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은선생님

전체기사

[신문은 선생님]
[사소한 역사] 오르간보다 14세기 중동 현악기와 비슷… 18세기 바흐·모차르트 거치며 위상 굳혀 2023.06.13 (화)
피아니스트 조성진이 다음 달 서울을 시작으로 전국 리사이틀을 갖는다고 해요. 그는 2015년 쇼팽 콩쿠르에서 한국인 최초로 우승했죠. 우리가 흔히 '피아노'라고 부르는 악기는 '피아노포르테(pianoforte)'의 .. 김현철 서울 영동고 역사 교사
[신문은 선생님]
[디자인·건축 이야기] 칸딘스키도 감탄한 현대적인 의자 제작… 미국 휘트니 뮤지엄 옛 본관도 세웠어요 2023.06.13 (화)
지난 1일 세계적인 경매 회사 소더비가 미국 뉴욕 휘트니 뮤지엄 옛 본관을 매입했다고 발표했습니다. 매입가가 공개되진 않았지만 1억달러(약 1300억원)로 추정된대요. 1966년 문을 연 이 5층짜리 건물은 건축가 .. 전종현 디자인·건축 저널리스트
[신문은 선생님]
[재미있는 과학] '빨대 혀'로 꿀 빠는 새… 뱀은 혀로 냄새 맡는대요 2023.06.13 (화)
"메롱!" 친구를 놀릴 때 내미는 혀는 밥을 먹고 말을 할 때 꼭 필요한 중요한 신체 부위입니다. 그런데 최근 과학자들은 혀에 관심을 갖기 시작했어요. 혀를 통해 척추동물의 진화 과정을 이해할 수 있고, 로봇을 만드.. 이윤선 과학칼럼니스트
[신문은 선생님]
[재밌다, 이 책!] 단순·의외·구체·신뢰·감성·스토리 중 하나만 잘 담아도 성공적인 메시지 돼요 2023.06.12 (월)
칩 히스·댄 히스 지음|안진환·박슬라 옮김|출판사 엘도라도|가격 1만5000원창의적인 메시지가 어떻게 사람들 마음에 오래 남아 뿌리내리는지, 반대로 왜 어떤 아이디어는 잊히는지를 다룬 책이에요. 저자들은 실제 사례를.. 김미향 출판평론가·에세이스트
[신문은 선생님]
[식물 이야기] 강원도 높은 산에서 자라… 땅속 줄기는 '활명수'에 들어가요 2023.06.12 (월)
강원도 높은 산에서만 만날 수 있는 '갈퀴현호색(玄胡索)'이란 식물이 있어요. 이 식물은 봄이 되면 산과 들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현호색과 달리 꽃받침 끝부분이 갈퀴처럼 깊게 갈라져 있어 이런 이름이 붙었다고 해요... 김민하 국립생물자원관 환경연구관
[신문은 선생님]
[클래식 따라잡기] 산책·부부 싸움·사냥 떠오르는 피아노 연주곡 썼죠 2023.06.12 (월)
오는 28일부터 7월 9일까지 서울 서초구 예술의전당 콘서트홀에서는 오스트리아 피아니스트 루돌프 부흐빈더의 베토벤 피아노 소나타 전곡 연주가 7회에 걸쳐 진행됩니다. 탁월한 영감과 뛰어난 완성도로 '피아노 음악의 신.. 김주영 피아니스트·대원문화재단 전문위원
[신문은 선생님]
[생활 속 경제] 카드값 낼 돈 부족하면 일부만 내고 나머지는 미룰 수 있대요 2023.06.08 (목)
Q. 요즘 신용카드 리볼빙(revolving)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람이 많아져, 그 금액이 7조원에 달한다는 기사를 봤어요. 리볼빙 서비스는 무엇인가요?A. 리볼빙 서비스는 이번 달 신용카드 사용액 중 일부만 갚고 .. 김나영 양정중 사회과 교사
[신문은 선생님]
[재밌다, 이 책!] 역동적인 바다·반짝이는 밤하늘 속 행복은 언제나 우리 곁에 있답니다 2023.06.08 (목)
크리스 버카드 글 | 데이비드 매클래런 그림 | 이지영 옮김 | 출판사 북극곰 | 가격 1만8000원아이가 땅에게 물었습니다. "행복은 어디서 찾을 수 있나요?" 땅은 아이에게 바다로 가보라고 합니다. 아이는 바다에.. 김성신 출판평론가
[신문은 선생님]
[뉴스 속의 한국사] 임란 때 명 지원軍 이끌어내고, 中 화약 생산법 알아냈죠 2023.06.08 (목)
부산박물관에서 7월 9일까지 '조선의 외교관, 역관(譯官)' 특별전이 열려요. 조선 시대 역관은 통역 전문가이자 실무 외교관으로 통사(通事)라고도 불렸어요. 그들은 뛰어난 외국어 능력을 바탕으로 중국이나 일본에 간 .. 이병호 공주교대 사회과교육과 교수
[신문은 선생님]
[예쁜 말 바른 말] [298] '시듦병'과 '시들음병' 2023.06.07 (수)
등산을 하다 보면 '끈끈이 설치 안내-참나무 시들음병, 대벌레를 잡기 위해 설치'라는 안내문을 볼 수 있는데, 이 안내문에는 틀린 말이 있어요. 그것은 바로 '시들음병'입니다. '시듦병'이 맞는 말입니다. 정부 기관.. 류덕엽 교육학박사·전 서울양진초 교장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