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쁜 말 바른 말
[신문은 선생님]
[예쁜 말 바른 말] [23] '로서'와 '로써'
2018.02.07 (수)
'로서'와 '로써'는 사람들이 자주 쓰는 말이지만, 잘못 알고 있거나 구분하는 데 어려움을 느끼는 경우가 많아요.①말(로서/로써) 천 냥 빚을 갚는다고 한다.②선생님 제자(로서/로써) 부끄럽지 않게 열심히 공부하겠어..
류덕엽 서울북부교육지원청 장학관 (전 삼릉초 교장)
[신문은 선생님]
[예쁜 말 바른 말] [22] '몇 일'과 '며칠'
2018.01.31 (수)
"네 생일은 몇 년 몇 월 몇 일이니?""독감에 걸려 몇 일 동안 너무 힘들었어."위 예문에서 어색한 점이 느껴지나요? 여기서 '몇 일'은 모두 '며칠'을 잘못 쓴 것입니다. 학생뿐 아니라 어른도 자주 틀리고 제대로..
류덕엽 서울북부교육지원청 장학관(전 삼릉초 교장)
[신문은 선생님]
[예쁜 말 바른 말] [21] 외래어 다듬기
2018.01.24 (수)
얼마 전 국립국어원이 평창 동계올림픽과 관련해 자주 쓰는 외래어(外來語)와 외국어를 골라 이를 한글로 다듬은 말을 발표했어요. 파트너사(partner社)는 협력사, 공식 스토어(store)는 공식 매장, 레거시(le..
류덕엽 서울북부교육지원청 장학관 (전 삼릉초 교장)
[신문은 선생님]
[예쁜 말 바른 말] [20] '우유곽'과 '우유갑'
2018.01.17 (수)
얼마 전 2018학년도 초등학교 1학년 입학생 예비소집이 있었어요. 아이들이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지 안내하는 자료가 나갔는데, 그중 이런 내용도 있었답니다. "아이가 학교에 즐겁게 다니려면 우유곽 스스로 따기 등 기..
류덕엽 서울북부교육지원청 장학관(전 삼릉초 교장)
[신문은 선생님]
[예쁜 말 바른 말] [19] '시간'과 '시각'
2018.01.10 (수)
어느 기차역 안내 표지판에 다음과 같이 쓰여 있어요.무엇이 잘못되었는지 알 수 있나요? 많은 사람이 혼동하거나 잘못 알고 있는 낱말이 바로 '시각(時刻)'입니다. '시간(時間)'과 차이를 분명하게 구별하지 못하는 데..
류덕엽 서울북부교육지원청 장학관(전 삼릉초 교장)
[신문은 선생님]
[예쁜 말 바른 말] [18] '키다'와 '켜다'
2018.01.03 (수)
"그대는 왜 촛불을 키셨나요~"로 시작하는 유명 가요가 있어요. 이해인 수녀는 시 '촛불 켜는 밤'에서 "촛불을 켜고 기도하는 밤, 시를 쓰는 겨울밤은 얼마나 아름다운 축복인가"라고 노래하지요.혹시 여러분은 촛불과 ..
류덕엽·서울북부교육지원청 장학관 (전 삼릉초 교장)
[신문은 선생님]
[예쁜 말 바른 말] [17] '연도'와 '학년도'
2017.12.27 (수)
지난 11월 치른 '2018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결과가 얼마 전 발표됐어요. 그런데 여러분은 올해(2017년) 본 수능시험을 왜 '2017학년도 수능'이나 '2017년 수능'이 아니라 '2018학년도 수능'이라 ..
류덕엽 서울북부교육지원청 장학관(전 삼릉초 교장)
[신문은 선생님]
[예쁜 말 바른 말] [16] '―장이'와 '―쟁이'
2017.12.20 (수)
"대장간에서 농기구를 (대장장이/대장쟁이)가 만들었어요.""네 살짜리 내 조카는 정말 (수다장이/수다쟁이)예요."여러분은 위 예문에서 괄호 안에 제시된 낱말 중 어느 것이 바른 말인지 쉽게 고를 수 있나요? 많은 사..
류덕엽 서울북부교육지원청 장학관 (전 삼릉초 교장)
[신문은 선생님]
[예쁜 말 바른 말] [15] '가리키다'와 '가르치다'
2017.12.13 (수)
많은 사람이 즐겨 쓰는 고사성어 중에 '지록위마(指鹿爲馬)'라는 말이 있어요. 지록위마란 '사슴을 ○○○ 말이라고 한다'는 뜻으로 사실이 아닌 것을 사실이라고 강압적으로 인정하게 한다는 뜻을 가지고 있지요.여러분은 ..
류덕엽·서울북부교육지원청 장학관(전 삼릉초 교장)
[신문은 선생님]
[예쁜 말 바른 말] [14] '폭발'과 '야단법석'
2017.12.06 (수)
"최근 인도네시아 아궁 화산이 폭팔해 발리 공항이 폐쇄됐습니다." "발이 묶인 여행객들이 야단법썩인 장면이 신문 1면 사진 기사로 실렸어요."위 두 문장에는 잘못 쓴 낱말이 둘 있습니다. 무엇이 잘못됐는지, 어떻게 ..
류덕엽 서울북부교육지원청 장학관(전 삼릉초 교장)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