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은 선생님
[나해란의 뇌과학 교실] 해가 늦게 뜨면 머릿속 '잠 스위치'도 늦게 꺼진대요
입력 : 2018.12.19 03:00
뇌와 겨울
오는 22일 토요일은 일년 중 낮 길이가 가장 짧고 밤이 가장 길다는 동지(冬至)예요. 동지에는 해 지는 시간이 오후 5시경으로 빨라진답니다. 반면 해 뜨는 시간은 아침 8시가 다 돼서니까 하루 중 해를 볼 수 있는 시간이 무척 짧아지는 것이죠.
그래서 겨울철 아침에는 늦잠을 자기가 쉬워요. 아침에 눈을 떠도 주위가 캄캄하고 이불 밖을 벗어나면 추우니까 잠자리에서 나오기가 꺼려지지요.
낮에도 몸이 추위에 움츠러들기 때문에 '겨울에는 동물들처럼 겨울잠을 잘 수 없을까'라고 한 번쯤 생각해본 친구들이 있을 거예요. 그런데 이런 생각을 하는 것이 친구들이 게을러서만은 아니래요.
그래서 겨울철 아침에는 늦잠을 자기가 쉬워요. 아침에 눈을 떠도 주위가 캄캄하고 이불 밖을 벗어나면 추우니까 잠자리에서 나오기가 꺼려지지요.
낮에도 몸이 추위에 움츠러들기 때문에 '겨울에는 동물들처럼 겨울잠을 잘 수 없을까'라고 한 번쯤 생각해본 친구들이 있을 거예요. 그런데 이런 생각을 하는 것이 친구들이 게을러서만은 아니래요.
- ▲ /게티이미지뱅크
뇌의 '잠 스위치'는 자연적으로 켜지고 꺼진답니다. 우리 뇌 속에는 하루를 24시간으로 정해 놓고 때에 맞춰 배고프다는 신호를 주거나 잠 스위치를 켜고 끄는 자연 시계 장치가 있답니다. 이 생체 시계에 따라 일정한 시간이 되면 뇌가 스스로 잠 스위치를 켜는 거예요.
여기에는 빛이 큰 역할을 합니다. 빛이 줄어들면 '멜라토닌'이라는 호르몬이 나오는데요, 이 호르몬이 늘어나면 잠 스위치가 켜집니다. 우리 몸이 잘 준비를 하느라 긴장을 풀고 뇌도 편안한 상태에 들어가 나른해져요. 주위가 어두워지면 자연스레 잠이 오고, 해가 뜨면 활발하게 일할 수 있도록 우리 몸이 설계된 거지요. 겨울에는 햇빛이 있는 시간이 줄어드니 잠 스위치를 켜주는 멜라토닌이 늘어나 늦잠을 자기가 쉬워진다는 것이죠.
한편 늦은 시간까지 밝은 빛을 쬐면 '아직까지 활동을 해야 하는 시간이구나'라고 받아들여 뇌가 수면 스위치를 늦게 켜게 됩니다. 밤에 형광등을 켜 두거나 스마트폰 화면을 보는 게 잠을 방해할 수 있는 이유랍니다. 뇌가 '잠 스위치'를 켜는 게 늦어질 테니까요.
또 겨울철에 추운 곳에 있다가 실내에 들어가면 몸이 노곤하고 졸음이 오기 쉽지요.
바깥 찬 공기에서 온몸의 말초혈관이 움츠러들었다 따뜻한 실내로 들어오면서 순식간에 많은 양의 혈액이 다시 온몸으로 퍼지기 때문에 혈액순환이 늘어나 일시적으로 뇌가 피곤해지기 때문이에요. 밥을 먹고 나서 소화를 시킬 때 위장으로 가는 혈액이 늘어나면서 졸음이 오는 것과 비슷하죠.
이처럼 뇌는 햇빛과 주위 온도의 영향을 많이 받는답니다. 그래야 사계절 내내 주위 환경에 가장 적합한 상태가 되도록 우리 몸의 모든 기관을 조절할 수 있으니 어쩌면 당연하겠죠.
겨울철에는 아침 일찍 밝은 전등을 켜고, 일정한 시간에 일어나 몸을 움직여 주는 것이 좋아요. 그래야 뇌를 자극해서 상쾌한 기분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