있는 독재자 훈센 총리가 내년 총선을 앞두고 야당을 해산해 장기 집권.. 공명진 숭문중 역사 교사
[신문은 선생님]
[예쁜 말 바른 말] [13] '일체'와 '일절' 2017.11.29 (수)
최근 한 정치인의 인터뷰 내용이 TV 뉴스 시간에 방송됐어요. 그 정치인은 "당시 대통령께서는 어떠한 경우라도 관련 기관에서 일체 돈을 받지 말라고 하셨습니다"라고 말했는데요. 이를 방송한 TV 화면 자막은 '일체'.. 류덕엽 서울북부교육지원청 장학관(전 삼릉초 교장)
[신문은 선생님]
[재미있는 과학] 고층 건물, 대나무 마디 본뜬 구조물로 강한 지진 견디죠 2017.11.29 (수)
얼마 전 경북 포항에서 지진이 나 많은 주민이 대피했어요. 어느 대학 건물은 외벽이 무너져 내렸고, 한 고층 아파트는 1~9층까지 창틀을 따라 벽에 금이 갔지요. 필로티(벽 대신 기둥으로 건물을 받치는 방식) 구조로.. 서금영 과학 칼럼니스트
[신문은 선생님]
[뉴스 속의 한국사] 독립문, 사대주의 상징 헐고 佛 개선문 본떠 만들었죠 2017.11.28 (화)
지난 20일은 서울 서대문구에 있는 독립문을 세운 지 120주년을 맞는 날이었어요. 독립문은 우리나라 최초의 서양식 건축물로, 우리나라 자주독립 정신을 알리고자 만들었는데요. 놀랍게도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에선 큰돈을.. 지호진·어린이 역사 저술가
[신문은 선생님]
[스포츠 이야기] 아프리카 선수, 썰매도 출전… 평창서도 '검은 돌풍' 기대해요 2017.11.28 (화)
여러분은 동계올림픽에서 떠오르는 흑인 선수가 있나요? 하계올림픽에는 육상을 중심으로 흑인 선수들 활약이 눈부신데, 사실 동계올림픽에는 유명세를 떨치는 흑인 선수들을 찾아보기 힘들지요.흑인들이 주로 사는 아프리카는 1.. 조보성·무학중 체육 교사
[신문은 선생님]
[아하! 이 식물] 겨울 새들 위해 '까치밥' 남겨… 줄기로 고급가구 만들죠 2017.11.28 (화)
예로부터 우리 조상은 늦가을이 되면 동물들에게 빨갛게 익은 감을 나눠 주었어요. 감나무〈사진〉 꼭대기에 남겨진 '까치밥' 문화에서 그러한 따스한 마음을 엿볼 수 있지요. 서울 같은 대도시에선 까치 먹으라고 남긴 감을.. 최새미 식물 칼럼니스트
[신문은 선생님]
[NIE] [이슈토론] 등산로 입구 사찰 관람료 징수 2017.11.25 (토)
매년 가을이 되면 전국 각지의 국립공원이 많은 등산객으로 붐빕니다. 한편 단풍철 등산객을 상대로 한 국립공원 내 사찰의 입장료 문제는 10년째 계속되는 해묵은 논란거리이기도 합니다. 정부는 지난 2007년 국립공원 .. NIE팀·박준석
[신문은 선생님]
[뉴스 상식 돋보기] 액상화 현상·로버트 무가베 2017.11.25 (토)
액상화(液狀化) 현상지난 15일 포항에서 발생한 규모 5.4 지진으로 진앙 주변뿐 아니라 학교 운동장 등 포항 도심 지역에서 액상화 현상으로 보이는 흔적이 발견되고 있습니다. 액상화 현상은 땅속 퇴적층에 섞여 있던 ..
511 512 513 514 515 516 517 518 519 5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