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문은 선생님
-
-
-
- [신문은 선생님]
-
[동물 이야기] 한국인이 가장 사랑하는 동물… 우리나라에선 1929년 이후 멸종했어요
2017.11.09 (목)
-
최근 환경부가 '내가 제일 좋아하는 우리 생물'을 주제로 투표(총 1만3500명 참여)를 진행했어요. 그 결과 호랑이〈사진〉가 2427표를 받아 1위를 차지했답니다. 그 뒤로는 수리부엉이, 청개구리 순이었지요.호랑이..
김종민 박사·전 국립생태원 생태조사본부장
-
-
-
- [신문은 선생님]
-
[예쁜 말 바른 말] [10] '틀리다'와 '다르다'
2017.11.08 (수)
-
"우리나라와 북한은 통일에 대한 접근 방식이 틀립니다.""사드(THAAD·고고도 미사일 방어 체계) 문제에 대한 중국과 미국의 입장은 너무 틀려요.""동생을 먼저 챙기는 걸 보니 역시 형은 틀리구나.""오른쪽 그림과..
류덕엽 서울북부교육지원청 장학관(전 삼릉초 교장)
-
-
-
- [신문은 선생님]
-
[재미있는 과학] 1000년 걸릴 계산, '양자역학'이면 몇 분만에 끝난대요
2017.11.08 (수)
-
노벨물리학상 수상자인 세르주 아로슈(73) 콜레주 드 프랑스 교수가 최근 우리나라를 방문했어요. '양자 컴퓨터의 아버지'로 불리는 그는 인터뷰에서 "양자 컴퓨터는 일반 컴퓨터로 1000년 걸리는 계산을 불과 몇 분 ..
송준섭·과학 칼럼니스트
-
-
-
- [신문은 선생님]
-
[스포츠 이야기] 정규 리그 5위 팀도 한국시리즈 우승할 수 있어요
2017.11.07 (화)
-
얼마 전 막 내린 2017년 프로야구 한국시리즈에서 기아 타이거즈가 두산 베어스를 누르고 우승을 거뒀어요. 기아가 우승을 차지한 건 2009년 이후 8년 만이랍니다. 정규 리그 우승에 이어 한국시리즈에서도 우승한 기..
조보성 무학중 체육 교사
-
-
-
- [신문은 선생님]
-
[아하! 이 식물] 가을이면 울긋불긋… 나뭇잎 속 색소 변화 때문이죠
2017.11.07 (화)
-
가을이 깊어지면서 도시 곳곳이 울긋불긋해졌어요. 나뭇잎 색깔이 초록색에서 빨간색, 노란색, 갈색 등으로 바뀌는 '단풍(丹楓) 현상'이 진행되고 있는 거예요. 아침과 저녁 기온 차가 커지고 최저기온이 영하 언저리까지 ..
최새미 식물 칼럼니스트
-
-
-
- [신문은 선생님]
-
[뉴스 속의 한국사] 비리 벼슬아치는 탄핵… 임금 잘못도 거침없이 지적했죠
2017.11.07 (화)
-
최근 정부가 전직 대통령, 국회의원, 지자체장 등 고위 공직자의 비리를 수사하는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이하 공수처)'를 설치하겠다고 밝혔어요. 지금까지 고위 공직자의 비리는 경찰과 검찰이 수사할 수 있었는데, 대통령..
지호진 어린이 역사 저술가
-
-
-
- [신문은 선생님]
-
[경제 이야기] 사람 살 수 없는 낡은 아파트인데… 왜 값이 오르는 걸까?
2017.11.04 (토)
-
강남을 비롯한 서울 곳곳에서 낡은 아파트 단지를 허물고 새로운 아파트를 짓는 대규모 재건축 사업이 숨 가쁘게 진행되고 있어요.재건축을 앞둔 아파트 집값은 큰 폭으로 뛰어오른답니다. 오늘은 재건축을 둘러싼 경제 현상에..
천규승 미래경제네트워크 이사장
-
- [신문은 선생님]
-
[뉴스 상식 돋보기] '유니콘 기업' 외
2017.11.04 (토)
-
[유니콘 기업]기업 가치가 10억 달러 이상인 비상장 스타트업 기업을 가리킵니다. 설립한 지 얼마 안 된 신생 벤처기업인 스타트업 기업의 수는 많지만 그중에서 크게 성공하는 경우가 많지 않기 때문에 '유니콘'처럼 상..
-
-
-
- [신문은 선생님]
-
[이명옥의 명작 따라잡기] 점·선·면으로 만든 도형, 아름다움 그리는 최고의 도구죠
2017.11.04 (토)
-
원(동그라미),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등은 우리 주변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는 모양입니다. 이것을 도형이라고 해요. 도형은 점·선·면 등이 모여 만들어지는데 크게 평면도형과 입체도형으로 나눌 수 있어요. 도형은 ..
이명옥 사비나미술관장
-
-
-
- [신문은 선생님]
-
[이 주의 책] '속옷으로 방귀 냄새 막을 수 없나'… 괴짜들의 황당 연구
2017.11.03 (금)
-
잼이나 버터를 바른 식빵 토스트를 실수로 바닥에 떨어뜨린 적 있나요? 이상하게 대부분 잼 바른 면이 바닥에 떨어지죠. 잘못될 일은 언제나 잘못된다는 '머피의 법칙'을 떠올리게 해요. 그냥 단순히 운이 없었기 때문일까..
양지호 기자
|