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해란의 뇌과학 교실
[신문은 선생님]
[나해란의 뇌과학 교실] 처음 온 곳인데 낯설지 않을 때… 뇌의 '기억 불러오기 오류'
2019.02.27 (수)
분명 처음 온 곳인데 언젠가 한 번 와본 느낌이 들 때가 있지요? 이런 현상을 '데자뷔(déjà vu)'라고 합니다. 기시감(旣視感)이라고 부르는데, 이미 본 것 같은 느낌이라는 뜻이에요. '전생에 겪었던 일이 떠오..
나해란 여의도성모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신문은 선생님]
[나해란의 뇌과학 교실] 같은 음식인데… 먹을 때마다 맛 다르게 느끼는 이유는?
2019.02.20 (수)
최근 치킨집이 '대박' 나는 영화가 인기를 끌고 있어요. 영화관을 나서는 관객들이 "치킨 먹고 싶다"며 삼삼오오 치킨집으로 몰려갔다고 해요. 저도 영화를 보고 치킨 생각이 들었어요.치킨의 맛은 어떻게 느낄까요. 흔히..
나해란 여의도성모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신문은 선생님]
[나해란의 뇌과학 교실] 10만년 전 네안데르탈인이 아인슈타인보다 뇌가 더 컸대요
2019.02.13 (수)
'뇌가 크면 똑똑할까'라는 궁금증을 한 번쯤은 가져 봤을 겁니다. '얼큰이'나 '짱구'라고 놀림당하면 '대신 머리가 크니까 그만큼 더 똑똑할 거야'라고 생각하기도 하지요. 결론부터 말하자면 뇌 크기와 똑똑함은 별 관..
나해란 여의도성모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신문은 선생님]
[나해란의 뇌과학 교실] 팔다리 잃은 환자 절반, "이젠 없는 팔다리가 아프고 가려워요"
2019.01.30 (수)
손톱이 너무 자라서 잘랐는데 계속 손톱이 남아 있는 느낌이 들면 어떨까요? 저라면 신경이 쓰여서 다른 일을 전혀 못 할 것 같아요. 손톱을 잘랐는데도 손톱이 길어서 거추장스러운 느낌은 계속되니까요.손톱에는 이런 증상..
나해란 여의도성모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신문은 선생님]
[나해란의 뇌과학 교실] 시각·기억·감정이 협력하지 않으면 얼굴 못 알아봐요
2019.01.23 (수)
드라마나 영화에서 다른 사람을 알아보지 못하는 주인공이 종종 등장합니다. 사고를 당한 경우도 있고, 어느 날 아침 눈을 뜨니 갑자기 그렇게 변해버린 경우도 있지요. 실제로 이런 일들이 가능할까요?흔히 '안면인식장애'..
나해란 여의도성모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신문은 선생님]
[나해란의 뇌과학 교실] "초콜릿 생각하지 마라"했더니 오히려 두 배 더 먹었대요
2019.01.16 (수)
살다 보면 지우고 싶은 기억들이 있지요. 그런데 그런 기억을 떠올리지 않으려고 할수록 더 머릿속을 맴돕니다. 이런 현상은 연구로도 이미 밝혀졌다고 해요.대니얼 웨그너(Wegner)가 실험한 '북극곰 효과' 연구입니다..
나해란 여의도성모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신문은 선생님]
[나해란의 뇌과학 교실] 새 습관 만들려면 '한 주에 1㎏씩 빼기' 같은 구체적 목표 필요
2019.01.09 (수)
벌써 새해도 한 주가 지났습니다. 새해를 맞아 세운 계획이 작심삼일이 되지는 않았나요? 많은 사람이 새해 결심을 하지만 절반 이상이 6개월 내에 포기한다고 해요.습관은 무의식적으로 반복하는 행동이지요. 아침에 일어나..
나해란 여의도성모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신문은 선생님]
[나해란의 뇌과학 교실] 화낼 땐 면역력 떨어지고, 용서하면 스트레스·피로 줄어요
2019.01.02 (수)
지난해 상처를 받은 일들도 많이 있을 거예요. 믿었던 친구가 돌아섰다거나, 학교에서 억울한 일을 겪었거나 하는 것처럼요. 새해가 시작된 지금, '용서'를 얘기해볼까 해요. 용서하지 못하고 화가 남아 있으면 뇌도 고통..
나해란 여의도성모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신문은 선생님]
[나해란의 뇌과학 교실] 초콜릿… 한 조각 먹으면 '약', 과하면 '독' 될 수 있어요
2018.12.26 (수)
아침에 눈 뜨면서 산타 할아버지가 어떤 선물을 갖다 놓으셨는지 궁금했던 친구도 있겠죠. 크리스마스에는 친구들이나 가족끼리 모여 초콜릿이나 초콜릿 케이크 같은 달콤한 음식을 많이 먹기 쉬워요.하지만 콜라나 초콜릿을 너..
나해란 여의도성모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신문은 선생님]
[나해란의 뇌과학 교실] 해가 늦게 뜨면 머릿속 '잠 스위치'도 늦게 꺼진대요
2018.12.19 (수)
오는 22일 토요일은 일년 중 낮 길이가 가장 짧고 밤이 가장 길다는 동지(冬至)예요. 동지에는 해 지는 시간이 오후 5시경으로 빨라진답니다. 반면 해 뜨는 시간은 아침 8시가 다 돼서니까 하루 중 해를 볼 수 있는..
나해란 여의도성모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